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26 07:56:36
Name 도전과제
Subject [질문] 키보드 별로 유의미한 반응속도 차이가 있나요...?


이전부터 키보드&마우스에 딱히 신경을 안 쓰는 게이머의 삶을 살아 왔습니다.

적당히 손에 맞는 거 같은 제품 중에 싼 거 사고,

고장나면 또 그거 다시 사서 쓰고 하는 식이었는데요.

이번에도 한동안 그렇게 키보드를 써오다가 슬슬 바꿀 시기가 되었는데,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글을 올려보게 되었습니다.


키보드 종류 별로 유의미한 반응속도 차이가 있는 편인가요...?

예를 들면 기계식 키보드와 기계식 키보드가 아닌 것,

같은 기계식 키보드 키보드라면 축의 종류라든가 그런 것에 의해

반응속도 등의 차이가 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은 반응속도가 아니더라도,

기타 키보드의 성능을 나눌 만한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을까요...?


주위나 인터넷에서 대강 알아보기에는 "평준화돼서 그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애초에 인간이 차이를 느끼기에는 너무 미세한 차이라 별 상관없다"는 의견이 많기는 하던데

간혹 "예민한 사람은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던가 그런 의견도 있더라고요.


오늘 아침부터 날씨가 좋네요. 미리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Zakk WyldE
21/05/26 08:05
수정 아이콘
11000원 짜리 키보드 쓸딴 알리 wq를 못했는데 기계식으로 바꾸고 되네요..
두지모
21/05/26 09:30
수정 아이콘
어떤키보드로 바꾸셨나요..?
Zakk WyldE
21/06/01 00:07
수정 아이콘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레오폴드 텐키리스 청축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델명은 FC750RT네요.
두지모
21/06/01 09:30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dfjiaoefse
21/05/26 08:14
수정 아이콘
반응속도 까지는 모르겠는데 저는 클릭압 낮은걸 선호 합니다
마우스는 작고 가볍고 클릭압낮은걸로다가
21/05/26 08: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키보드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크게 느껴지진 않지만 타건감이라고 부르는 누를 때 느낌이 크고 그나마 유의미한 성능 체감은 '은축'에 준하는 키입력 지점이 다른 축을 사용 했을 때입니다.

