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22 15:04:23
Name AKbizs
Subject [질문] 육사나, 경찰대 같은 엘리트코스(?)의 필요성 (수정됨)
육사, 공사, 해사 같은 고급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나,

경찰대처럼 경찰간부육성을 목표로 하는 학교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어느나라건 존재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유능한 학생들을 모집하여 고급인력을 양성한다는 목적이 있으나, 필드의 실무를 경험하지 않고 이론적으로

접근하다보니 필드현직들과 마찰이 발생하고, 또한 그들만의 리그가 형성되는 단점이 있는데

물론 필드의 부조리를 개선한다던지 하는 장점이 있긴하겠으나 개인적으로 이런식의 엘리트양성코스는 장점보다 단점이 많다고 생각하고

pp-20210322-160044.jpg

군인을 예로 들자면, 사병으로 의무복무를 수행하고, 일정 시험을 통과하여 육사에 입학하는 코스가 훨신 이점이 많지 않나 생각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엘리트 코스가 존재하는 이유는

1. 그동안 그렇게 해왔기 때문인가요?
2. 아니면, 단점보다 장점이 많기 때문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21/03/22 15:10
수정 아이콘
전제 자체가 조금 이상한게, 육.해.공군 사관학교가 양성하는 계급은 소위라서 고급장교라고 할 수 없지 않나요? 소위로 임관해서 충분히 필드 경험을 시킨 다음에, 그 중에서 골라진 인원들만 고급 장교의 길을 가게 되니까요.
21/03/22 15:12
수정 아이콘
제가 고급장교란 단어의 의미를 잘못알고 있었나 보군요.
제 생각은 일반 사병을 온전히 경험하고 간부에 임해야 하는게 낫지 않나 생각해서 썼습니다
류지나
21/03/22 15:20
수정 아이콘
음. 제 생각에는 육사 생도가 훈련병 생도로서 생활하는 거 자체가 사병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장교 지식을 배우긴 하지만, 그 외에는 훈련병하고 다를 거 없이 똑같은 걸 배우니까요. 일단 기본적으로 육사 출신이면 뛰어난 인재를 가려 뽑는 곳이고, 하급 장교에서 그칠게 아니라 말씀하신대로 고급 장교로 가려면 배워야 할 것도 많으니까 '일찍부터' 엘리트 교육을 시키는 것이겠지요.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1/03/22 15:16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히 병사생활의 경험보다 육사등에서 교육시키는것이 더 좋다고 판단하는거겠죠..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1/03/22 15:20
수정 아이콘
경찰, 군인만이 그런게 아니라 이 사회가 모두 그렇지 않나요?
밑바닥부터 올라온 입지전적인 인물이 없는건 아니지만 대개는 출발선부터 다르죠
그렇다고 밑바닥부터 올라온 인물이 꼭 뛰어난 것도 아니고...

대기업 입사자들한테 현장 실무 이해를 이유로 공장노동자 2년 추가한다고 하면 입사 지원자들의 반발이 엄청나지 않을까요...?
질적 저하도 심할테고...
회사 입장에서도 그 큰돈 들인 인재를 공장에서 썩히는게 아깝구요.
장점이 없지는 않겠지만 단점도 많고, 현실적으로 어려운 방법인 것 같네요.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깃털달린뱀
21/03/22 15:22
수정 아이콘
병과 장교는 요구되는 역량이 다르니까요? 병은 주어진 명령을 잘 따라야한다면 장교는 개개 전투 자체보다는 큰 그림을 읽고 그려야겠죠.
사관학교에서 갓 졸업하면 소대장으로 부임할텐데 사실 이것도 책상물림이라기엔 현장에서 구르고 배우는 입장에 가깝기도 하고요.
카르텔 문제는 요샌 해결하기 위해서 ROTC 출신들이 많이 약진하고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1/03/22 15:23
수정 아이콘
빠른 시간에 어린 초급간부들을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군필자들이 다시 군대를 간다고 생각하면 지원률부터가 급격히 떨어질 겁니다.
말씀하신 방식은 이미 간부사관이 있고요.
덧붙여 초급장교 임관 조건이 최소 전문학사 이상(간부사관), 보통은 학사 이상이기 때문이기도 한데 대학 재학 도중 또는 고졸 후에 군대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힘들죠.
조건 설정해 두는 이유는 아마 학력 차이를 둬서 하극상(또는 병사가 지휘자를 무시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고 지휘를 효율적으로 하자는 목적 때문 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더 많이 알아야 무시 안 당하고 부대를 이끌 수 있다는 의도겠죠.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1/03/22 15:24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사관학교 4년 생활은 병사생활과 다를바 없을 정도로 뻘짓을 많이 한다고 하더라고요. 장군오면 칫솔로 아스팔트 미싱하고 이런짓하는건 다를바가 없다고 합니다.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1/03/22 16:56
수정 아이콘
학군출신인데 비 오는 날 야삽들고 우의입고 (대학교 운동장...) 연병장 배수로 정비 해본 적 있습니다
Rorschach
21/03/22 15:29
수정 아이콘
지휘관과 사병에게 요구되는 부분이 다르고, 시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이죠.
21/03/22 16: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개좋은빛살구
21/03/22 15:30
수정 아이콘
저희 회사에서는 관리자 직책을 뽑을때에 있어서
실무 경험이 있는 사람이 좋긴 하지만
일단 관리를 잘하는 사람을 뽑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저는 아직 모르겠지만 실무와 관리의 차이에서 오는 무언가가 있듯
일반 사병과 장교의 차이도 그런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21/03/22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아웅이
21/03/22 15:31
수정 아이콘
첫째로 사관학교, 경찰대에서도 20~21살 똑똑한 애들 영입해야죠.
사관학교 가고싶다가도 고3끝나고 군대갔다와서 지원하세요~ 하면 안갈사람이 부지기수겠네요.
그리고 효율 문제인데 롤에서 내가 미드인데 잘하고싶다고 탑 정글 원딜 서폿 입장 이해할겸 500판씩 하진 않잖아요?
21/03/22 16: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1/03/22 16:35
수정 아이콘
그런 보장된 특혜가 없으면
우수인력이 힘든 직업인 군인, 경찰을 선택할 유인이 없다고 보는거죠.
21/03/22 16: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에이치블루
21/03/22 16:40
수정 아이콘
무슨 말씀인지 이해는 되는데 이미 그런 부분 대비는 (우리군 한정) 군을 수십년간 굴리면서 마련은 되어 있어요.

