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24 14:14:55
Name 사계
Subject [질문] 깡통전세가 너무 무섭습니다.

안녕하세요.

첫 자취를 시작하게 되어 방을 구하고 있는 중에
부동산이 해주는 권리분석이 믿을만 한가 하는 생각을 지울수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대출없이 깡 전세로 관악구 쪽으로 방 구하는 중인데
동네가 깡통전세로 유명하다보니 깡통전세가 너무 걱정되고 무섭습니다.

혹시 부동산 통해서 전세 구해보신 분들 계시면
부동산이 해주는 권리분석 괜찮았는지, 어떤 점을 제가 더 조심해야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24 14:18
수정 아이콘
저도 배우면서 전세 얻는 처지라 큰 조언은 어렵지만..
'보증보험' 꼭 드시길 바랍니다.
현재 저도 깡통전세 상황이라 보험만 믿고 가려합니다.

등기부 등본상 아무 문제 없더라도 전세계약 후 임대인 변경 시 깡통이 되어버리면...답이 없습니다.
21/05/24 14:20
수정 아이콘
아.... 보증보험 힘들다고 하는 쪽은 무조건 걸러야겠네요 감사합니다ㅠㅠ
스프링
21/05/24 14:21
수정 아이콘
전세 반환보증보험 한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아요
21/05/24 14:24
수정 아이콘
처음에 요구를 전세대출 필요 없지만 반환보증보험은 들어야겠다고 하니
부동산이 반환보증보험이 되는 곳들은 엄청 비싸다고 예산 2억은 택도 없다는 식으로 나오던데
실제로 시세차이가 유의한가요?
21/05/24 14:26
수정 아이콘
해당 부동산은 거르시죠?

