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9 10:50:37
Name 큐브큐브
Subject [질문] 한국의 월세는 왜 정상화가 안될까요?
유트브에 어떤 교수님이 말씀하시는걸 들어보니
아파트 수익률이 은행 금리밑으로 떨어져있기 때문에
이건 버블이라다고 말씀하시던데
같은 금액의 주거공간이라도 해외에 비해 우리나라 월세가 많이 외곡이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20억짜리 집이면 해외에서는 적어도 500만원정도에는 월세가 나갈것같은데
우리나라는 200만원 내외라고 하더라구요.
전세라는 강력한 대체제가 있어서일까요? 아니면 심리적인 저항선이 존재해서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단비아빠
21/03/19 11:01
수정 아이콘
월세는 대출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죠.
샤한샤
21/03/19 11:02
수정 아이콘
전적으로 전세때문입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도 풀로 내 돈 박아서(주담대 이자까지 내면서) 월세받는거보다 집값의 반을 세입자에게 전가하는 사금융이 수익률이 좋죠
이건 너무 당연한 이야기니 패스.

세입자 입장에서는 전세자금대출의 은행이자 vs 월세 비교해보면 전세가 더 싸보이죠
문제는 전세자금 집주인한테 빌려줘서 이자 한푼도 못받는거보다 그거로 본인의 자본 투자를 해야하는데...
대체로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 못하는 분들이 전세는 사는 이유고
전세살면 거지된다고 하는 이유입니다.
이쥴레이
21/03/19 11:04
수정 아이콘
보증금에 따라 월세 금액이 다른지라, 이야기주신 강남 20억대 아파트도 보증금액에 따라 50~600만원인곳들이 많습니다.
당장 개포레미안만 봐도 보증금이 낮은 1~2억대라면 400만원이상 거래되고 있고..

반대로 보증금이 5억~10억대면 10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다양하게 물량은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게 해외에도 이런한 보증금액이 있어서 높을수록 월세액이 감면이 있는건지
아니면 최소보증금액만 있고 월세액만 높은것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21/03/19 11:06
수정 아이콘
같은 20억짜리 집이라도 질적인 가치는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동일 비교하기는 좀 어렵죠.
그리고 집값 대비 월세로 봐도 그렇지만 소득 대비 주거비 지출로봐도 한국은 낮습니다.

근본 원인이 뭐냐. 집을 많이 지어왔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집을 왕창 찍어내는데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한국이죠. 전세가 바로 그 구조의 핵심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금융 자체가 미발달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생겨나며 미발달 부분을 보완해주는 의미가 있었고, 지금은 과거에 비해 좀 더 크게 작용합니다.
그걸 저해하는 쪽, 즉 사람들이 집을 취득하기 어렵게 만들면 어떻게 되는지를 최근에 현실에서 확인할 수 있었기도 했습니다. 전세가 가격안정에 얼마나 크게 기여해 왔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죠. 신규주택의 공급, 기존주택의 임대 공급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전세입니다. 단순히 월세의 대체재로서의 의미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의 생산과 거래 전반에 크게 작용하며 가격 안정 효과를 가집니다.
큐브큐브
21/03/19 11:12
수정 아이콘
집의 질적인 차이는 의미없죠.
한쪽시장이 거품이 심하게 껴있는 상황이 아니면
같은자본을 투입했으면 비슷한 수익률이 나와야지요.
전투돼지
21/03/19 12:0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게 무위험차익거래 가정인데, 해당 가정이 유효하게 성립하려면 주식처럼 최소한의 비용으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해야합니다.
그런데 임대차계약은 1번 하면 1~2년은 최소 거래가 불가능하고 다른 임대차조건에 대한 정보도 충분히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금리변동에 따른 시장상황이 바로바로 반영되지 않고 비슷한 수익룔도 성립하지 않습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비슷한 수익률로 갈거라고 말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그 이전에 상황이 또 변하니까요
Phlying Dolphin
21/03/19 14:42
수정 아이콘
집값이 아니라 전세와 비교하셔야죠... 같은 단지라면 전월세전환률을 곱해 계산한 렌트비는 거의 같습니다. 지역에 따라(사실 물건/소비자 특성에 따라) 전환률 차이는 있지요.
지구사랑
21/03/19 15:24
수정 아이콘
서로 다른 자산 간에 수익률이 같아져야 한다는 가정은 상아탑에서나 가능하고 현실과는 많이 맞지 않는 가정입니다.
무위험에 가까운 은행 금리와 위험을 감수한 투자가 수익률이 같다면 그 어떤 바보가 투자를 하겠습니까?
문제는 자산마다 적정한 위험 프리미엄이 얼마인지 아무도 알 수 없다는 것인데, 사실은 그래서 서로 다른 투자들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는 각각 서로 다른 수익률과 위험(혹은 변동성)과 효용(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는 심리적인 만족)을 갖습니다.
같은 종류의 자산 안에서도 상세하게 들어가면 서로 달라지죠. (사실 셋 중 개개인의 효용은 계측하기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죠.)
서울 강남의 아파트와 어느 시골 아파트는 수익률, 변동성, 효용 모두 다 다를 겁니다. 삼성전자와 오늘 갓 상장한 어느 신생회사가 다른 만큼이나요.
수익률이 낮아도 변동성이 그만큼 낮으면 받아들일 수 있고, 혹은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효용이 있어도 마찬가지죠.

