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4/16 20:52:34
Name SlaSh.
Subject [질문] 초보운전 왕초보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험가입하고 중고차를 샀습니다
보험관련해서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최대한도로 이것저것 다 때려박아서 보험을 드니 비용이 꽤 나오네요

추가로 궁금한 것들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1. 차들보면 옆쪽이나 앞뒤 범퍼에 스크래치나 이런거에 대비해서
스펀지 같은것도 있고 길게 붙이는 것들도 있던데
이런것들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디서 구입을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극한의 초보운전자에게 해주실 말씀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현재 들은 말은
1차선으로 가지 말어라 2차선이상에서 니 실력에 맞게 니 페이스에 따라서 가라
맥주 한캔 마셔도 운전대 잡지 말어라.
이정도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달달한고양이
21/04/16 20:57
수정 아이콘
같은 초보로서 앞차랑 간격은 좀 두고 다녀라...? 급정거할 일이 종종 생기는데 바짝 붙었으면 망했겠구나 싶을 때가 있더라구요;
아밀다
21/04/16 21:01
수정 아이콘
맥주는 초보랑 상관없는 얘기고, 앞 잘 보며 정속주행만 하시면 사고날 일 거의 없습니다. 정속주행 정속주행
하드코어
21/04/16 21:02
수정 아이콘
네비 경로를 벗어났다고 당황하지마세요. 그냥 앞으로 쭉 가면 네비가 경로를 새로 알려줍니다. 그게 시내던 고속도로던 상관없습니다.
조금 돌아가는거 뿐입니다.
우스타
21/04/16 21:16
수정 아이콘
1번에 대해
범퍼에 다는 범퍼가드는 00년대를 마지막으로 유행이 많이 시들었습니다. 효용성도 개인적으로 모르겠고요.
범퍼는 보통 플라스틱이니 어느 정도 마음을 내려놓고 타시는 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
문콕방지용 패드같은 경우 본질적으로는 내 차보다 옆 차를 보호하는 성격이 크긴 합니다. 문 여는 과정에서 연석과의 충돌을 보호하는 아래모서리 패드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지만요.
하시는 것은 본인 마음이지만,
a) 차량 색 계열에 따라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서 부착부위의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b) 너무 큰 제품의 경우 풍절음의 원인이 됩니다.
c) 너무 작거나 빈약한 제품의 경우 보호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전 아무것도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2번에 대해
다른 것 이전에 운전연수를 받는 것을, 그것도 지인이 아닌 전문적인 분께 받는 것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지인이 정말로 어지간히 친하고 냉정한 사람이 아닌 이상 운전연수 받는 거 아닙니다.)
1차선으로 가지 말어라 --> 상황에 따라 맞기도 틀리기도 한 말입니다. 시내운전에서 편도 2차로일 시 2차로가 더 위험합니다. (버스/택시/택배/불법주차 차량, 그 사이로 나오는 어린이를 포함한 보행자 혹은 자전거 탑승자 혹은 [전동킥보드 탑승자], ...)

산림을 낀 국도일 경우에도 2차로가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고양이었지만 언제던 고라니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고라니를 지난 10년간 10번 정도 봤는데, 지난 1년간 세 번은 조우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그만큼 그런 국도를 아주 많이 다닌 점도 있지만요.
https://cdn.pgr21.com/humor/405869

단 고속도로인 경우 1차로는 추월차선이므로 추월중이 아닐 경우엔 비워야 합니다.

제 글을 링크하는 김에 한 가지만 더 말씀드리자면... 적어도 11월-3.5월은 윈터타이어 끼세요. 후...
https://cdn.pgr21.com/humor/415046
신승훈
21/04/16 21:26
수정 아이콘
나름? 노하우 한가지는
아밀다 님과 같은데 정속 주행이고, 같은 시속으로 꾸준히 가보는 겁니다.
가장 좋은 길은 반듯한 국도 한가할 때 시속 60 정도로 20분 이상 달려보세요.
이렇게 3번 정도만 왕복하면 아무리 초보여도 스르륵 뭔가 느낌이 옵니다. 그 상태에서 이제 브레이크 잡는거 백밀러 보는거 연습하면
금방 늡니다.

