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9 13:59:33
Name 모아찐
Subject [질문] [삭제예정]요즘 대세인 기업 ESG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기업들의 화두인 ESG와 관련되서 질문드립니다.
사실 요즘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나 싶네요...크크
국제적으로 지속가능경영이 대두되면서 이에 따라 ESG 경영이 확 뜬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ESG 평가를 좋게 받아야 국민연금이나 여타 투자사들에게 많은 투자를 받기 위해
ESG 평가를 잘 받기 위한 노력을 기업들이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ESG 경영이 잘되야 ESG 평가를 잘 받을 수 있겠지만...기업 특성상 일단 ESG 평가를 잘 받기 위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잘 모르다보니 계속 '알고 있다'라고 문장을 마무리 하고 있네요...이해 좀 부탁드립니다.

아무튼 질문의 요는,
ESG에서 E인 환경부분은 자원을 투입하여 E의 평가를 잘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E에 집중하고 있는데,
식품 관련 기업들이 E의 평가를 좋게 받기 위해서는(혹은 ESG 경영을 잘 할 수 있는)
어떤 역할? 활동?을 해야 할 지에 대한 팁이나 아이디어가 있으실까요?

글이 중구난방이라 이해하시기 어려우시겠지만
PGR 회원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카이
21/03/19 14:09
수정 아이콘
식품기업이라고 하니 너무 포괄적이긴 하지만 가공식품 기업 같으면
포장을 분리수거 친화적으로 바꾼다던가 자연분해 가능 재질로 바꾸는 것이나
가공 시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방편 마련 정도 생각할 수 있겠네요
0126양력반대
21/03/19 14:26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는...

ESG는 기본적으로 투자 기법에 가깝고, 이는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에 이롭지 않은 기업들을 규제하기 때문에

ESG 친화적인 기업이 이런 규제리스크에서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돈이 쏠릴 수 있다는 관정메서 여러 펀드들이 ESG를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블랙 뭐시기 친구도 그렇고. 국내에서도 SK 등 IPO 및 사모펀드와 유연한 관계를 가진 기업들이 ESG에 적극적이구요.

결국, 소비자가 아닌 주식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위한 전략이었는데 국내로 들어오면서 이게 약간 주식보다는 실제 경영에 가까운 개념 (기존 지속가능경영의 업그레이드 버젼)이 되었더라고요.

여튼 이 관점에서 E평가를 잘 받으려면 (소비자한테) 일본처럼 무색 라벨지 활용하여 플라스틱 페트병 음료수를 만든다거나, 생분해성 패키지로 제품을 포장하는 등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올버즈라는 신발 브랜드처럼 제작 과정에 들어가는 탄소량 등을 공개하여 궁극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도 방법이구요.
Phlying Dolphin
21/03/19 14:36
수정 아이콘
요즘의 E는 대부분 탄소 배출량 저감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21/03/19 14:42
수정 아이콘
활동들은 위에서 말씀하신 대로고..
업종에 관계없이 범용성있는 건 내부적으로 환경경영 정책, 조직이 마련되고 그에 대한 성과평가 (주로 ESG 전반의 리스크 관리 성과를 그룹 차원, 각 계열회사 차원, 사업부 차원의 성과평가 체계에 반영하고 잘 평가하고 있는지..)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지, C-level 임원들이 참여하는 이사회 내 위원회 같은 게 마련되어 있는지.. 홈페이지에 주요 활동 목표와 성과지표들을 얼마나 공개하고 있는지.. 환경 관련 비재무보고서는 공개하고 있는지.. 이런 것들도 중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763 [질문] PC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8] 종합백과7698 21/03/22 7698
153762 [질문] FM / OOTP가 잘 돌아가려면 CPU를 좋아야하나요? 램이 좋아야하나요? [3] bifrost10053 21/03/22 10053
153761 [질문] SJPT, TSC Level 3 취득 질문 [5] 하루아빠8030 21/03/22 8030
153760 [질문] 신차 구매시 기존 차의 세금, 보험은 어떻게 처리해야되나요? [4] 고등어3마리8120 21/03/22 8120
153759 [질문] 열역학? 질문 있습니다. (방안에 컴퓨터) [21] 엔지니어8479 21/03/22 8479
153758 [질문] 약정있는 휴대폰 유심을 공기계로 끼워도 상관없나요? [8] I.O.I7748 21/03/22 7748
153756 [질문] 모바일 데이터 요금 질문입니다 [2] psiloveyou4667 21/03/22 4667
153755 [질문] 하드튠과 크리스탈인포 비교 질문입니다 [5] 틀림과 다름6074 21/03/21 6074
153754 [삭제예정] 마통질문입니다. [5] 삭제됨6036 21/03/21 6036
153753 [질문] 서른 넘어서 베프를 사귀기도 하나요? [27] 레너블8057 21/03/21 8057
153752 [삭제예정] 서울 사시는 공무원분들, 집 장만 어떻게 하세요? [23] 삭제됨10394 21/03/21 10394
153751 [질문] 해외납세의무확인 요청 [1] 기나9435 21/03/21 9435
153750 [질문] LOL프로판에서 체급이란? [13] 마법사9238 21/03/21 9238
153749 [질문] 태블릿pc 질문드립니다. [8] Ellesar_Aragorn7527 21/03/21 7527
153748 [질문] 한달 쯤 뒤 이사 예정이라 tv구매를 고민중에 있습니다. [14] 죽력고7309 21/03/21 7309
153747 [질문] 휴대용 모니터 (19인치 이상) 구매하려고 합니다 [1] BlueSKY--9942 21/03/21 9942
153746 [질문] 스위치 링피트 침대위에서 할수있나요? [4] GgNu8859 21/03/21 8859
153745 [질문] 팀파이트 매니저 질문입니다. [5] 아타락시아19397 21/03/21 9397
153744 [질문] 4k TV 최근 구매하신분 계신가요? 티비구매예정인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6] Wanya7925 21/03/21 7925
153743 [질문] 북미와 유럽 국가들의 음악 문화가 제각기 다른가요,,,?? [7] 해피새우7734 21/03/21 7734
153742 [질문] 아랫집 개짖는 소리때문에 잠을 못자는데 이어플러그 추천 부탁드립니다. [2] This-Plus8616 21/03/21 8616
153741 [질문] 제주도 풀빌라? 펜션 추천해주실 분 있나요? [3] LG의심장박용택8414 21/03/21 8414
153740 [질문] 기도의 힘을 조금이라도 믿으시나요?? [43] 하늘운동8521 21/03/21 85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