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6/09 22:38:29
Name 키토
Subject [질문] TV고민중입니다... 해결해주세요...
인치는 정해진 상황입니다 65inch...

여기가 선택지가 너무 넓더군요...


삼성 새로나온 neo qled(완전한 신제품..) 설치비까지 300만원대..
                    qled 설치비포함 200 마논

LG OLED (역시 올해 신제품) (60hz) 210만원대
                                        (120hz) 360만원

사실 제가 쓸꺼면 이정도까지 안오고 LED선으로 끊어가지고 100만원 언저리 제품 살껀데..

어무니 아부지 사드릴꺼라 고민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중소기업제품은 싹다 날렸고 삼성LG둘중에 살것같습니다.

확실히 OLED가 쨍한데... 이쁘고 아무래도 부모님쓰시면서 번인 터지면 답이 없어가지고..

혹시 최근에 65인치 tv사신분계시면 추천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푸른양처럼
21/06/09 23:0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OLED가 더 좋긴한데요, 번인 등의 이슈가 있긴 해서요
TV시청 시간이 많다 싶으면 삼성 QLED가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집에서 티비 시청시간이 좀 적어서 OLED쓰고요 부모님 집에는 삼성 QLED 구입했습니당
21/06/09 23:15
수정 아이콘
저랑 생각이 비슷하시네요... 삼성꺼 사야될듯 감사합니다.
21/06/10 01:31
수정 아이콘
부모님께서 어떤 영상소스를 사용하시느냐가 중요하겠지요. IPTV 정도만 보시는 경우라면 굳이 OLED로 가는 의미가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전시제품의 쨍하고 멋드러진 화면은 그만한 소스이 있을 때 발휘될 수 있는 성능이고 IPTV 볼 때는 전시영상만큼의 차이가 나진 않을 겁니다. 게다가 TV 오래 틀어두신다면 번인 부담도 분명 있고요. 그냥 삼성 QLED나 LG 나노셀 정도로 가시고 음향적인 요소(사운드바 등)를 추가하시는 건 어떨까 싶네요.
21/06/10 01:47
수정 아이콘
네 그렇죠 iptv보시는정도니 감사합니다 oled는 아직 무린가봐요
김캇트
21/06/10 08:34
수정 아이콘
부모님 쓰실거고 iptv 셋탑사용이면 한 급 낮추시더라도 qled 75인치 추천드려요.
부모님이 전시장에서 85인치 보고 오셔서 너무 크다고 75인치 들였었는데 한달 이따가 85 살걸 그랬나? 하시더라구요
21/06/10 08:41
수정 아이콘
인치는 부모님이 매장에서 보시고 선택하신거라 아마 변동이 없을걸로 예상합니다.
푸르미르
21/06/10 09:20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고민을 하다가 번인을 무시 못해서 QLED 했어요.
부모님은 안보셔도 그냥 티비 틀어두는 상황이 많다보니 나중에 번인 오면 답 없겠더라고요.
21/06/10 09:2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Rorschach
21/06/10 10:08
수정 아이콘
QLED 200만원짜리 추천드리는데 사실 좀 더 커도 되긴 할겁니다 크크
가시거리만 충분하면 크기 큰건 금방 또 적응되기도 해서;;
21/06/10 10:10
수정 아이콘
크기는 선택사항이 못되는..
Rorschach
21/06/10 10:17
수정 아이콘
네 크기 고정이라면 전 200만원짜리 고를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883 [질문] 하 배달 음식 도난 당했네요 [8] 교대가즈아9042 21/06/12 9042
155882 [질문] 얀센 접종 후 알러지약 복용가능할까요 [6] FalltoFly後10145 21/06/12 10145
155881 [질문] 갤럭시 버즈 프로 재생버튼 질문입니다! [2] no.3457340 21/06/12 7340
155880 [질문] 자동차 정비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저무는오후5760 21/06/12 5760
155879 [질문] 대출 상환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오이자왕6640 21/06/12 6640
155878 [질문] 스타벅스 프리퀀시 [4] 쭈루룩쭈루룩6845 21/06/12 6845
155877 [삭제예정] 우주에서 속력?속도?에 대한 질문 [11] 치카치카9272 21/06/12 9272
155876 [질문] 얀센 접종자 분들 증 아프신 분들 바로 타이레놀 드셨나요? [17] 닭강정9707 21/06/12 9707
155875 [질문] 사진을 공유하기 쉬운 방법 질문드립니다. [8] 바나나맛슈터11410 21/06/12 11410
155874 [질문] 6인끼리 1박2일이나 2박3일 갈만한데있을가요 [4] 롯토9856 21/06/12 9856
155873 [질문] 계단오르기 운동이 몸에 그렇게 좋나요? [6] 게닛츠8748 21/06/12 8748
155872 [질문] 배당주에 대해 궁금한 게 있습니다.. [6] nexon7349 21/06/12 7349
155871 [질문] 자동차보험 싸게 가입하는법?? [6] 달달합니다8471 21/06/12 8471
155869 [질문] 공원에 있는 캣맘이 놓은 고양이먹이 텐트 돗자리 버리면 불법인가요? [6] 하나둘셋8504 21/06/12 8504
155868 [질문] 유흥주점 운영이 어케 되는지 생리를 알고싶습니다 [7] 외계소년15545 21/06/12 15545
155867 [질문] 휴대폰 공장초기화 방법문의 [1] 외국어의 달인8671 21/06/12 8671
155866 [질문] 어린이대공원 음악분수 운영 하는지 궁금합니다. [2] 부기영화7259 21/06/12 7259
155865 [삭제예정] 불륜으로 가족을 버리고 떠나갔던 어머니에게 문자가 왔습니다. [20] 삭제됨11893 21/06/12 11893
155864 [질문] 노년층 얀센은 부작용 어떤가요? [2] LG의심장박용택6375 21/06/12 6375
155863 [질문] 올인원pc asus제품이 부팅이.안되네요 Python7394 21/06/12 7394
155862 [질문] 헤드셋 3.5mm 커넥터 질문(?) [3] 요슈아8774 21/06/12 8774
155861 [질문] 차없이 남자 혼자 여행할만 곳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1] 리얼리스트가10755 21/06/11 10755
155860 [질문] 현재 한국 거주 20대 후반 남성은 백신을 맞을 기회가 따로 없을까요 ? [7] -Aka7598 21/06/11 75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