일단 무조건 정속주행, 같은 시속 유지하면서 많이 다녀보세요
오늘 뭐 먹지?
21/04/16 21:53
수정 아이콘
시내에서 좌회전이나 유턴 할 일 있으면,, 미리 1차선으로 갑니다...
김곤잘레스
21/04/16 22:07
수정 아이콘
차선는 선이 아니라 면입니다. 오른쪽으로 끼고 싶으면 내 차선 오른쪽 에 좀 붙어가다가 오른쪽 깜박이켜고 들어가고 왼쪽으로 끼고 싶으면 차선 왼쪽으로 좀 붙어가다가 왼쪽 깜박이 켜고 들어가요.
21/04/16 22:07
수정 아이콘
차폭감이 중요합니다. 자신없으면 무조건 안전거리를 확보하세요. 앞차는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고 뒷차는 갑자기 추월하려들수 있다는 생각을 머리속에 박아두세요. 운전 1년차에 6중추돌 겪은 입장에서 말씀드리는 조언입니다.
BOHEMcigarNO.1
21/04/16 23:01
수정 아이콘
차는 빨리가는게 아니라 편하게 가려고 타는것이다. 보배드림 사건사고 게시판? 그런데 올라오는 남의 사고 영상을 초보때 최대한 많이 봐둬라. 사고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하는데 방어운전은 뭔 일이 일어날지 예상을 해야 방어를 할 수 있다. 길에서 만나는 차 5대중에 1대는 무조건 도라이일것이라 가정하고 운전해라. 사고가 나서 다칠거라면 그냥 대중교통 타고 다니거나 차 살 돈으로 택시타는게 나았을것이다.
안전운전하십시오~~
BOHEMcigarNO.1
21/04/16 23:12
수정 아이콘
혹시라도 추돌사고가 일어난다면 내가 다치거나 죽을 확률은 내가 몇 km/h로 달렸는가가 아니라 내가 몇 km/h 차이나는것과 추돌하였는가와 관계가 있다. 80km/h로 운전하다 정지해있는 차를 박는것과 60km/h로 운전하다 140km/h의 차에 박히는것은 충격량이 같다. 도로에서는 큰 차가 갑이니 피해야한다. 큰차와 작은차가 박으면 작은차가 왠만하면 아작난다.
21/04/16 23:05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부분들 다 정리해서 습득하겠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21/04/17 08:46
수정 아이콘
네비게이션 차선 안내는 한참 써봐야 적응이 되고, 이상적으로 차선을 옮겨놔야할 타이밍을 알려주지 않습니다. 고속도로나 도심주행에서 처음 가보는 곳을 네비게이션만 믿고 가다보면 무리하게 차선을 옮겨야 하는 상황이 정말 많았습니다. 다른 차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차선변경을 하는 것도 지양해야겠지만,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기에 차선변경을 제때 못하더라도 돌아간다는 마음으로 직진하세요. 매일 다니는 길이라면 금방 적응해서 알아서 차선 어디로 붙을지 알게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494 [질문] 미국에 있는 친구에게 기프티콘 등 선물이 가능할까요? [4] StondColdSaidSo8831 21/04/19 8831
154493 [질문] 인터넷 만화 찾아요~ [2] moqq10514 21/04/19 10514
154492 [질문] 하드 복원을 했는데 파일을 읽지 못합니다 [5] 틀림과 다름8403 21/04/18 8403
154491 [질문] 실업급여 질문입니다. [8] 지구특공대8241 21/04/18 8241
154490 [질문] 땀 흘리는 운동할 때 쓰기 좋은 선크림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행복을 찾아서6881 21/04/18 6881
154489 [질문] 생후 50일 새끼 강아지 분양받았는데 밥을 안먹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3] 개념은?8464 21/04/18 8464
154488 [질문] 동탄에서 서울출퇴근 질문입니다. [11] 마제스티10111 21/04/18 10111
154487 [질문] pes2018 위닝일레븐 질문입니다 유지태.6365 21/04/18 6365
154485 [질문] [쿠키런킹덤] 모험덱 육성 질문 [1] 본좌7532 21/04/18 7532
154484 [삭제예정] [나눔] 로스트 아크 하시는분? [2] 첫걸음6085 21/04/18 6085
154483 [질문] 요새 피쟐 게시글이 많이 줄지 않았나요? [11] 할매순대국9457 21/04/18 9457
154482 [질문] 다이어트시 근력운동과 단백질 섭취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9] 개떵이다7993 21/04/18 7993
154481 [질문] 직장 선택 고민입니다... [6] M270MLRS8115 21/04/18 8115
154480 [질문] 21:9 모니터 두제품중 어느게 나을까요 [1] 날아라 코딱지7843 21/04/18 7843
154479 [질문] 야알못 질문 [16] 醉翁之意不在酒7814 21/04/18 7814
154478 [삭제예정] 일체형PC 둘중에 뭐가 나을까요? [4] 회전목마7712 21/04/18 7712
154477 [질문] 선인장 용신목이 아파합니다.. [1] 지하생활자6656 21/04/18 6656
154476 [질문] 코로나]]] 중국은 왜이리 조용하죠? [20] 움하하10738 21/04/18 10738
154475 [질문] 컴퓨터 윈도우 질문드립니다!(조립pc 사이트 추천..) [3] Splendid7637 21/04/18 7637
154474 [질문] G6 배터리가 15퍼 이하일때 갑자기 훅 가는데 왜이럴까요.... [7] AaronJudge997851 21/04/18 7851
154473 [질문] 갑자기 충전중인 핸드폰에서 유튜브가 켜지고 꺼져있는 플스가 켜졌습니다. [2] 고요10608 21/04/17 10608
154472 [질문] 옛날통닭 같은데 약간 매콤한 후라이드 잘하는 브랜드 있을까요? [16] 치카치카9939 21/04/17 9939
154471 [질문] 청약과 세대주 독립 대해 몇가지 질문 있습니다. [2] 삭제됨7817 21/04/17 78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