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6/13 21:50:35
Name 원스
Subject [질문] 회사 축의금 질문 입니다.
저는 보통 축의금 관련 큰 고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결혼을 하고 나니 고민이 생기네요...

일단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황은 이렇습니다.

현재 회사에 이직 해서 다닌 지 약 3년 정도 됐습니다.
현재 회사에 입사하기 전부터 결혼 날짜가 잡혀있었고, 입사 후 약 1달 만에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결혼식 1주일 전 쯤 회사 사람들에게 청첩장을 돌리는데, 입사하자 마자 청첩장을 돌리는 게 좀 민망해서,
회사의 모든 사람들에게 돌리지 않고, 같은 층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만 돌렸습니다.
약 50명 정도 되었고, 청첩장 돌리면서도 입사하게 되자마자 결혼하게 되서
축하의 마음만 받겠다고 일일이 멘트를 하면서 청첩장을 돌렸습니다.(축의금을 받기가 민망했습니다.)

결혼식날 50명 중 딱 4명이 제 결혼식에 왔었고 4명 다 축의금을 5만원씩 넣었더라구요.
그리고 저 4명에게 전달 또는 제 결혼식 전 날 약 40명 정도는 저에게 직접 5만원 정도의 축의금을 주었습니다.

그 이후 약 3년 이 되는 기간 동안 저는 저에게 축의금을 준 사람들에게만 똑같이 축의금을 주었습니다. 5만원씩요.
다른 층 혹은 다른 건물의 회사 사람들이 저에게 청청잡을 주면 아예 축의금을 보내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제 3년 동안의 기간이 흐르면서 친해진 동료 직원들이 많아졌다는 겁니다.ㅠㅠ
세월이 흐르면서 꽤나 친분을 쌓은 동료 직원들이 결혼을 하는데도, 똑같이 5만원 씩 축의금을 돌려주기가 민망 합니다.

와이프와 이 부분에 있어 대화를 해 봤는데, 와이프는 회사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그냥 친해졌어도
똑같이 5만원 씩 돌려주는게 맞지 않냐는 의견이며 그 이상 주는 건 아깝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저도 절반은 그렇게 생각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좀 친해진 사람들은 그래도 10만원 정도 씩은 줘야 하나?? 라는 고민이 듭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론 제가 축의금 5만원, 10만원이 안 아까운 상황이라면 마음 가는대로 10만원, 20만원씩 주고 싶지만,
경제적 형편이 썩 여유로운 상황이 아니라 한 푼 두 푼이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ㅠㅠ

조언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13 21:56
수정 아이콘
무조건 받은 만큼 줍니다. 아무리 나중에 친해졌어도 먼저 5만원 줬으면 5만원 받을 생각해야죠.
친해진 사이에 5만원 받았다고 서운함을 표시하는 사람 있으면 무조건 그 사람 잘못이라고 생각하고요.
오래 전부터 우정을 쌓은 친구라면 더 줘도 안 아까운데 직장 동료라면 더 주기 아깝네요.
21/06/13 22:04
수정 아이콘
먼저 받은 입장이라면 받은대로 주면 되는거죠.
이라세오날
21/06/13 22:04
수정 아이콘
저런 용도의 돈은 아낄수록 나중에 신경쓰여서 줄 수 있을 때 더 주는게 마음 편하긴 합니다.
다만 마음가는 대로 하시되, 아내분과의 의견 통일이 안 되면 기존의 금액을 따라가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이라세오날
21/06/13 22:05
수정 아이콘
혹시나 본문을 다시 읽어봤는데 금액이 신경쓰이시면 받으신 대로 주는게 합당할 듯 합니다.
제가 약간 잘못 이해했네요.
나이스후니
21/06/13 22:08
수정 아이콘
받은만큼이요. 더 주면 좋긴한데, 내 경제력을 생각해야죠. 회사는 회사입니다. 회사를 벗어나는 순간 내가 낸돈도 못받는 일도 많아요. 또, 회사 규모가 커지다보면 온갖 경조사가 끝이없어서 어쩔수 없이 경조사비에 냉정하게 됩니다. 조부모 경조까지 오다보면, 감당을 못해요. 받은만큼만 주시면 됩니다.
이혜리
21/06/13 22:19
수정 아이콘
너무 이렇게 딱 맞게 사는 건 안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결혼을 하고, 본부가 재 개편되는 바람에 제 결혼식에 온 사람이 아무도 없음에도 10만원 씩 모두 합니다.
뭐 회수 생각 들면 나중에 돌잔치 하면서 불러야지 하고 생각을 합니다.
싸구려신사
21/06/13 22:38
수정 아이콘
저는 글쓴이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받은대로 주면된다는 상식이 널리퍼져있는데 글쓴이님 같은 케이스에서는 저는 그때그때 다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1/06/13 22:40
수정 아이콘
저도 이혜리님 의견에 동감합니다. 결혼대 결혼으로 딱딱하게 계산기 두드리는것보다 그냥 여유되시는데로 하는건 어떨까요.

