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12 14:13:07
Name 비후간휴
Subject [질문] 주식 가치투자란게 이런건가요?
내가 생각할때 이 회사의 가치는 2만원인데 지금 평가가 만원이다
->싸네? 저평가 받고 있으니 나중에 제대로 평가 받으면 오를거야->산다

내 생각에 이 주식의 가치는 만원인데 지금 평가가 2만원이다
->비싸네? 고평가 받고 있으니 나중에 제대로 평가 받으면 떨어질거야->판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12 14:16
수정 아이콘
가치를 분석하여, 가격과 가치의 괴리를 이용한 투자를 지향하는 사람을 통상 가치투자자라고 하니, 맞는 말씀입니다.
조미운
21/05/12 14:16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는 맞습니다. 가치 투자자는 내가 생각하는 "가치"가 "가격"보다 낮을수록 좋은 투자 기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죠.

근데 그 가치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다 다르고, 가치 투자라는 게 엄청나게 범용적으로 쓰이는 단어이다 보니 가치 투자한다는 사람들 모아놔도 생각은 다 제각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워낙 오래전부터 존재한 개념인데다가 베리에이션도 많다 보니...
다리기
21/05/12 14:27
수정 아이콘
내가 생각할때 이 회사의 가치는 만원이고 지금 평가가 2만원이지만
-> 이 회사는 앞으로 3만원의 가치가 있는 회사가 될거야 -> 산다

요즘은 가치투자하면 이쪽이 주인 것 같습니다. 과도하게 가능성에 투자하는 분위기죠.
회색사과
21/05/12 14:29
수정 아이콘
그건 보통 성장주 라고 하지 않나요.
다리기
21/05/12 14:32
수정 아이콘
성장주에 가치투자 한다는 사람이 많지용
회색사과
21/05/12 14:57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크크크크크
Cafe_Seokguram
21/05/12 14:28
수정 아이콘
그렇죠.

다만 싸다, 비싸다 기준이 (좀 과장되게 말하면) 전 세계에 60억개 정도 되는 거죠...
21/05/12 14: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평가 주식 사는걸 고전적인 가치투자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워렌버핏류.
단순히 가격만 보는 게 아닌 기업분석도 필요하겠구요. 기간은 10년정도 까지도 보는 것 같습니다.

일시적으로 가격만 보고 4만원이 적당해보이는데 3만원이네? 이런 방식은 고전적인 가치투자의 범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용어는 정의하기 나름이겠지만요.
또 성장주/가치주에서의 가치랑도 의미가 다르다고 봐요.
Chandler
21/05/12 14:32
수정 아이콘
현실판-삼전90층에 물려서 10만전자까지 존버

넵접니다 흑흑 언젠간...10만전자 갈끄니까..
Lord Be Goja
21/05/12 14:43
수정 아이콘
나랑 [같이투자] 하자
샤한샤
21/05/12 14:53
수정 아이콘
애초에 밸류에이션을 해보는 사람이 1%나 될까 말까인데 일반인들이 가치투자 운운하는게 코메디 아닐까요
-안군-
21/05/12 14:59
수정 아이콘
PER 같은 지표를 보고 투자하는게 가치투자죠. 성장가능성을 보는게 아니라..
덴드로븀
21/05/12 15:04
수정 아이콘
결국 그놈의 [가치] 가 무엇이냐가 중요하죠.
스카야
21/05/12 15:09
수정 아이콘
진짜 가치투자 했으면 반토막나면 좋아해야죠.. 가뜩이나 저평가된주식이 토막났으니까..
근데 현실은..
캐간지볼러
21/05/12 15:22
수정 아이콘
내가 생각할때 이 회사의 가치는 2만원인데 지금 평가가 만원이다
->싸네? 저평가 받고 있으니 나중에 제대로 평가 받으면 오를거야->산다
: 사람마다 다릅니다. 이 회사의 가치를 2만원인 게 지금이냐, 몇 년 뒤냐에 따라 복리 기대수익률이 달라서요.

