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08 13:12:04
Name 아몬
Subject [질문] 요즘 한류 강세인 이유가 뭘까요?
기생충의 오스카 석권, 윤여정 님의 아카데미 수상 뿐만 아니라 한류에 대한 전반적으로 전세계인의 인식이
계속해서 긍정적인 부분으로 나아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한 14년도쯤에 KPOP이 대세다 그런 뉴스가 자주 나오길래 저거 다 국뽕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는데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류가 전에없이 잘 나간다는 것을 동의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된건지에 대한 궁금증이 드네요. 80년대 90년대 일본 문화가 널리 알려졌던 것처럼 그 다음은 한국인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랜드파일날
21/05/08 13:21
수정 아이콘
PC(컴퓨터...), 인터넷이 서양에서 너드 취급받을때 한국에서는 90년대부터 이미 대중화되어 있었죠. 거기서 만들어진 인터넷에 최적화된 한국만의 디테일, 감성이 있는 게 아닌가합니다. 한국이 이 분야에선 선구주자인거죠.

그것이, 스마트폰 보급화로 전 세계에서 인터넷 갬수성에 빠져들면서 이 분야의 선구자인 한국이 주목받은거고요. 케이팝과 BTS를 논하는데 있어 브이로그, 유튜브를 빼놓아선 안되고, 웹툰도 인터넷과 스마트기기의 연출과 디자인 없이는 이야기할 수 없죠. 더불어 퀄리티도 훌륭하고요. 중국도 인터넷은 발달했지만...
파핀폐인
21/05/08 13:55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애초에 한국의 문화가 그만큼의 평가를 받을만 하다고 생각하긴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문화적으로 상당히 발달했고요. 다만 한국이 국제세계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인지가 얼마 되지 않아서 평가가 보류되었다고 생각하고, 본격적으로 한국의 문화가 세계적인 스케일에서 소비가 되고 있다고 봅니다.

그럼 왜 한국의 것이 소비되는 것이냐라고 물어보신다면, 저는 위엣 분이 써주신 한국의 갬성이 역할을 했다는 데 동의합니다. 제가 외국에서 오래 살아본 결과, 동아시아 (한중일)하면 서구권에서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이미지는 오리엔탈리즘입니다. 근데 정작 까보니 무슨 kpop이라 해서 영어 가사도 적극적으로 쓰고, 인터넷 문화는 오히려 서구권보다 더 발달했으며 세련미가 있어요. 일종의 신선한 충격을 받은 셈이죠. 우리 입장에선 그냥 해온건데, 누구를 딱히 의식해서 한게 아니라 우리만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해온게 세계적으로 먹혔다 봅니다.
해질녁주세요
21/05/08 13:57
수정 아이콘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전반이 매우 발달했습니다. 오디션 열풍 불기 이전에 이미 아이돌 지망생 2만명이라던 뉴스가 벌써 10년 쯤 되었고 요즘은 더 많다고 합니다. 해외 인기드라마라고해서 봤더니 한국드라마랑 비교도 안되게 어설퍼서 한국드라마가 괜히 인기있는 게 아니구나하는 걸 느낍니다. 영화 쪽도 꾸준히 성장해서 1년에 한두 편은 천만 관객찍고요.
실력이 뛰어난데 이제 유튜브 같은 동영상 플랫폼 보급으로 전세계에 보여지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연예전반 산업성장에 비해 제작환경이 여전히 열악하고 데뷔하지 못하는 지망생들이 너무 많다는 점 때문에 마냥 국뽕차오를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김성수
21/05/08 14: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류의 장점이야 많을텐데 그런 의견은 다른 분들도 많이 써주실테니 제쳐두고 보자면, 차별점이 존재하고 꾸준히 도전한다면 결국 기회를 잡기 마련이라고 봅니다. 뭐 반증 가능성은 없는 얘기입니다. 사람들은 자꾸 새로운 걸 원하기 마련이라 적정 퀄리티만 충족한다면 결국 유행하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근데 KPOP이 흐름을 타긴 했는데 정작 더 전에 있었던 국악 사운드, 트로트, 기타 전형적인 동양적 표현물은 아직이긴 합니다. 뭐 최근에 반응이 조금 있었긴 하지만요. 우리나라에서 일단 계속 유지가 되고 있으니 그게 언제가 될지 기대하고는 있습니다. 릴체리 - 하늘천따지를 들으면서 집우 집주에서 Vitamin C ~ E 까지 뽑아내는 느낌 보고 개쩐다 했는데 말이죠.
