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7/26 10:38:46
Name LG의심장박용택
Subject [질문] TV..LG랑 삼성이랑 방식이 요새 좀 갈렸는데, 어느게 낫나요?
LG는 OLED를 쓰는 것 같고..

삼성은 순수 OLED TV는 아닌 것 같고..

QLED TV를 마케팅하는 것 같은데..

QLED는 전체

제가 습자지처럼 아는 지식으론, OLED가 더 좋은 기술로 알고 있어서..

QLED는 결국 LCD에 LED 박은 기존 기술 아닌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7/26 1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OLED = 순수 OLED는 아니고 WOLED
QLED = 진짜 QLED는 아니고 퀀텀 필름에 LED
NEO QLED = 퀀텀 필름에 미니 LED (올해 나온 상위 모델)


엘지 OLED의 단점이라면
- 빛반사 / ABL / 번인 3가지고
장점은 그 외 모든것.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바꿔말하면 QLED가 OLED보다 좋은점은 위에 3가지가 좋고 나머진 다 밀립니다.


방에서 쓰면 OLED 단점이 엄청나게 줄어드는데
밝은 거실에서 쓰면 저게 작은 단점은 아니게 되서..
닥치고어택땅
21/07/26 10:43
수정 아이콘
QLED는 LCD에 컬러필터를 퀀텀닷을 사용했고, 백라이트로 LED를 쓴 걸 교묘하게 퀀텀닷 엘이디라고 쓴 마케팅 전략일 뿐이고, 기본은 LCD가 맞습니다.
OLED는 번인이 최대 단점인데, 최근 기술 모니터링을 잘 하지 않아서 정확히 말씀은 못 드리겠네요.
덴드로븀
21/07/26 10: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QLED 는 이름 그대로 LED 쓴게 맞고, OLED 는 말그대로 OLED 라 더 괜찮은 기술은 맞는데 번인 문제는 아직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LG에선 번인 생기면 사용기간에 따라 차등해서 조금씩 저렴하게 A/S 를 해준다곤 하는데 발생하는건 워낙 케바케라...

번인은 크게 신경안쓰고 딥다크한 검은색표현과 쨍하고 완벽한 화질을 원하면 OLED 가는거고,
그냥 무난무난하게 쓰고싶다 하면 삼성 QLED 가는거죠 뭐

특히 게임/영화가 아닌 일반 TV프로/드라마 같은건 굳이 비싼 OLED 보다 적당한 QLED 로 TV 사이즈 늘리는게 차라리 이득이죠.

전세계 기준으론 LG OLED 보다 삼성 QLED TV 판매량이 압도적으로 높구요.
몽키매직
21/07/26 11:01
수정 아이콘
그냥 일반인 레벨에서 간략화 하면
TV 를 주로 저녁 이후 에 본다 OLED >>>> QLED
TV 를 주로 낮에 창문 열어놓고 본다 QLED >> OLED
TV 에 콘솔/PC 연결해서 게임한다 OLED >>>> QLED
21/07/26 11:12
수정 아이콘
크고 싼게 낫습니다.
나이스후니
21/07/26 11:24
수정 아이콘
OLED가 더 좋긴한데 구매할때 가격이 문제라, 가성비를 생각하면 QLED가 더 좋습니다. 좋은 기술의 300만원 OLED를 살것인지 200만원 QLED를 살건지로 고민하시면 될것같네요
21/07/26 11:38
수정 아이콘
크고 싼게 짱인듯요
Grateful Days~
21/07/26 12:52
수정 아이콘
그냥 무조건 크고 싼거!!!
밀크공장
21/07/26 13:15
수정 아이콘
OLED 장점 화질이나 어마어마한 단점이 있습니다. 수명 핸드폰처럼 번인 현상 있음...
돈많으면 OLED 가시고
QLED도 모델마다 차이가 제법 납니다. 저희집 9FN 18년도인가 최고급 모델인데 솔직히 화질 OLED랑 크게 떨어진다고 생각안해요
빛샘(영화 레터박스 검은색이 아니라 회색처럼 나오는거) 없는거 같고...
짧은 수명의 고성능LG 긴 수명의 중상성능 삼성
전 삼성꺼 대만족
비밀....
21/07/26 13:33
수정 아이콘
OLED 65c7 모델 직구해서 쓰고 있었는데 평소 쓸때는 크게 못 느끼다가 테스트해봤더니 번인이 심하긴 하더군요.
직구품이라 AS하느니 새로 사는게 싸게 먹힐 것 같네요. 좋긴 한데 다음에는 OLED 안 살 듯 합니다.
LG의심장박용택
21/07/26 14:12
수정 아이콘
다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034 [질문] 알탕에 들어갔던 이 재료가 무엇일까요? [6] 버드맨10509 21/07/27 10509
157033 [질문] 어나더에덴 같은 모바일 게임 있을까요 [3] 이리세14465 21/07/27 14465
157032 [삭제예정] esta 승인 후 정보 수정 질문 드립니다. [2] 삭제됨10649 21/07/27 10649
157031 [질문] 가지고 있는 주식을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할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5] Aimyon8749 21/07/27 8749
157030 [질문] 그래픽카드 5700xt / 6800xt 질문입니다! [7] 리듬파워근성10099 21/07/27 10099
157029 [질문] 잠실역부근이나 올림픽공원근처 치맥 맛있는집이 있을까요? [9] 웬디9089 21/07/27 9089
157027 [질문] 주린이 s&p500 질문이요 [15] 롯토9787 21/07/27 9787
157026 [질문] 일곱개의 대죄 애니 질문있어요~ [2] 묵리이장10523 21/07/27 10523
157025 [질문] 건강검진 병원 추천 눈팅만일년7683 21/07/27 7683
157024 [질문] 자동차 수리시 보험 처리 절차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삭제됨6685 21/07/27 6685
157023 [질문] 부린이 보금자리론 관련 질문입니다 ㅜㅜ [6] In The Long Run7396 21/07/27 7396
157022 [질문] 2차백신까지 맞고나서 코로나 양성 판정 받는경우 많나요?? [9] 라리10409 21/07/27 10409
157021 [질문] 침대 매트리스 받침(?)만 살 수 있는 곳 있나요? [5] 약쟁이12089 21/07/27 12089
157020 [질문] 역도 같은 스포츠는 경기 때 평소보다 높은 중량을 시도하는건가요? [7] 모나크모나크7958 21/07/27 7958
157019 [질문] 사무실에 곱등이가 연이어 출몰하는데 해결책이 있을까요? [6] 요한슨8580 21/07/27 8580
157018 [질문] 배뇨장애가 있습니다. 신장기능검사 관련 문의 [4] 삭제됨11560 21/07/27 11560
157017 [질문]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를 입문하려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6] 내가아나11299 21/07/27 11299
157016 [질문] PC구매 선택. [5] moqq12482 21/07/26 12482
157015 [질문] [LOL] 내년 아시안게임은 어떻게 치러질까요? [5] ELESIS11584 21/07/26 11584
157014 [삭제예정] 자금 차용 관련 질문입니다 [2] 삭제됨11109 21/07/26 11109
157013 [질문] 집 구매 전에 월세 vs 전세 선택 [2] 삭제됨9630 21/07/26 9630
157012 [질문] 에어컨 온도 잘 떨어지시나요? [2] foraiur10130 21/07/26 10130
157011 [질문] 이런 식의 부동산 계약도 불법인가요? [5] Thenn10542 21/07/26 105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