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14 22:51:41
Name OrBef
Subject [질문] 운동 사이사이에 쉬는 시간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이 두 개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1. 운동 사이사이에 (강도에 따라) 15초 ~ 2 분 가량 쉬는 시간이 있잖아요? 이게 너무 길면 안되는 이유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제가 듣기로는 3 분 넘어가면 근육이 식어서 워밍업을 안하고 운동하는 거나 마찬가지 상태가 되는 거라고 듣긴 했습니다. 이게 맞는 건가요?

2. 오늘은 코어만 한다! 이런 날에는 운동 사이사이에 어쩔 수 없이 쉬어야겠지만, 오늘은 어깨와 다리다! 이런 날에는 스쿼트 1세트 - 숄더 프레스 1세트 이런 식으로 돌아가면서 하면 쉬는 시간을 훨씬 줄이고 주욱 달릴 수가 있지요. 어깨 하는 동안 다리가 쉬니까 (반대도 마찬가지) 운동도 훨씬 쉽고요 (중량을 더 늘이고자 하면 늘일 수도 있겠지만 저는 나이가 좀 있어서 무리하진 않으려고요). 근데 남들이라고 이런 부분을 모를 리가 없는데 이런 식으로 하지 않잖아요? 이것도 1번과 비슷한 이유에서 그런 건가요?

미국 거주중이고 여기는 코로나가 훨씬 심해서 체육관에 갈 수 없습니다. 해서 달리 조언 구할 곳이 없네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1/02/14 23:14
수정 아이콘
1. 그런거 없습니다. 운동 목적에따라, 근육 종류에 따라 쉬는 시간 다르게 가져갑니다
2. 이건 직접 해보시면 바로 왜 그렇게 안하는지 이해하실겁니다...
21/02/14 23:21
수정 아이콘
1 - 오 그런가요? 운동은 어렵군요...
2 - 는 제가 사실 종종 저렇게 하는데 예를 들어서 덤벨컬 - 덤벨 런지 이렇게 돌려보면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집에 있는 덤벨이 가벼워서 그런가봐요.
리얼월드
21/02/14 23:38
수정 아이콘
2 - 아.. 무게가 가벼워서 그런거면
횟수를 늘리기, 슈퍼세트, 쉬는시간 줄이기, 운동 속도 줄이기 등등 해보시면 강도가 올라갈겁니다.
근데.. 가벼운걸로 집에서 하면 말처럼 쉽지 않더라고요, 동기부여가 잘 안되서 ㅡㅜ
21/02/14 23:59
수정 아이콘
어차피 몇 달은 더 집에서 해야할 것 같으니 적당한 무게로 한 세트 더 사야겠어요. 이런 돈은 아끼지 않는 것이 맞겠죠.
장헌이도
21/02/15 10:30
수정 아이콘
조립형으로 사세요! 한 50파운드 정도까지 조절 가능한!
스타나라
21/02/14 23:20
수정 아이콘
1. 운동 사이의 휴식시간은 운동의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근지구력 향상이 목적인 운동을 할 때는 셋트간 휴식시간이 짧아야 효과적이고, 스트렝스 향상이 목적인 운동을 할 때는 셋트간 휴식시간이 길어야 효과적입니다. 전자의 방식은 휴식을 짧게줘서 지구력을 높이는 방식이고, 후자의 방식은 휴식을 최대한 보장하여 셋트당 최대 출력을 보장하는 방식입니다.
3분 이상 휴식을 취한 경우는 없어서 잘 모르겠는데 아마도 운동 효율의 저하 측면에서 언급된게 아닌가 합니다.

2. 근육의 부분만을 따지자면 하체와 어깨는 서로 인접한 근육도 없고 완전히 독립된 부분으로 볼 수 있지만, 운동에는 타겟 근육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체력"도 사용하게 됩니다. 게임상의 HP 같은거요. 그러니까... 어깨와 다리를 운동위 휴식 사이사이에 배치하게되면 힘들어서 못하게됩니다. 그래서 보통 "분할 운동"을 할 때는, 큰 부위로 분할을 하고, 해당 부위의 운동을 할 때는 또 다시 분할을 해줍니다. 하체로 따지면 대퇴사두 / 둔근 / 종아리 이런식으로요. 물론 하체와 어깨를 묶어서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만. 흔하지는 않습니다.
21/02/14 23:23
수정 아이콘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대충 이해했습니다.
장헌이도
21/02/15 0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2. 그런 개념의 운동도 존재합니다. 서킷 트레이닝이라고 불리지요. 서킷 트레이닝이 헬스장 운동(?)의 주 운동이 되지 않는 이유는 운동 목적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는데,
보디빌딩식 운동의 경우: 운동 전체 볼륨(총 든 무게수: 무게x반복수x세트수)을 크게 가져가야 하는데, 서킷을 하면 무게를 평소보다 조금 낮게 잡아야 하니 각 부위당 전체 볼륨량이 줄어들어 근육 발달에 충분히 쉬어가며 하는 운동보다 결과물이 안 좋다. 그리고 이렇게 하루 하고 나면 다음날 쉬어야 해서 또 볼륨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생긴다.
스트렝스 훈련의 경우: 스트렝스는 충분히 쉬어주면서 힘을 기르는 거라서 저렇게 근육이 완전히 리크루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 굳이 운동할 필요가 없다.

