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02 15:16:51
Name 두점
Subject [질문] 컴퓨터 견적 봐주세요
CPU        AMD 라이젠3-2세대 3200G (피카소) 멀티팩
메인보드        GIGABYTE GA-A320M-S2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메모리        삼성전자 DDR4-3200 4GB * 2
SSD        Western Digital WD Blue 3D SSD 250GB
하드디스크        Seagate BarraCuda 5400/256M ST4000DM004, 4TB
케이스        아이구주 HATCH 6 플렉스 메쉬 강화유리 블랙
파워        topower Guardian TOP-500DG Single Rail 80PLUS BRONZE
모니터        삼성전자 S24D300
조립비        샵다나와 기본조립 + 1년 전국 무상 방문 출장AS (1대분)

컴퓨터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인벤 추천 견적 사무용 구성에 약간 추가해봤습니다.
지금 쓰고 있는 컴퓨터 사양은 intel i3-3220 / Asrock B75M / DDR3-1600 4G * 2 / Samsung SSD 830 128G 입니다.

하는 게임은 하스스톤 밖에 없고, 동영상+ 음악 감상용입니다.

1. 성능 업그레이드가 아닌 잦은 고장에서 벗어나는 게 목적인 견적이지만 성능 차이는 많이 날까요?
2. 기존 컴퓨터에서 쓰던 부품(SSD와 하드디스크,메모리 등)은 새 컴퓨터에 그냥 꽂아 쓸 수 있나요?
3. 블루투스 디바이스 연결하려면 블루투스 동글(?)인가 사면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고라스
21/02/02 15:31
수정 아이콘
1. 성능 차이는 좀 나겠지만 기본적으로 컴퓨터로 하시는 것들이 크게 성능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서 체감하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2. SSD만 사용 가능하십니다
3. 블루투스 동글 사용하시면 됩니당.
21/02/02 15: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기존 하드에 있는 데이터 옮기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21/02/02 15:47
수정 아이콘
기존 하드와 새 하드를 모두 장착해서 쓰시면 가장 간단하고, 기존 하드를 아예 안쓸거라면 외장하드케이스를 사서 거기에 기존 하드를 넣어서 데이터를 새 하드로 옮기면 됩니다.

기존 하드가 용량이 작은 500기가 짜리 같은 것일 경우 굳이 달지는 않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드 갯수가 늘어나면 컴퓨터가 조금이라도 더 버벅거리니까요. 그래서 용량이 작은 하드라면 달지 않는 것도 좋습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해놓고(물론 새 하드에도 그 데이터는 있어야겠죠. 안전을 위해서 백업) 책상 속 같은 곳에 쳐박아 두는 용도로 쓰다가 가끔 외장하드케이스에 넣어서 추가로 더 넣어주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죠.
21/02/02 15:52
수정 아이콘
외장 하드케이스가 있군요. 감사합니다.
21/02/02 15:41
수정 아이콘
램을 8G 2개로 하던가, 1개로 하던가 둘 중 하나를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4G는 나중에 팔기도 힘들걸요.
듀얼채널(램의 갯수가 두개) 안해도 체감 성능 차이는 거의 없으니, 8G 하나만 하는 것도 괜찮아요.
요즘은 대부분 8GX2로 구성을 하는데, 고장이 최대한 없는게 목적이라면 16G 하나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다만 예산을 최대한 아끼려고 하시는 것 같으니 일단은 그냥 8GX1이 맞을 것 같습니다.

1. 기존의 컴과 성능 차이는 상당히 많이 납니다.

2. 기존 컴의 램이 DDR3라서 새컴퓨터에 장착은 불가능합니다.
SSD와 HDD는 그런거 상관없이 그냥 쓸 수 있구요.

3. 네

모니터는 웬만하면 27인치가 좋지 않을까요. 저라면 케이스를 2만원짜리로 사고 하드를 나중에 사는 한이 있더라도 모니터를 큰걸로 할 것 같은데요.

