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29 11:37:53
Name 제로콜라
Subject [질문] 독서를 잘하기 위한 방법?
안녕하세요.

요즘 관심있는 분야가 생겨서
독서의 중요성을 깨닫고 조금씩 책을 보고 있습니다.

어릴때부터 책을 멀리했고 언어 관련 성적도 좋지 못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고 대충대충 보다가
바로 위의 내용이 뭐였지 하면서 몇번이고 다시 올라가서 읽고있는 저를 발견하게 됩니다.

책을 잘 읽는 노하우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핀폐인
21/01/29 11:56
수정 아이콘
저는 다회독이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시험준비 or 전공서적을 읽는 중요도가 아닌이상 님같은 현상이 어찌보면 자연스러울수도 있어요. 저도 400페이지 책을 읽는다고 가정하면 한 중반 200페이지쯤부터 조금 루즈해지면서 한땀한땀 읽는다기 보단 후루룩 후루룩 넘어가고, 다시 클라이맥스 부분에서 집중하고 이러거든요 크크. 써주신대로 읽다보면 어? 앞에 20페이지 전에 무슨내용이었지? 싶은 경우도 있고요. 가볍게 읽으시되 책이 괜찮다 싶으면 저는 2~3번 읽는 타입입니다. 어디까지나 취미로 독서하는 경우에는요.
거짓말쟁이
21/01/29 11:57
수정 아이콘
책을 공부 한다고 생각하고 억지로 눈에 담으려고 하면 진도가 안나가고 지루하고 포기하게 되더군요. 건성 건성으로 계속 읽으시다가 어느 구절 팍 와닿거나 눈에 들어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 그 부분에 책갈피를 두거나 메모를 해놓고 또 넘어갑니다. 그러면 또 건성건성으로 읽으면서 진도를 나가다가 맘에 드는 구절이 나오면 또 똑같이 기록하는 식으로 반복..

이러면 책의 30% 정도는 제대로 읽으면서 끝까지 진도를 나가게 되는데 굳이 머릿속에 책을 다 담으려고 할 필요 없습니다. 그냥 한 권 다 읽었다고 뿌듯해하면서 책장을 덮습니다. 그리고 그 뿌듯함과 30% 건진 내용을 동력으로 또 다른 책을 읽습니다... 관심 있는 분야의 책일테니 이전에 읽었던 책들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면 이해가 더 잘되기 때문에 건성건성 읽어도 책이 눈에 더 잘 들어옵니다..이 책은 31%를 건졌네요..

이런식으로 독서량을 늘려나갑니다. 책 읽는 거에 너무 힘주고 이제부터 열심히 책을 읽고 완독을 하자 하는 태도는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거짓말쟁이
21/01/29 11:57
수정 아이콘
파핀폐인님 댓글과 통하는 부분이 좀 있네요..안 보고 쓴건데...찌찌뽕..
회색사과
21/01/29 11:59
수정 아이콘
자기 난이도에 맞는 책을 찾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작가의 한 호흡이 한 번에 읽히지 않으면 암만 좋은/재밌는 책 갖다줘도 못 읽어요
북극곰이크앙해따
21/01/29 12:36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론 책 읽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노트에도 같이 쓰면서 읽습니다. 그러면 훨씬 이해가 잘되고 기억도 오래 보존됩니다. 그리고 제가 쓴 내용들을 모아 놓고 시간 날 때 가끔 읽습니다. 안 그러면 책 읽어도 한 달만 지나도 다 까먹어서요...

근데 사실 노트 쓰면서 읽다 보면 손목이 엄청 아프고 쓰는 시간이 또 의외로 꽤 걸려서 책 한 권 읽는데 한 세월 걸립니다. 그래서 전 몇 년 전에 태블릿 하나 사고 거기에 전용 키보드 연결해서 타이핑하면서 책 읽습니다.
팔라완
21/01/29 13:2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북극곰이크앙해따가 아주 중요한 부분이셨군요
21/01/29 12:37
수정 아이콘
뭐든 많이 읽어야 하는데 많이 읽으려면 즐기면서 읽어야겠죠.잘하려고 하면 쉽게 흥미 잃고 지칠거 같네요. 너무 머릿속에 넣으려고 강박 가지지 마시고요 좋은 책은 다 읽고 한 번 더 읽으면 되고 더 좋은 책은 몇년 뒤라도 생각날 때 또 한 번 더 읽으면 됩니다.
여우별
21/01/29 12:53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해서 이제라도 좀 지식습득에 갈망을 느껴서 유튜브로도 관련 영상 보면서 하고 있는데
며칠 전에 비문학 도서 중에 저스티스 다 끝냈는데 어려운 책이다 보니(다른 분께는 어떻게 느끼셨을지는 몰라도 저한텐 어렵더군요 조금.. 그래도 흥미는 유발시켜서 다 읽었습니다)
[중간 중간에 의문이 들거나 왜 이래야 하는거지? 하는 부분은 메모어플에 해당 구문만 필사하면서 나의 감상과 곁들이면서] 독서를 해봤어요.
그랬더니 지금까지 대략 기억에 남는 것들이 꽤 있네요.
인생은 칸트처럼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면서요 흐흐..
요즘은 또 고전문학에 꽂혀서 지금 밀란쿤데라 참을수없는존재의가벼움 읽을려고 시동 중입니다
21/01/29 13:19
수정 아이콘
첫페이지 다섯 글자를 스타카토처럼 끊어서 읽고 시작하세요
제로콜라
21/01/29 14:53
수정 아이콘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Hudson.15
21/01/29 14:54
수정 아이콘
그냥 반복해서 읽어보시는게 어떨까요? 전 이해 안 되면 같은 부분을 계속 읽고 다음 날 새로운 파트 보기 전에 한 번 더 보거든요.
21/01/29 15:18
수정 아이콘
독서는 그냥 읽어야 늘어납니다; 그걸 위해서 중요한건 책에 재미를 느끼는거고요.
책에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자기가 관심있는 포인트를 공략하는게 중요하죠.
도서관같은곳에 가서 이런저런 분야의 책을 둘러보시면서 흥미생기는 책부터 읽는게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문화사 같은 책은 위키 읽는 느낌으로 읽어가다보면 재미있죠)