내 생각에 이 주식의 가치는 만원인데 지금 평가가 2만원이다
->비싸네? 고평가 받고 있으니 나중에 제대로 평가 받으면 떨어질거야->판다
: 아닙니다. 보통 만원이라고 생각했으면 만원이 될 때 팝니다. 더 올라가는 건 가치투자의 영역을 넘어서는 것입니다.
21/05/12 15:36
수정 아이콘
진짜 가치투자 하는 사람은 거의 없죠 대부분이 그냥 단타나 몇개월단위 모멘텀투자고 그나마 몇년이상 꾸준히 본인이 찍은 성장주를 사들고 있는 사람 소수고요
21/05/12 15:39
수정 아이콘
싸다 비싸다의 근거가 충분하고 합리적이어야..
21/05/12 15:42
수정 아이콘
내제가치를 평가하는건데 이게 기준이 다 다릅니다
지구사랑
21/05/12 15:58
수정 아이콘
가치 계산 자체에 여러 분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부가치, 이익가치, 성장가치 등이 있습니다.
회사의 자산을 계산했더니 시총보다 훨씬 싸더라, 면 장부가치.
매년 이익을 얼마씩 내는데 시총에 은행 이자율을 곱한 값보다 훨씬 많더라, 면 이익가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면 현재의 시총은 정말 싼 셈이다, 면 성장가치... 이런 식입니다.
셋 다 기준이 다르니 적정가치의 숫자는 다르겠지만, 모두 일리가 있죠. (세세하게 나누면 분파는 더 있습니다.)
일관성 있게 가치를 계산해서 그보다 많이 저렴하면 사고, 가격에 가치가 반영되면 파는 것이 통상적인 가치투자 기법입니다.
단 하나의 정답은 없고, 그래서 어렵지만, 또 묘미가 있습니다. 쉬우면 아무나 다 성공하겠죠.
당근병아리
21/05/12 17:09
수정 아이콘
가치는 뇌피셜입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종목만 잘되면 장땡입니다
부기영화
21/05/12 17:56
수정 아이콘
샀는데 물리면 가치투자 입니다...
21/05/12 20:35
수정 아이콘
예전과 가치투자라는 개념이 조금 달라요. 세계적으로 금리가 하락하는 추세고 돈이 시장에 풀리면서 저평가 받는 회사를 찾기 힘들어 첫 예시처럼 투자 할 곳이 잘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성장성 있는 회사 주식을 미리 사는것이 가치투자가 되었고 이게 작년부터 바이오를 포함 성장주들이 큰 폭으로 오른 이유이며 그러고도 남는 돈이 아무 가치없는 코인 시장으로 유입됐다고 봅니다.
사견으로 말씀드린것처럼 앞으로는 회사를 잘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느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돈이 몰릴지 남보다 빠르게 캐치하는 능력이 더더욱 중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어렵다면 지수투자하는게 최고인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103 [질문] 자전거의 모델명이 궁금합니다. [6] Topnotch IPA8925 21/05/14 8925
155102 [질문] 아는 동생이 결혼을 앞두고 헤어짐을 당했습니다. [19] 삭제됨13142 21/05/14 13142
155101 [질문] 이 선수가 쓴 선글라스가 뭔가요? [2] 꿀행성11698 21/05/14 11698
155100 [질문] 스탠드형 인덕션 관련 질문 드립니다 [9] limitedaccess12181 21/05/14 12181
155099 [질문]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앨범 문의드립니다 (멜론 이용중) [5] 찬공기7230 21/05/14 7230
155098 [질문] 연예인 생일까페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14] 종이컵11939 21/05/13 11939
155097 [질문] 스타2 입문자 질문 [5] 원장7827 21/05/13 7827
155096 [질문] 일론 머스크에 대해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53] KOZE11921 21/05/13 11921
155095 [질문] 이 만화에서 굽시니스트가 저격하는 변방 커뮤니티가 어딜 말하는 걸까요? [13] Aimyon10806 21/05/13 10806
155094 [질문] 노래노래 열매 능력자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8] 가브라멜렉6414 21/05/13 6414
155093 [질문] 윈도우 카카오톡 out of memory 뜨시는 분 안 계시나요? [9] 회색사과15073 21/05/13 15073
155092 [질문] 자동차 옵션중에 어떤걸 가장 필요로 하시나요??? [27] 레너블11413 21/05/13 11413
155091 [질문] 알파고 김성현 선수 타종족 실력이 어느 정도인가요? [25] Timeless14783 21/05/13 14783
155090 [질문] 3DMax작업용 견적이륙문의 [6] 진하늘7792 21/05/13 7792
155089 [질문] 대상포진에 걸렸는데요. [16] 대발11096 21/05/13 11096
155088 [질문] [스타1] ASL에 이런 룰을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22] 설아10360 21/05/13 10360
155087 [질문] 무선이어폰 비싼거 사면 덜끊기나요? [25] Right11437 21/05/13 11437
155086 [질문] usb 허브 관련 질문 Chandler11137 21/05/13 11137
155085 [질문] 류vs박, 손vs박, 페vs김 어떻게 보십니까 크크 [52] 오늘처럼만12787 21/05/13 12787
155084 [질문] 오사카 맛집이라면? [7] 삭제됨6878 21/05/13 6878
155083 [질문] 법인등기 관련 과태료 부과? [3] 흰둥7885 21/05/13 7885
155082 [질문] 찾고있는 제품이 있습니다. 꼭 사고싶은데 방법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이미지 있음) [7] Secundo12927 21/05/13 12927
155081 [질문] 3D게임? 질문겸 추천 부탁드립니다 (다소 조건있음) [6] 김경호6599 21/05/13 65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