제 공인중개사는 애초 물건 찾을때부터 전세보증보험을 포함한 '안심전세대출' 상품 가능한 물건만 찾아다녔습니다.
전세계약 후 임대인 변경으로 깡통된걸 오히려 미안해하고 있고요.
21/05/24 14:30
수정 아이콘
그럼 그런 부동산들은 싸그리 거르는게 낫겠네요. 최대한 조심해도 깡통이 되는 판이라니ㅜㅜ... 부동산 공부 정말 힘드네요.
21/05/24 14:32
수정 아이콘
토닥토닥...
귀여운호랑이
21/05/24 14:22
수정 아이콘
보증보험 드셔야죠.
21/05/24 14:24
수정 아이콘
꼭 보증보험 되는 곳으로 가보겠습니다.
사당보다먼
21/05/24 14:33
수정 아이콘
전세보증보험이 가능한 곳들이 그런 위험이 적은 곳이죠. 보험사도 전세금 안떼일것같은 집에만 보증보험을 들어줄테니까요.
깡통 전세 피하는 방법은 혹여 집주인이 망해서 이 집을 내가 전세금으로 인수해도 나쁘지 않겠다 싶은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만 그런 곳은 비싸죠.
대출 없이 구하신다고 하셨는데 대출을 끼시고 인기있는 오피스텔로 급을 높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21/05/24 14:38
수정 아이콘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제가 퇴사 후 공백기를 가지고 이제 이직을 하는거라 대출을 끼기 힘들 것 같았습니다ㅠㅠ..
당분간 월세로 산다고 생각하고 전세를 후에 알아봐야하나 생각이 드네요..
아이고배야
21/05/24 15:41
수정 아이콘
다시 취업하실거면 이자가 부담되진 않으실 것 같고,
지금 무직이라 대출이 안될 것 같아서 알아보지 않으신거라면,
무직이어도 전년도 카드사용액 기준으로 대출 받을 수 있는걸로 압니다.
저도 직장 퇴사 후 무직상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전년도 카드사용액 기준으로 소득 인정 받아서 대출 받았습니다!
전년도 카드 사용액에 따라 최고 2,500만원 이상 사용했을 경우 5천만원 소득 인정해주니 알아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21/05/25 10:19
수정 아이콘
제가 카드 사용액이 1년에 300만원을 넘기지 않을 정도로 정말 보험료 통신비 제외하곤 숨만 쉬고 사는 사람이라..
아마 카드 사용액으로 인정받기 힘들 것 같습니다..ㅠㅠ.. 그래도 이렇게 친절이 알려주시는 댓글 감사합니다!
그리고
21/05/24 14:40
수정 아이콘
원룸건물이면 해당건물이 다가구인지 다세대인지 보시고, 다가구이면 등기 하나 뽑아서 대출 얼마 있는지, 다세대이면 등기 전부 뽑아서 각 세대별 주인이 어떻게 되고 대출 얼마인지 체크해보세요. 그리고 대출금 + 전세금 합쳤을 때 건물 가격 넘어설 것인가를 보면 됩니다
21/05/24 14:59
수정 아이콘
다가구 다세대부터 구분해서 봐야겠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꿈트리
21/05/24 14:54
수정 아이콘
문제있는 집들은 세금 체납도 장난아닙니다.
세금추징들어오면 무조건 0순위라 보험 꼭 드세요.
21/05/24 15:00
수정 아이콘
보험 꼭 들고싶은데 연락한 부동산들 전부 요즘 전세가 너무 올라서 보증보험 되는 매물이 힘들다고 하네요...ㅜㅜ
바밥밥바
21/05/24 15:20
수정 아이콘
일단 근저당 없는데만 골라서 가도 기본은 합니다.
이상한 집도 많지만 멀쩡한 집이 더 많아요 말 많은 집 말고 깔끔한데 골라달라고 하면 됩니다
21/05/25 10:19
수정 아이콘
근저당은 없는데 보증보험 안된다고 하는 곳은 어떤가요? 요즘 시세가 올라서 보증보험이 너무 힘들다고만 하고 있어서 힘드네요ㅠㅠ...
바밥밥바
21/05/25 10:42
수정 아이콘
근저당 없으면 본인 전세 대출이 최우선 변제로 올라갑니다. 집이 경매에 나왔을 때 내 전세값보다야 낮지만 않으면야 전세금 떼일일은 없을 겁니다. 다만 해당 주인이 현금 융통력이 많지가 않다면 빨리는 못 뺄 수 있는 위험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증보험이 있는 것이구요
21/05/24 17:35
수정 아이콘
잘 모르면 보증보험 되는집만 고르시면 가장 안전합니다
21/05/25 10:19
수정 아이콘
무조건 보증보험 되는 곳으로 해달라고 고집부려보겠습니다.
쁘띠도원
21/05/24 20:13
수정 아이콘
보증금 최대한 낮추고 월세로 가야죠
21/05/25 10:20
수정 아이콘
월세도 50까지는 괜찮은데 50이상은 너무 부담되어서요..ㅜㅜ... 관리비에 수도 전기 이런거 포함하면 액수가 너무 커져서..
독립은 집 구하는것부터 맛이 쓰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417 [질문] 외장 사운드카드 체감 되나요? [4] StondColdSaidSo8006 21/05/26 8006
155415 [질문] 삼성모니터 혹은 dp케이블 관련 질문입니다 [5] U-Nya11447 21/05/26 11447
155414 [질문] 저가 통신사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호아킨7799 21/05/26 7799
155413 [질문] 알뜰폰으로 통신사변경시 변호바꿔야하나요? [4] 구동매7782 21/05/26 7782
155412 [질문] 부산 맛집 및 할거 추천 해주세요. [20] 너와나의연결고리10172 21/05/26 10172
155411 [질문] 가족 및 지인이 쓰던 차 살때 필요한것 [7] 아라온10294 21/05/26 10294
155410 [질문] 강서구 맛집이 궁금합니다. (소고기, 참치회) [14] 삭제됨7766 21/05/26 7766
155409 [질문] 지금 PGR내 게시물 검색 기능이 멈추었나요? [2] 라덱6618 21/05/26 6618
155408 [질문] 키보드 별로 유의미한 반응속도 차이가 있나요...? [19] 도전과제12870 21/05/26 12870
155407 [질문] 어머니께서 백신 안 맞겠다고 하시는데 어떻게 설득하죠? [57] 윤정12556 21/05/26 12556
155406 [질문] mbti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0] 고구마줄기무침15615 21/05/26 15615
155405 [질문] 진입시 깜박이 질문 [3] vitaminwater7682 21/05/26 7682
155404 [질문] 아이패드 프로 구입을 고민중인데, 살만할까요? [12] 레이오네8308 21/05/26 8308
155403 [질문] 파워포인트 고수분들 영문단어 문단내에서 끊기는거 질문드려요 [2] TranceDJ8907 21/05/26 8907
155402 [질문] 타이어 펑크로 기진맥진한 날의 이야기 [6] 마다오9311 21/05/25 9311
155401 [질문] 코로나 잠복기 검사 [5] 개떵이다7807 21/05/25 7807
155400 [질문] 30대, 코로나 잔여백신 예약하는게 좋을까요? [22] Right11442 21/05/25 11442
155399 [질문] 한강진역 주변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발렛필수) [1] 삭제됨7067 21/05/25 7067
155398 [질문] 블루투스 기계식 키보드 추천해주세요! [8] Klopp7212 21/05/25 7212
155397 [질문] 부모님이 쓰실 편안한 의자 추천부탁드립니다 다레니안6032 21/05/25 6032
155396 [질문] 지금 게시판 이런 상태인 분들 계시나요? [16] 닭강정8438 21/05/25 8438
155395 [질문] 김하성선수잘하나요? [12] cs8386 21/05/25 8386
155394 [질문] 사회적 거리두기 모임관련 질문입니다. [4] 타이푼7821 21/05/25 78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