하시는 게임이 정확한 반응속도를 요구하는 게임일 수록 이러한 것에 대한 체감이 느껴질 수 있지만 그런 게임이 아닌 경우에는 별 차이 없을겁니다. 은축을 오래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는거(스쳐서 입력되는 키들의 스트레스)와 이제 아 눌렀는데와 같은 상황은 네트워크상황 아니면 크게 탓할일이 없다는정도입니다.
21/05/26 09:15
수정 아이콘
동시 입력 키 갯수 차이는 있었는데
요즘은 거의 차이 없지 않나요?
레이오네
21/05/26 09: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나치게 싸구려(몇천원~만원짜리?)면 내부 기판의 신호 처리가 늦어져서 인풋렉이 있다는 게 맞긴 한 듯 합니다(예전에 격투게임 커뮤 쪽에서 검증을 한번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 이상으로 넘어가면 위쪽에서 말씀하신 대로 키보드 스위치나 네트워크 등에서 차이가 나는 게 있을 듯 하고요.
21/05/26 09:36
수정 아이콘
압 낮은 기계식이 유의미하다고 봅니다. 대신 오타 적응이 필요합니다.
21/05/26 09:51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 같은 게임을 할때는 반응속도가 유의미하게 느껴지진 않았는데.. 프리스타일이라는 옛날께임할때는 진짜 좀 느껴지더군요 키보드 반응속도가 중요한게임이라..
21/05/26 10:22
수정 아이콘
스위치별 압력이나 스트로크에 따라서 누를때의 힘이 다르고, 키보드 기판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어떤 키보드의 경우 RGB LED를 켜면 동시입력이 간헐적으로 씹히거나, 반응속도가 느려진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해당 제품을 안써봐서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론 겨꼠이나 리꼠말고는 체감할 일이 많진 않은 것 같습니다.
Tyler Durden
21/05/26 10:2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은 일단 눌린 시점에선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물리적인 눌림이 일어나는 시간에서 차이가 있는거 같아요.
압력낮은 축이나 그냥 높이가 낮은 로우키캡만 해도 꽤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겁니다.
왜냐하면 제가 철권을 키보드로 하는데 0.2-0.3초 사이로 상대 하단공격을 막아야 하는 연습을 할때
로우키캡, 적축인 키보드로 할 때 잘 막았거든요.
다시마두장
21/05/26 10:52
수정 아이콘
이를테면 리듬게임같이 빠른 반응속도가 중요한 게임이면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그러더군요. (키압이 낮을수록 유리)
전 워낙 둔감한 편이고 키보드 쓰는 게임 중 하는게 롤밖에 없어서 싸봤던 키보드들 중에서는 유선이고 무선이고 차이를 느껴본 적이 없습니다.
태생적으로 키감이 워낙 구려서 반응속도 이전의 차이를 느낀 적은 있네요.
21/05/26 10:53
수정 아이콘
스트로크를 줄인 스위치를 쓰면 약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거고요. 대신 오타가 작렬하겠죠.
키보드 인풋렉 체감이 가능하냐에 대해선 전 좀 부정적인편이네요.
21/05/26 11:12
수정 아이콘
인터페이스 차이는 있었던거 같아요.
PS2>USB>>>>>블루투스 순으로 고속 입력했을때 씹히는게 덜하더라고요
21/05/26 11:28
수정 아이콘
너무 싼 제품만 아니면 누른 시점에서의 속도 차이는 거의 없을 겁니다.
전 손가락 덜 아프려고 + 동시 키입력 때문에 기계식 씁니다.
구치리
21/05/26 15:19
수정 아이콘
제가 덜민감한가..
오버워치 1년 정도 하고
프리스타일은 5년정도 하고
위닝일레븐도 5년정도 로지텍 제일 싼 무선키보드로 했는데
유의미한 딜레이는 전혀 모르겠습니다.
미카엘
21/05/26 15:45
수정 아이콘
10년 넘게 만 원 짜리 키보드 쓰는데 게임하거나 작업할 때 전혀 불편함을 못 느꼈습니다.
도전과제
21/05/26 22:12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됐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506 [질문] 에어프라이어+트레이더스 질문 입니다. [6] 원스6915 21/05/29 6915
155505 [질문] 노랑 카레 말고 일본식 갈색 카레는 어떻게 만드나요? [15] 꺄르르뭥미10728 21/05/29 10728
155504 [질문] 그 등받이 쿠션? 침대? 뭐라고 검색해야할까요? [6] 레너블7595 21/05/29 7595
155503 [질문] 인터넷으로 산 열무김치에 쉰내가 납니다. [6] 개떵이다10509 21/05/29 10509
155502 [질문] 성수동 맛집, 카페, 가죽공방 추천해주세요. [2] 박신영8987 21/05/29 8987
155501 [질문] 양문형 냉장고가 갑자기 이상합니다. [4] 청자켓7089 21/05/29 7089
155500 [질문] 오프라인에만 잇는 신발사이즈도 잇나요? [6] 스핔스핔8078 21/05/29 8078
155499 [삭제예정] 언팔 상태인데 스토리 염탐하는것도 의미부여죠? [11] 너무춰11995 21/05/29 11995
155498 [삭제예정] 어머님 칠순 가족여행 숙소 중심 추천 [2] 시은10019 21/05/29 10019
155497 [질문] 프로젝트에서 빠지고 싶은데 어떻게 말해야될까요? [29] 비공개9488 21/05/29 9488
155496 [질문] 보호대 종류 건조기 돌리면 사이즈 줄어들까요? 약쟁이8399 21/05/29 8399
155495 [질문] 가슴에 반점이 생겼어요 [3] 히로미10025 21/05/29 10025
155494 [질문] 이동식에어컨 구매고려 중 음압 현상에 대하여.. [5] kissandcry11975 21/05/29 11975
155493 [질문] 소송을 변호사 없이 혼자할 수 있을까요 [2] 삭제됨9169 21/05/29 9169
155492 [질문] 디비니티 오리지널씬2 정보가 많은 사이트를 알수 있을까요? [7] 보로미어10461 21/05/29 10461
155491 [질문] 여성분들 화장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4] 데비루쥐10038 21/05/29 10038
155490 [질문] 컴퓨터와 전압 질문입니다 [4] 교자만두10697 21/05/29 10697
155489 [질문] 엑셀함수 잘 아는 분 있으신지요..? [2] nexon9364 21/05/28 9364
155488 [질문] USB image tool로 만든 img 파일 압축 푸는 법이 궁금합니다. [7] 미숙한 S씨8300 21/05/28 8300
155487 [질문] 손에 연고를 발랐는데 언제 지워야 할까요? [5] 아파10106 21/05/28 10106
155486 [질문] 스포티비 나우 vod 다시보기 올라오는 시간이 궁금합니다. [4] 아르키메데스12093 21/05/28 12093
155485 [질문] PC GTA5 용 컨트롤러 [6] 길버그11449 21/05/28 11449
155484 [질문] 아이맥은 출시 주기가 어떻게 되나요? [6] Skyfall7325 21/05/28 73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