수익률 하나만 보고 고평가 혹은 저평가 운운하는 것은 헛똑똑이가 아니라면 다른 의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파이팅
21/03/19 15: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월세 계약은 보증금이 너무 비싸요.
미국이나 일본만 봐도 보증금은 렌트비에 1,2달치 요구하는게 일반적인데 한국은 아파트는 1억이상, 빌라는 몇천, 원룸도 몇백을 요구하죠.
이건 외국의 월세가 아니죠. 거의 반전세지...
나이로비
21/03/19 17:51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돈 안낸 세입자 내보내는데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리거든요
집 주인 입장에서 1~2달치 보증금 받았는데 세입자가 월세 밀리면 폭망입니다.(명도소송이 그나마 빠르다고 해도 몇개월 순삭)
그럼 당연히 합리적인 입장에서 보증금을 올리죠

이 또한 제도가 만들어 낸 특이한 점 중의 하나죠
21/03/19 18:17
수정 아이콘
보증금 낮추면 월세가 올라갑니다.
전월세 전환율로 계산하시면 되고..

보증금이 높으니 월세가 상대적으로 낮은겁니다..
더파이팅
21/03/19 20:52
수정 아이콘
그쵸. 그래서 이 글에 대한 답변이라고 봅니다.
월세가 낮은 만큼 보증금이 높다.
우리나라 기준으로야 월세지 타국가와 비교하면 사실상 반전세죠.
21/03/19 23:05
수정 아이콘
타국은 전세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타국은 월세를 미납을 방지하기 위한 보증금이고 관련 법제역시 임차의 경우 월세를 기준으로 제장됩니다
더파이팅
21/03/19 2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타국에 전세가 없는건 알고 있습니다.
제가 모호하게 써서 오해 하셨지만 우리나라 월세는 사실상 반전세 급이라는 겁니다.
월세가 비교적 낮아 보이는 이면에는 타국가와 비교해서 월세 대비 걸어 두는 보증금 비율이 높으니까요.
각각 장단점이 있겠지만 월세로 점진적 전환시 타국과 비교하면 심리적 괴리가 발생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21/03/19 23:13
수정 아이콘
왜 반전세 급이 될수밖에 없냔거죠.
인식이 전세에 맞춰져 있으니 관련법안도 전세도고려해서 맞춰지게 되고 타국 처럼 임차보증금을 낮추기 어렵게 되는거죠.

그리고 임차 비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월세 보증금조차 대출이 되는 이나라에서 보증금때문에 임차의 벽이 있다는것도 앞뒤가 안맞습니다.

오히려 임차비용은 저렴한 편이죠
더파이팅
21/03/19 23:14
수정 아이콘
아니 저한테 따지실게 아니라 이 글이 왜 월세가 싸냐에 대한 답변에 저의 답변은 우리나라만의 특성이 있다는 겁니다. 왜 저에게 공격적인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월세를 부정하는 것도 전세나 반전세를 부정하는 것도 아닌데요...
21/03/19 23:22
수정 아이콘
파이팅님이 답변을 다신 내용을 보면 보증금이 비싸다는 얘기만 하셔서 보증금이 비싼 이유를 적은것 뿐입니다.
더파이팅
21/03/19 23:28
수정 아이콘
네 알겠습니다. 정보 감사 합니다.
21/03/19 23:31
수정 아이콘
더파이팅 님// 아닙니다.
공격적으로 느끼셨으면 사과드립니다.
이라세오날
21/03/19 21:31
수정 아이콘
전세 제도에 대해 은행 대출이 안 되기만 하면 말씀하신 현상은 사라지겠지만