21/05/08 14:25
수정 아이콘
문화적으로 한국 문화가 세계 표준에 비해 경쟁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것들이 헬조선을 만들기도 했지만 어쨌건 성과는 높아서... 어느 나라나 엘리트 계층은 근면하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중~하위계층의 근면성실도는 한국이 굉장히 높은 편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굉장히 열심히 사는 나라에요. 기본적으로 노오오력 하는게 당연시되고... 또 윗분이 말씀하신 빠른 디지털화도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21/05/08 14:49
수정 아이콘
유튜브 + 경쟁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폰텐
21/05/08 16:22
수정 아이콘
가장 잘 나가는 분야가 결국 K-POP인데, 사실 시장 자체만놓고보면 그렇게 큰 파이도 아닌지라 저는 조심스럽게 그렇게까지 한류가 잘나간다고는 생각안해서...
드라마쪽도 터키드라마가 엄청나게 크더라구요. 한국드라마는 결국 중국시장에 먹히느냐 안먹히느냐 싸움이 됐고요.
조미운
21/05/08 20:55
수정 아이콘
주류로 잘나가고 있던 기존 세계시장(=미국/서양)의 문화 컨텐츠들(영화, 드라마, 음악 등)을 제외하고, 다른 문화권에서 만드는 문화 컨텐츠들이랑 비교해보면 압니다. 그냥 우리나라 컨텐츠 질이 평균적으로 좋아요. 세계화가 진행되는 중에 한국의 존재감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었고, 그 와중에 유튜브/넷플릭스등이 보급되면서 다른 나라의 컨텐츠를 접하기가 쉬워지면서 인기가 급격하게 붙었고요.
나데시코
21/05/09 11:12
수정 아이콘
듣보잡 문화였던게 정보화 시대가 되면서 뜨긴했죠
못보던거니 신박하기도 하고 한건데 경제력 대비해서는 평가절하서 이제야 정상 레벨로 온거 같네요
80 90년대 일본과 비교하는건 지나친 국뽕같고요
윗분 말하는거처럼 그렇게 잘나가는거도 아닌듯하네요 적어도 제 관심 분야선 한류는 눈에 띄는게 없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032 [질문] 휴대폰 구입경로 [10] Darkmental9943 21/05/11 9943
155031 [질문] 첫차는 중고차일까요 신차일까요? [47] 레너블12833 21/05/11 12833
155030 [질문] 내장 브가 있는 씨퓨 질문입니다 [6] Waldstein9550 21/05/11 9550
155029 [질문] 칠리새우 튀김옷이 늘러붙고 분리됐는데 이유가 뭘까요? [5] 훈타10211 21/05/10 10211
155028 [질문] 목, 어깨 통증으로 수개월 고생 중입니다. [34] 고요12173 21/05/10 12173
155027 [질문] 노트북 이중 구매하려고합니다 [4] 조현8000 21/05/10 8000
155026 [질문] 혼자 못 옮기는 가구 어떻게 버리나요? [21] CoMbI COLa10577 21/05/10 10577
155025 [질문] 휴대용 아쿠아픽?워터픽 가성비좋은 제품 추천해주세요 [4] 피스~7660 21/05/10 7660
155024 [질문] RC카 추천부탁드립니다. [3] 예혁8079 21/05/10 8079
155023 [질문] 운동후 근육통 이후 몸살 [4] 희원토끼8970 21/05/10 8970
155022 [질문] 매너 파일런 효과는 어느정도인가요? [11] 내배는굉장해20653 21/05/10 20653
155021 [질문] 스타2 테란 프로토스 왕귀형 빌드 질문이요. [2] 원장10518 21/05/10 10518
155020 [질문] 마트에 맛있는 국물 요리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레너블7874 21/05/10 7874
155019 [질문] 알뜰폰으로 갈아타려고 하는데 유심 5G, LTE어떤거 골라야되나요? [3] 요한슨6831 21/05/10 6831
155018 [질문] 윈도우10 까는 법과 바이오스 설정 알려주세요 [5] wook987216 21/05/10 7216
155017 [질문] 부동산 청약 공부 서적 문의 [2] 졸려8020 21/05/10 8020
155016 [질문] 일본 원전 사고 수습사 행방은 어떻게 됐나요? [2] 보라도리9378 21/05/10 9378
155015 [질문] 주택청약시의 인감증명서 대리인 발급.. [4] 터져라스캐럽7894 21/05/10 7894
155014 [질문] 차량사고 보험사 이의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3] 넙이아니6941 21/05/10 6941
155013 [삭제예정] 동생이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8] 삭제됨9852 21/05/10 9852
155012 [질문] 한일동시방영 애니 월정액을 질렀는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5] Cand8775 21/05/10 8775
155011 [질문] 이직을 어떻게 해야될까요? [11] 생힝9088 21/05/10 9088
155010 [질문] 전주에서 물회 괜찮은곳 아시나요?? nomark5674 21/05/10 56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