이런건 경사보다는 조사에 빛을 발한다고 믿기때문에 그냥 마음가고 여유가는데로 안왔어도 합니다.

예전에 못갔어도 장례식에 와준 지인분들 친구들 생각하면, 그런 은혜 갚는다고 생각하고 잘 다니려고 합니다.
다 겪어보니 액수는 중요치 않고 와준게 특히 고맙더라고요.
토끼공듀
21/06/13 22:48
수정 아이콘
저 같으면 받은 금액과 상관없이 주고 싶은 만큼 주겠습니다.

내가 5만원 받은건 그럴만한 상황이었고 지금은 또 상황이 다르니까요.
월급루팡의꿈
21/06/13 23:49
수정 아이콘
어차피 내가 퍼주는 만큼 누군가 내게 퍼주고, 내가 덜준만큼 누군가도 덜줍니다.
내일 일을 모르는 복잡한 인생을 살다보면 결국 또이또이 아니겠느냐고 생각합니다.
마음 가는대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물론 와이프 의견도 중요합니다)
퀴즈노스
21/06/13 23:51
수정 아이콘
전 10만원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받은 만큼 하는 건, 관계가 그때랑 비슷할 때만 해당된다고 생각해요.
21/06/14 00:05
수정 아이콘
친분이 더 쌓였고 회사를 몇년이상 다니실 예정이라면 조금 더 내도 문제없다 봅니다.

특히 글쓴님 상황을 보아 추후 돌잔치에 돌려받으실수도 있으니...
21/06/14 07:33
수정 아이콘
저라면 더 줄듯요.
[game-q]kis^^
21/06/14 07:55
수정 아이콘
선배 오만원 후배 십만원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참새가어흥
21/06/14 0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받은 대로 준다는 개념이 솔직히 이해가 안 가요. 글쓴 분도 이직을 하기도 했고, 사회적 관계는 계속 달라지잖아요. 친분이 아니라도.. 만났을 때의 미혼/기혼 상황에 따라서도요. 그걸 다 딱 잘라서 1:1로 산정할 수 없을 거고, 그런 관계가 더 많을 거라 생각하는데 말이죠.

저는 결혼 안 한 40대고 지금도 결혼 생각이 크지는 않은 입장에서 받을 일 없는 축의금 엄청 나가긴 했는데요, 언제 회수해야겠다 이런 생각은 전혀 안 해봤어요. 친한 사람은 말 그대로 친분으로 축하해 주는 거고, 덜 친한 사람들은 그래도 관계나 평판을 위한 사회생활 비용이라고 생각을 해서요.

굳이 따지자면 그 사이 쌓인 친분 & 물가 감안해서 좀 더 주는 게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게 아깝다고 하기엔 글쓴 분한테 축의금 주고 못 받은 사람들도 많을 텐데... 그냥 돌고 도는 거라고 생각하시는 게 맞을 것 같아요.
ANTETOKOUNMPO
21/06/14 10:19
수정 아이콘
완벽히 공감합니다.
아, 한가지 저는 결혼 못 한 40대 입니다.
여자친구
21/06/14 10:39
수정 아이콘
그냥 10만원내고 이런 고민안하고,눈치안보는게 훨씬 나은거같네요??