지금 시스템에서 변화하면 지옥도가 펼쳐질 겁니다.
이라세오날
21/03/19 21:32
수정 아이콘
한 10년 전에 외국 이야기 들었는데 2~3억하는 집 월세가 150~200이더라구요

와 수익률 대박이라고 생각했는데 주택이니만큼 관리비도 많이 나오고 세금도 쎄더라구요
투더문
21/03/20 00:42
수정 아이콘
20억짜리 집이면 최근엔 월세로 300 훌쩍 넘어갈걸요? 예금이자보다는 높지 않을까요.
근데 이자보다 낮다는 이유만으로 버블인건 절대 아닙니다. 한가지 이유만 가지고 경제전망 내 놓는 사람 절대 믿지마세요. 현실은 그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Justitia
21/03/20 17:46
수정 아이콘
단순히 전세 때문은 아니구요.
집값이 올라간다고 월세가 비례해서 같이 오를수가 없습니다.
임차인 지불능력(≒수입)에 한계가 있거든요. 집값이 2배 올랐다고 같은 기간 근로자 월급이 배로 뛰었던 건 아니잖아요.

집값이야 서울 오피스텔이 경기 동일평수 오피스텔의 2배가 넘겠지만, 그렇다고 차임을 2배로 내놓으면 안나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804 [질문] 자동차 등록증 이중 발급 질문 있습니다 [4] 시무룩5842 21/03/23 5842
153803 [질문] 음악(가요 가야금 연주) [2] purplesoul6383 21/03/23 6383
153801 [질문] 싸고 간단히 먹을 수 있는 고기? [16] 깃털달린뱀7938 21/03/23 7938
153800 [질문] 유무선 겸용 스피커 관련 질문 (오디오엔진 A2+, HD3) [4] 아기공룡씽씽카7489 21/03/23 7489
153799 [질문] 서울 가성비 좋은 비스포크 전문점 문의 [13] 삭제됨9231 21/03/23 9231
153798 [질문] 소리파일를 희미하게(blur) 편집하고 싶습니다 [5] AKbizs6229 21/03/23 6229
153797 [질문] 플스용 모니터좀 추천드립니다 [4] 리코타홀릭7312 21/03/23 7312
153796 [질문] 갤럭시 버즈를 노트북에 연결했는데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3] monkeyD7229 21/03/23 7229
153795 [질문] 광교 카페거리 맛집 저녁식사 할곳 문의드립니다. [3] TranceDJ7557 21/03/23 7557
153794 [질문] 스마트 TV에 VPN 적용시키는 것 가능한가요? [4] 농심신라면9706 21/03/23 9706
153793 [질문] 차량사고 보험처리 [4] moqq7292 21/03/23 7292
153792 [질문] 터치펜으로만 할수있는 모바일겜 추천받습니다. [9] 요한슨7493 21/03/23 7493
153791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궁금해요궁금해7546 21/03/23 7546
153790 [질문] 삼성핸드폰 튕기는 분 계신가요? [3] 명경지수7339 21/03/23 7339
153788 [질문] 내일 노트20울트라 구입하려고 합니다. [4] 마스쿼레이드7383 21/03/23 7383
153787 [질문] 행복쇼핑 완제품 가격 문의요 (RTX 3060) [3] Seltos6394 21/03/23 6394
153786 [질문] 실거주 1채는 진리?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51] 김보노9332 21/03/22 9332
153785 [질문] 시청역 근처에 조용한 곳 없을까요? [5] 똥꾼8197 21/03/22 8197
153784 [질문] 쿠션 괜찮은 깔창 있을까요? [3] CoMbI COLa5900 21/03/22 5900
153783 [질문] 약과 좋아하시는분 계신가요?? [3] 제니6519 21/03/22 6519
153782 [질문] 3D멀미 없는 PS4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움하하7831 21/03/22 7831
153781 [질문] 에어맥스 모델을 찾습니다. [3] 동네노는아이6517 21/03/22 6517
153780 [질문] 앨범 발매전 선공개로 트랙리스트가 올라오는 공식적인 홈페이지는 없나요? [3] 공근에이스7876 21/03/22 78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