한번에 다 읽어낸다는 마음보다는, 읽고 어느정도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는것도 좋습니다.
정 이도저도 아니면, 그냥 눈에 들어오는 부분을 밑줄쳐가면서 읽는 방법도 있고요.
독서노트같은거 쓰기도 하는데, 이런 방법적인 측면은 사실 너무 집착할 필요가 없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재미'입니다. 얼마나 재미를 느끼느냐에요. 즐기는자 모드가 최고입니다.
StayAway
21/01/29 16:27
수정 아이콘
목차를 먼저 자세히 꼼꼼하게 보세요.
coolasice
21/01/29 16:30
수정 아이콘
쫌 어렵다 싶은 책은 유튜브로 내용설명 들어가면서 읽으시면 눈에 더 잘 붙습니다
조말론
21/01/29 16:46
수정 아이콘
많이 읽기
잘쓰인 책이라 가정하고 단락단위로 요약을 머리로 하며 읽기
요슈아
21/01/29 17: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신이 가장 관심있고 흥미있으며 [재미]있는 책에 먼저 투자하세요.

특히 몰입감이 높고 휙휙 읽어버릴 수 있는 양판소가 의외로 괜찮은 독서교재입니다.
책을 읽고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빠르게 읽는 속독이 되기 시작하면 책읽기가 편해지죠.
속독이란 빠르게 읽으면서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고요.

세계문학전집이라느니 명작전집이라느니 이런거 처음부터 이해도 안 되는데 힘들게 따라가지 말고 쉽고 빠르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 최대한 이해 가능한 정도로 빠르게 읽는 습관을 들이세요.
페이지 휙휙 넘기면서도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오기 시작한다면 성공입니다. 속독이라는게 의외로 별거 아닙니다(?)
마제스티
21/01/29 18:31
수정 아이콘
목차보면서 무슨말인지 이해하면서 읽으세요
사이먼도미닉
21/12/01 11:15
수정 아이콘
재미있어 하는 주제와 얇고 쉬운 책을 위주로 먼저 시작해보세요.

저는 무조건 속독을 추구하기 보단 책의 내용의 따라 달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먼저 가볍게 읽을 만한 책으로 시작에서 점점 깊이를 올리는 게 좋을 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2547 [질문] LLLT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검증? 차라리꽉눌러붙을5869 21/02/02 5869
152546 [질문] 조카 선물 추천 좀해주세요 [5] 롯토4858 21/02/02 4858
152545 [질문] 연말 정산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곰거북4941 21/02/01 4941
152544 [질문] 갤20 -> 갤21로 바꾸는게 나을까요? [8] Jean Coq de Raltigue5136 21/02/01 5136
152543 [질문] 어떤 신발을 선물로 받으면 좋을까요? [8] 쉬군4963 21/02/01 4963
152542 [질문] 쿠키런:킹덤 하시는 분 있으신가요? (+친구추가 및 팁 공유 문의) [8] 은하관제5409 21/02/01 5409
152541 [질문] 상가투자에 대해 좀 아시는 분들 있을까요? [3] LG의심장박용택5877 21/02/01 5877
152540 [삭제예정] 프로포즈 선배님들 제 아이디어 좀 검사해주세요. [11] 삭제됨6113 21/02/01 6113
152538 [질문] 구글 크롬에서 저장된 html파일 번역하는 기능이 없어졌나요? [1] Meanzof9362 21/02/01 9362
152537 [질문] 안녕하세요 설문조사 사이트 관련 질문드립니다. 마스쿼레이드5545 21/02/01 5545
152536 [질문] 분양전환 민간 아파트가 당첨되었는데 고민이 됩니다.부린이주의... [6] 마로니에6754 21/02/01 6754
152534 [질문] 일 숙직료 과세 비과세 여부 [1] 파란무테5291 21/02/01 5291
152533 [질문] 고전 게임 제목 찾읍니다. (해결) [3] KOS-MOS4994 21/02/01 4994
152531 [질문] 모임 총무가 돈을 조금씩 덜 낸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35] 코시엔9185 21/02/01 9185
152530 [질문] 무선청소기 구입 질문입니다. [2] kogang20014780 21/02/01 4780
152529 [질문] 유연성 향상 스트레칭 추천부탁 드립니다. [1] 호아킨4689 21/02/01 4689
152528 [질문] 갤럭시 폰끼리 영상통화 [7] 늅늅이5372 21/02/01 5372
152527 [삭제예정] 책 어떻게 읽으세요? [18] AW7045 21/02/01 7045
152526 [질문] 포장이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Arya Stark5559 21/02/01 5559
152525 [질문] 오큘러스 퀘스트 2 관련 인터넷 질문입니다 [6] 인생은서른부터6763 21/02/01 6763
152524 [질문] 주식계좌변경관련 문의 [5] 외국어의 달인4758 21/02/01 4758
152523 [질문] 지나가는 사람의 향기 궁금합니다 [6] 포이리에5660 21/02/01 5660
152522 [질문] 입덧은 점점 심해지나요? [14] LG의심장박용택5535 21/02/01 55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