이런 사소한 스트레스는 멀리해야 일상이 평온합니다...
루카쿠
21/06/14 1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축의금 기브앤 테이크는 잘못된 거라 생각하는 게, 님과 그냥 지인 정도의 사람이 님 결혼식 와서 5만원 냈는데, 그 뒤로 몇년간 엄청 친해져서 그 사람 결혼할 때가 되면 10만원은 거뜬히 낼 정도의 사이가 될 수도 있는 것이죠. 전적으로 지금 친분으로 하는 게 축의금이지, 받은 만큼 낸 만큼을 따지는 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님 결혼식 때 안 왔더라도, 그 후로 친해져서 님이 축의금을 할 정도라면 뭐라도 나중에 챙겨주지 않을까요. 아무튼 마음 가는 대로 내세요. 얼마 냈었네, 받았었네 따지지 마시고요. 그런 걸 안 따질 수록 남들한테 축의금 이상의 무언가를 받으실 거고, 따지면 따질수록 잃으실 것 같습니다.
21/06/14 11:54
수정 아이콘
굳이..칼처럼 할 필요있나요? 그러면 뭐 결혼 안할 생각가지신 사람은 축의금 주기가 좀 애매해지겠죠 크크 그냥 친해지셨으면 마음가는데로 해주세요 부담안가는 선에서요 전 대학생때 친한 선배들이 결혼할때 거의 학생때라 3만원~5만원 축의금 줬는데 그때 당시엔 제 기준엔 큰돈이였거든요 (10년 전넘은..) 자리잡힌 뒤에 제가 결혼하니 선배들한테 그거보단 더 받은거 같네요
새출발
21/06/14 11:59
수정 아이콘
회사에 계속 근무하신다면 마음편히 10만원 하시는게 심적으로 편하지않을까싶네요 여러명이 한반에 하지않는 이상 매일 얼굴보는 사람들인데..
저라면 편하게 10만원 줄 것 같습니다
수타군
21/06/14 18:46
수정 아이콘
받은 만큼 하는게 좋습니다. 준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서 크게 문제 되진 않습니다.
10만원을 주실수 있는 여유가 있으시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나데시코
21/06/15 09:02
수정 아이콘
저같으면 준사람들에게만 10줍니다

물가상승 고려안하고 5만 돌려준다는 마인드면...제 기준으론 앞으로 가까이 안할 사람이네요
보통 해줄 필요도 없는 상황서 축의해주는건 되게 고마운거 아닌가요? 심지어 본인이 결혼 안할수도 있는 조건에서 마음을 주는건데
지금와서 5만원 돌려주면 심지어 친해진 동료에게...
한두푼 아깝다면서 그당시 글쓴분에게 축의한 분들 돈은 안아까운 돈인가요
저에겐 글쓴분이 총체적으로 자기중심적으로 보입니다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989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11] up11082 21/06/16 11082
155988 [삭제예정] 수두바이러스에 의한 대상포진 감염 [4] 삭제됨8783 21/06/16 8783
155986 [질문] 편의점 맥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오렌지망고10122 21/06/16 10122
155985 [질문] 지금 댓글알림 불만 들어오고 댓글안뜨는건 저만 그런가요? [2] 키토8213 21/06/16 8213
155984 [질문] 폴드2 케이스 추천해주실거 있나요 [9] rebel129026 21/06/16 9026
155983 [질문] 소파를 길이를 못 고르겠습니다...도와주세요ㅠㅠ [22] CastorPollux8933 21/06/16 8933
155982 [질문] 어르신들이 자주 체할때 긴급히 상비할만한 소화제있나요? [8] 요한슨12906 21/06/16 12906
155981 [질문] 주류 광고는 왜 윤리적 논란에서 자유로울까요? [30] 흥선대원군13611 21/06/16 13611
155980 [질문] 팝송을 찾습니다. (단서 매우 약함) [1] 와우홍7486 21/06/16 7486
155979 [질문] 혹시 다이소에 축구 헤어밴드같은거 파나요? [5] 55만루홈런9071 21/06/16 9071
155978 [질문] 새벽에 깼는데 다른 방에서 자고 있었습니다. [6] lefteye10975 21/06/15 10975
155977 [질문] 차량 수리 이후 보상요구 진상일까요? [1] 사신군10175 21/06/15 10175
155976 [질문] 얀센 접종후 아무런 문제 없으신분 계신가요..? [47] 버벌진트13682 21/06/15 13682
155975 [질문] 스팸번호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요...? [3] nexon7646 21/06/15 7646
155974 [질문] 이제 LCK는 TV 어플로 못보나요? [13] 아침8292 21/06/15 8292
155973 [질문] 얀센 30시간째 운동괜찮을까요? [7] 큐브큐브7569 21/06/15 7569
155971 [질문] 만화/웹툰 추천 부탁 드립니다(머니게임?) [14] 게롤트9526 21/06/15 9526
155970 [질문] PGR21 에 사진이 등록이 안 됩니다. 아난7989 21/06/15 7989
155969 [질문] 얀센 접종 6일차인데 아직도 두통이 있습니다 [9] DAVO9117 21/06/15 9117
155968 [질문] 쉽고 정글링 빠른 챔피언 없을까요[LOL] [14] 불독맨션16964 21/06/15 16964
155967 [삭제예정] 일본에서 천명이상 기업 접종시작인데 이게 한국에서 용서되는 정서인가요? [37] 여기11260 21/06/15 11260
155966 [질문] 스테비아 설탕(가루)....3년된걸 먹었는데요.... [7] Navigator6679 21/06/15 6679
155965 [질문] 레이저로 무좀 치료 받으신 분들께 질문있습니다. [3] 光海8780 21/06/15 87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