그래픽카드를 안쓰면 발열이 사실상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에 케이스 쿨링 같은건 전혀 신경을 안써도 되고, 케이스의 크기도 클 필요가 전혀 없죠.
하드를 많이 쓰는 경우에도 케이스를 좋은걸 써야 하는데 그것도 아니죠. 2만원 미만의 미들타워/미니타워 중에서 유행을 안탈것 같이 생긴 심플한 디자인의 케이스를 선택하는게 가성비로는 가장 좋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디자인을 추구하는거라면 어쩔 수 없겠구요.
21/02/02 15:5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컴퓨터 부품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서 인벤 견적에 나온 대로 카피했는데 두 개로 할 필요가 없군요.
모니터는 기존 쓰던 크기에 별 불만이 없고 책상도 넓지 않아서 그대로 하려고 할까 생각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말하듯이 더 큰 모니터도 생각해봐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2665 [질문] 발코니 커다란 유리 미닫이문 어떻게 들어내면 좋을까요 [3] 앗흥4703 21/02/05 4703
152664 [질문] [LOL] 칼바람 1:1 강캐? [8] 레이오네5848 21/02/05 5848
152663 [질문] 김서림 없는 보안경? [3] 썰렁마왕4455 21/02/05 4455
152662 [질문] 여러분의 다회차로 가장 재밌게 한 플스게임 무엇인가요? [8] Venom7051 21/02/05 7051
152661 [질문] 기존 상가건물 재건축시 임차인 재입주 과정이 궁금합니다. [1] 콜센터남4165 21/02/05 4165
152660 [질문] 책 이름을 찾습니다 [2] habsburg4262 21/02/05 4262
152659 [질문] 스트레스 해소용 게임 어떤 게 있나요? [11] 쉴더6571 21/02/05 6571
152658 [질문] 주식에 한번 기웃거려볼까 하는데요 [7] Dunn6080 21/02/05 6080
152657 [질문] 강남 키보드 타건가능한곳 [2] cs10263 21/02/05 10263
152656 [질문] 카운터사이드를 해보려고합니다 리세계 조언부탁드립니다 [1] 키모이맨6688 21/02/05 6688
152655 [질문] 그래픽카드 3080 3070 가격문의 [8] lobotomy5275 21/02/05 5275
152654 [질문] 모바일 파워포인트로 빔 프로젝터 사용 중 화면 꺼짐 현상. 작고슬픈나무7388 21/02/05 7388
152653 [질문] 왜 스타크래프트 프로는 이름을로 불렸을까요? [37] 파핀폐인9781 21/02/05 9781
152652 [질문] 모니터 선택에 대한 질문(QHD vs UHD) [8] 아지노스6753 21/02/05 6753
152651 [질문] 핸드폰 바꾸려고 하는데요 [2] 페스티5992 21/02/05 5992
152650 [질문] 집에 있기 싫은데 어디 가야할까요? [31] 포이리에6866 21/02/05 6866
152649 [질문] 아이폰 관련 질문 (feat. 브롤 스타즈) [2] Cafe_Seokguram5021 21/02/05 5021
152648 [질문] 주차 관련 질문입니다. [6] 키스 리차드5002 21/02/05 5002
152647 [질문] 미국 스포츠에서 아메리칸/내셔널이라는 분류는 어디서 온 걸까요? [10] 及時雨5119 21/02/05 5119
152646 [질문] 30대 여자에게 괜찮은 화장품은 뭐가 있을까요? [11] 삭제됨5005 21/02/05 5005
152645 [질문] 주식하는데 소식 듣고 오는 친구들의 정보통? [12] 호아킨6384 21/02/05 6384
152644 [질문] 어제 나온 대책으로 재건축 아파트는 이제 매도의 risk가 생긴거 아닌가요? [4] LG의심장박용택4723 21/02/05 4723
152643 [질문] 에어팟 관련 질문 [15] 어빈5859 21/02/05 58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