뭐 이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서킷 트레이닝은 일이주에 한 번씩 전신을 해 주면 느낌 좋습니다. 근데 원래 힘든 운동인데, 마스크 시국이라 더 힘들어서 잘 못하겠음...
21/02/15 05:50
수정 아이콘
아하, 위에서 리얼월드님과 나눈 이야기와 합쳐보면, 제가 아주 원시적인 (그리고 아마 아주 비효율적인) 서킷 트레이닝을 하고 있던 셈이네요 하하하;;; 잘 모르면서 고급 훈련을 하는 것은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드니 일반적인 분할 운동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아이부리
21/02/15 09:22
수정 아이콘
답변은 잘 들으신거 같으니 같은 운동초보로서 댓글 남깁니다. 꾸준히 화이팅!
21/02/15 09:3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화이팅이에요!!
케이지애
21/02/15 10:14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효율의 문제입니다.
처음에는 운동 목적도 확실하지 않고 자신의 몸과 능력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초심자들에게 세트 사이에 1분30초~2분정도 휴식이 효과적이라는 것이죠.
스쿼트 한번, 프레스 한번 돌아가면서 하는 것보다 스쿼트 5세트를 연속으로 하는게 훨씬 더 자극을 주기 쉽습니다.
익숙해지시면 세트수 시간 반복횟수 이런건 알아서 조정하시게 될겁니다.
그전까지는 일반적인 방법(대부분의 사람들이 하고 있는)으로 하시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2979 [질문] 차 앞유리 청소 어떻게들 하시나요? [9] 앗흥8721 21/02/18 8721
152978 [질문] 운동 매일하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텀을 두고 하는 것이 좋나요? [23] ipa13523 21/02/18 13523
152977 [질문] 수입 버터 추천 부탁드려요 [15] dfjiaoefse8135 21/02/18 8135
152976 [질문] 이번학기에 복학신청해야되는데 복학하고 나서 휴학해도 되나요? [10] 교대가즈아6188 21/02/18 6188
152975 [질문] 혹시 오늘 삼성휴대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후 [5] 먹어도배고프다8872 21/02/18 8872
152974 [질문] 엑박패드 - 닌텐도 스위치 호환질문입니다 [6] 담원20롤드컵우승7044 21/02/18 7044
152973 [삭제예정] 원신 리세계 관련 질문 [15] 달달각6320 21/02/18 6320
152972 [질문] 엑셀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4] The Seeker6024 21/02/18 6024
152971 [질문] 액정필름 기포 발생 현상 [4] 생겼어요7988 21/02/18 7988
152970 [질문] 혹시 일본 오래 사셨거나 거주 오래 하신분들 있으실 까요? [6] 헛스윙어6920 21/02/18 6920
152969 [질문] 탄산이 아닌 (단맛) 제로칼로리 음료수 없을까요? [9] 스물다섯대째뺨7479 21/02/18 7479
152968 [질문] 컴퓨터 본체 추운데 있다 키면은 소리가 크게 납니다. [1] 삭제됨5725 21/02/18 5725
152967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4] 금빛구름6909 21/02/18 6909
152966 [질문] Uhd 안드로이드tv 추천부탁드립니다. [5] 청소좀하지6730 21/02/18 6730
152965 [질문] 30대후반 남성 조언 부탁드립니다 [16] 좋습니다12546 21/02/18 12546
152964 [질문] 와이파이 부스터 질문. 와이파이 질문 [7] 비밀친구6653 21/02/17 6653
152963 [질문] 유럽에 몇 나라에 대한 이미지?가 궁금합니다. [4] 레너블9674 21/02/17 9674
152962 [질문] 북에서 넘어온 20대 남성이 민간인일 가능성? [7] 치느8385 21/02/17 8385
152961 [질문] [엑셀] index,match 함수 질문 보완해왔습니다. [4] 연애잘합니다8553 21/02/17 8553
152960 [질문] 자동차 시동 걸때 쿨럭거리면서 힘겹게 걸립니다. [9] 라비7132 21/02/17 7132
152959 [질문] 헬스를 이제는 분할을 해서 진행을 해보려고 하는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9] 웃어른공격5425 21/02/17 5425
152958 [질문] [축구] 현대축구에서 다득점 경기가 잦은 이유는? [8] 올해는다르다5122 21/02/17 5122
152957 [질문] 우체국에 안가고 등기보낼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 Demi6124 21/02/17 61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