1. 소대장으로 나오는 소위들이 사관학교 출신이냐 아니냐..이 시점에서는 이걸 중요하게 안 봅니다.
어차피 병들과 같이 지내야 하는 계급이라서..소위 중위 대위 소령 하면서 점차 맡는 직무가 달라지고, 이게 필드 경험이죠.

2. 만약 사병으로 있다가 사관학교 지원을 하라고 하면, 그 친구들이 다시 입시 공부를 할 수는 없지 않을까요?
최초에 좋은 장교 자원을 뽑기에는 현재 유일하게 전국민이 동의하는 [전국민 줄세우기]인 수능 성적이 가장 객관적이죠.
21/03/22 16: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876 [삭제예정] 유치원 찬송가 노래 질문입니다. [11] 아르거스의사도6482 21/03/26 6482
153875 [질문] 아메리카노 중 카누를 대적할 브랜드가 있나요?? [9] WraPPin7594 21/03/26 7594
153874 [질문] 자유 의지가 없다면 노력해야 할 까닭이 무엇일까요? [20] 흥선대원군9503 21/03/26 9503
153873 [질문] 부부 각각 전세자금 대출 관련 문의 MelOng7643 21/03/26 7643
153872 [질문] 스마트폰 충전시키면서 사용하는거 괜찮나요? [9] AKbizs8228 21/03/26 8228
153871 [질문] 괜찮은 정신과 병원을 찾는 방법이 있을까요? [6] Pygmalion6217 21/03/26 6217
153870 [질문] 역삼역(엘지아트센터) 부근 맛집 [4] 어...6342 21/03/26 6342
153869 [질문] 용어? 단어? 가 안 떠올라서 질문... [11] To_heart8293 21/03/26 8293
153868 [질문] 혹시 부산에 가면 냄새 나는 분들 계신가요. [31] 크리스 프랫9349 21/03/26 9349
153867 [질문] 크롬 탭별로 혹은 브라우저별로 소리 출력장치를 다르게 할 수 없을까요? [3] AminG12622 21/03/26 12622
153866 [질문] 필라 차이나 같은 회사에 대한 궁금증 서울7336 21/03/26 7336
153865 [질문] 이번 토요일, 여의도에서 점심먹고 갈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원스6780 21/03/26 6780
153864 [질문] 엄지발가락 부분 구멍나지 않는 러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목캔디8490 21/03/26 8490
153863 [질문] 원딜 룬/템트리 질문드립니다. [2] Closing6358 21/03/26 6358
153862 [질문] pgr에 내가 썼던 댓글 확인하기 [3] Unicorn7002 21/03/26 7002
153861 [질문] LG 건조기 사용중인 분 계신가요? [14] F.Nietzsche8790 21/03/26 8790
153860 [질문] 피쟐 게시물에 붙는 플러스 기호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14] 아스라이6155 21/03/26 6155
153858 [질문] 중국에서 불매 운동하면 얼마나 오래 하나요? [4] Alynna6320 21/03/25 6320
153857 [질문] 보금자리론 등기이전 법무사 비용 어느정도 되나요? [7] En Taro7583 21/03/25 7583
153856 [질문] 치과 레진치료 질문입니다! [7] 석공6445 21/03/25 6445
153855 [질문] 운전 시작한지 3개월.. 첫 접촉사고 났는데 질문 있습니다.. [16] 슈로더8835 21/03/25 8835
153854 [질문] 아반떼하이브리드 스마트키 분실 [4] 보아남편7241 21/03/25 7241
153853 [질문] 다이어트 4일차, 무엇이든 조언 구합니다 [60] 2021반드시합격9212 21/03/25 92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