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07 17:08:09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공뭔 하면서 다른 전문성 키울 수 잇는 게 뭐가 잇을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20/12/07 17:12
수정 아이콘
직업안정성을 위해서는 뭘 더 할 이유가 없고
고소득을 위해서 전문 자격증 공부를 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큰 꿈이 있는게 아니라면 재테크 공부가 무난할거 같습니다.
20/12/07 17:16
수정 아이콘
재테크
잘버는것도 중요하지만 잘 굴리는게 더 중요해요.
20/12/07 17:16
수정 아이콘
재테크 아니면 코딩이 나을 것 같네요. 데이터 사이언스나 AI 쪽으로요.

형사고발당할 일만 안 하시면 직업 안정성은 걱정 안하셔도 될 겁니다.
모나드
20/12/08 14:47
수정 아이콘
경력이 공무원인데 독학했다고 뽑아줄까요.. 학사에 석박도 넘쳐나는데
20/12/08 15:34
수정 아이콘
아 저는 프로그래머로 전직하시라는 게 아니라 코딩하는 공무원이 되시라는 뜻이었습니다.
프랑켄~~
20/12/07 17:20
수정 아이콘
없어요..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이길이 아니다 싶었을 때, 빠르게 그만두는게 좋습니다. 조금이라도 젊었을때 그만둬야 다른거라도 하지
늦어지면, 진짜 다른걸 할수가 없어요..(공무원 사직도 신규직원들이 대부분이에요. 10년차 쯤되면 다른 걸 할게 없어서 그만둘수가 없음)
섹무새
20/12/07 17:30
수정 아이콘
제테크나 승진 공부하는 게 좋죠.
승진을 위해서는 석사, 박사 학위 공부하시는 게 좋을듯해요.
아시겠지만 공직도 학벌을 엄청 보잖아요.
20/12/07 17:45
수정 아이콘
전문직이면 보통 아에 공무원에서 업그레이드로 보지 않나요
부업 같은개념으로 웹소설 유튜브 해보라고 추천 많이 하더라구요
그리고 무슨 직업이건 커리어 리셋하고 딴업종가는데 독학으로 경력자들이랑 경쟁력 있기 힘들죠 정답에 가까운건 안짤리기가 답이죠
조말론
20/12/07 17:46
수정 아이콘
몇급 시작이시냐에 따라..
하얀마녀
20/12/07 17:50
수정 아이콘
머 사람마다 다를텐데.... 그냥 본인이 잘하는거 위주로 남들보다 나은실력을 쌓을 수 있으면 좋겠죠..... 친구 중에 공무원 하면서 취미로 사진 찍다가 퇴직하고 전업 사진작가로 나선 친구가 있는데..... 벌이는 공무원 때랑 크게 차이는 안나지만(좀 더 벌기는 함) 인생은 즐겁다고 하더군요...... 다만 서울시내에 아파트 하나 물려받은 금수저라는거.....
20/12/07 18:20
수정 아이콘
공인중개사
이혜리
20/12/07 19:07
수정 아이콘
없습니다.

전산이나, 건축쪽 기술직 공무원이라면 있는데, 예전에 알기로 일행이었던 것 같은데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재테크의 꽃은 직업 걸고 레버리지 풀로 땡겨서 저지르는 것에 있다고 생각하는데,
피부관리나 제모를 위한 마통개설도 걱정하는 성격상 그것도 좀 힘들 것 같고.

제가 님 같은 상황이라면, 굳이 뭘 하려고 하기 보다는.
1. 이 길이 아닌 것 같다 싶으면 망설이지 말고 빠르게 튀어 나와서 전문직 공부를 하든 다른 길을 모색할 것이고.
2. 뭐 그냥 저냥 다닐만 하다 생각이 들면, 취미 생활 두 어개 정도해서 업무 외 시간을 진짜 진짜 즐겁게 살 겁니다.
사당보다먼
20/12/07 19:09
수정 아이콘
공무원 그만두고 다른 일 할 만한 능력이 있으면 당장 그만두고 그 일을 하는 것이 보통 돈도 더 받고 좋을 거에요.
보통 이런 거 신경 안쓰려고 공무원 하지 않나요? 그래서 공무원은 더욱 타의로 잘리지 않게 몸사려야 하고, 자의로 그만두지 않아야 합니다.
This-Plus
20/12/07 20:05
수정 아이콘
그냥 공무원 일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짬짬이 독학으로 갑자기 현업에 뛰어들 수 있는 번듯한 직업이란 건 없어요.
그런 재능이라면? 지금부터 그걸 하는 게 이득입니다.
Tyler Durden
20/12/07 21:13
수정 아이콘
닭집이 현실적이지 않을까...
부모님 아는 분도 퇴직하시고 닭튀기시던데
kartagra
20/12/07 22:14
수정 아이콘
파트타임 석사라도 따보시는게 어떨까요? 그거 말고는 딱히 현실적으로 생각나는게 없는듯..
20/12/07 23:57
수정 아이콘
취미로 즐길수 있는 좋아하는걸 꾸준히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싫어하는건데 미래 대비한다고 억지로 하게 되면 그만둘 확률이 99%니까요.
열혈둥이
20/12/08 07:21
수정 아이콘
코딩 or 3d 모델링 or 소설쓰기

개인적으로 재밋으면서 인생에 도움된다고생각하는 취미3종입니다.
취향에 맞춰고르세요
바람기억
20/12/08 09:07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승진'이 재테크예요. 현실적으로 그렇습니다.
20/12/08 09:14
수정 아이콘
선생님 공무원은 가늘고 길게 붙어 있을 생각으로 하는거지 나갈 생각으로 하시면 결코 오래 못 버티십니다...
영어 실력 있으신거 같으니까 감 떨어지지 않을정도로 유지만 하시고 현실적으로는 본인 취미생활이나 재태크에 몰두하시는게 낫습니다.
2021반드시합격
20/12/08 09:43
수정 아이콘
20년 전에 공직 시작하신 옛날 공무원이시긴 하지만
이모님이 9급부터 시작한 지방 공무원이십니다.
이모님 전공이 외국어여서 쭉 공부하며 살렸더니
연수 등등 내부에서 좋은 기회가 많이 열렸다고 가끔 말씀하시더라고요.
내부에서 좋은 경험 쌓으면 외부에서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발음기호
20/12/08 12:44
수정 아이콘
주식 같은 재테크를 열심히 하는게 좋은거 같습니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024 [질문] 나중에도 학군의 중요성은 계속 존재할까요 [44] LG의심장박용택9829 20/12/11 9829
151023 [질문] 미국에서 아기가 자랄때 주 활동구역 질문(뻘) [6] 양밤5365 20/12/11 5365
151022 [질문] 보관해뒀다 바로 먹을 수 있는 반찬이 뭐가 있을까요? [18] 잉차잉차6006 20/12/11 6006
151021 [질문] 컴퓨터 구매 이륙 허가 요청 / 대체품 문의 [16] Alcohol bear8019 20/12/11 8019
151020 [질문] 사이버펑크 PC? PS4 Pro? [6] LeNTE7627 20/12/11 7627
151019 [질문] [컴맹]동시입력이 되는 조용한 키보드 질문 [9] Alcohol bear5635 20/12/11 5635
151018 [질문] 어제까지 멀쩡하게 접속되었던 사이트가 ERR_SSL_PROTOCOL_ERROR로 접속이 안됩니다. [2] 요한슨5646 20/12/11 5646
151017 [질문] 교통사고 당했는데 블랙박스 등 정황 증거가 없을 때ㅜㅜ [8] 2021반드시합격10435 20/12/11 10435
151016 [질문] 이 사양으로 사펑2077 어느옵션으로 돌릴 수 있을까요? [4] Sebastian Vettel6631 20/12/11 6631
151015 [질문] 강릉 대게 먹을만한 횟집 추천 부탁드릴게요. [10] 신촌로빈훗6464 20/12/11 6464
151014 [질문] 겨드랑이랑 사타구니에 실선 모양의 멍이 생기는데 뭘까요? [12] 코사카 호노카8084 20/12/11 8084
151013 [질문] 컴맹이 볼만한 책자 추천부탁드립니다 [2] 틀림과 다름6281 20/12/10 6281
151012 [질문] 유튜브로 동영상 파일(.mp4)을 스트리밍 할 수 있나요? [2] ComeAgain5527 20/12/10 5527
151011 [질문] 90년대 한국 방영 일본 애니메이션 질문입니다 [5] 샤르미에티미6990 20/12/10 6990
151010 [질문] 손흥민의 현 시점 축구력 순위는? [7] 4월6050 20/12/10 6050
151009 [질문] 여자친구와 카톡 짤을 찾습니다(다른 여자가 꼬리칠때) [2] cs8052 20/12/10 8052
151008 [질문] 차운행중 중립으로 변경하면 차에 무리가 가나요? [24] will7399 20/12/10 7399
151007 [질문] 신생아 수면교육 [6] 비밀친구5492 20/12/10 5492
151005 [삭제예정] 강아지 한마리 키우는데 한달 비용이 얼마하나요? [23] 삭제됨8869 20/12/10 8869
151004 [질문] 백엔드 기술면접 질문입니다 [4] 밥오멍퉁이7994 20/12/10 7994
151003 [질문] 아이폰12프로 구매방법 [3] 아연아빠7381 20/12/10 7381
151002 [질문] 보험사에서 교통비 입금이 이리 오래 걸리나요? [3] 탄야7298 20/12/10 7298
151001 [질문] [KBO] 내년 우승확률 50%를 담보하는 선수 가격? [27] 손금불산입9300 20/12/10 93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