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8/20 00:14:02
Name whenever
Subject [질문] 조문 가야할까요?
친한 동생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장례식장은 서울인데
제가 지금 여수에 파견을 나와있습니다.
하루 걸러 하루 야간근문데 장례식에 참석하면
그날 잠을 못자고 다음 근무를 들어가야해서..
꼭 가고 싶은데 물리적으로 안되니까 괴롭네요
무리를 해서라도 가야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퀴즈노스
20/08/20 00:16
수정 아이콘
돈만 보내세요 충분히 이해 할겁니다.
지금은 구구절절 설명하실 필요 없고
장례 무사히 다 치르고 나서 나중에 정말 가고 싶었는데 이만저만해서 못가봤다고 설명하면
다 이해해 줄 거예요.
CoMbI COLa
20/08/20 00:18
수정 아이콘
지금 동생분도 경황이 없을테니 상황설명은 나중에 만나서 밥 한끼 사주면서 하시고 지금은 부조금만 못 가는 마음만큼 얹어서 보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8/20 00:19
수정 아이콘
돈 보내고 연락해서 사정 설명해주고
식 끝나고서라도 위로차 한 번 만나러 가면 될 거 같습니다.
20/08/20 00:39
수정 아이콘
저라면 갑니다...
결혼식은 못가도 장례식은 꼭 가야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정답은 아닙니다...)
대신 가서 인사만 하고 사정 말하고 바로 올 것 같습니다.
Jon Snow
20/08/20 00:43
수정 아이콘
저도 갑니다
마감은 지키자
20/08/20 01: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도저히 무리라면 어쩔 수 없지만, 친한 동생의 아버님이라면 조금 힘들더라도 직접 가시는 게 어떨까 합니다.
그게 내 마음도 홀가분하고, 가 주시면 동생도 절대 잊지 않을 겁니다.
물론 꼭 가야 하는 건 아닙니다. 일에 지장이 생길 정도라면 무리인 것이니, 전화 한 통 걸어서 사정을 말씀하시고 위로해 주세요.
20/08/20 01:17
수정 아이콘
결혼식이나 돌잔치 등은 빠져도 막 큰 아쉬움은 안 남는데
장례식은 유독 뭔가 사람 감정을 건드리는게 있는 거 같아요 마지막이라는 점 때문인지

각각의 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 어느 정도로 가까운 분인지 타인이 판별하는 건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조문을 가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이 드는 정도라면 간다에 한 표 입니다
20/08/20 01:20
수정 아이콘
세속적이지만
가면 그 동생분이 은혜를 알고 나중에 돌아옵니다.

그 동생분의 고마워하는마음vs 나의 현업에 지장
이 사이에서 고민하는건데.

저라면 갑니다.이 행동 하나로 평생 친구를 만들수도 있어서요.
브라이언
20/08/20 01:20
수정 아이콘
휴가낼수 있음 가고, 아니라면 돈만 보냅니다
용열이
20/08/20 02:02
수정 아이콘
고민하시고 여기에 질문글까지 올리신 것을 봤을 때
몸은 조금 힘드시더라도 다녀오시는 것이
whenever님의 마음이 편안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동생분도 절대 잊지 않을겁니다.
Meridian
20/08/20 02:53
수정 아이콘
저라면 며칠 밤새는 한이있어도 장례식이면 갑니다..
20/08/20 03:27
수정 아이콘
결혼식은 안가도 장례식은 갑니다.
카르페디엠
20/08/20 05:11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말씀처럼 결혼식 같은건 사정 안되면 돈만 보내도 되는데 장례식은 가는게 맞긴 합니다.
이게 좀 그래요. 안 챙겨도 되는 지인이면 상관 없지만
두고두고 볼 사람이면 사정이 어렵다 하더라도 웬만하면 가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이런 선택은 나중에 다시 좋게 돌아와요.
20/08/20 05:28
수정 아이콘
꼭 가고 싶으시다고 적으셨는데, 여수-서울이면 KTX 이용해서 무리되더라도 다녀오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친한 동생분도 힘들게 오신것을 아실테니 아주 고마워 할 겁니다.
whenever
20/08/20 05:45
수정 아이콘
저도 참 당연히 그러고 싶은데 글에는 못 적은 사정들이 또 있네요.. 남한테 피해를 안끼치고 본업에 지장을 안주는 선에서 해야하기에.. 조언 감사드립니다.
Rorschach
20/08/20 08:39
수정 아이콘
저라면 물리적으로 절대로 불가능한 상황이 아닌 이상은 갑니다만 지금은 시간과 거리 보다 코로나가 문제네요.

제가 whenever님 상황이라면 KTX로 출발해서 기차에서 자고 - 내려서 장례식장 가서 그 동생분 장례식장 밖에서 잠시라도 얼굴보고 안부 전하고 - 바로 다시 KTX로 자면서 내려가는 선택을 할 것 같습니다.
20/08/20 08:45
수정 아이콘
결혼식은 좀 그런데 조문.. 특히 부모상은 무조건 가긴 갑니다. 기차에서 좀 쪽잠을 자더라도.. 물론 글쓴 분 상황상 굉장히 어려운 문제긴 합니다만;
Justitia
20/08/20 10:57
수정 아이콘
2단계 발령되면서 수도권과 기타 지역간 이동자제 나왔는데, 당장 안 움직이면 계약취소되는 수준 아니라면 가급적 이동 안 하는 게 맞죠.
나중에 이야기하면 다 이해할 상황입니다.
미카엘
20/08/20 11:11
수정 아이콘
경사는 안 가도 조사는 가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힘드시더라도 참석하시면 평생 고마워 하실 겁니다. 저라면 잠 못 자더라도 갑니다.. 코로나야 마스크 확실히 쓰고 자차 이동 후 빠르게 다시 나오면 예방 되고요.
20/08/20 11:21
수정 아이콘
친한 사람 부모상 정도면 무조건 첫날 갑니다
당연히 무리인데 가서 일찍 오더라도 어떻게든 가야죠 뭐
환경미화
20/08/20 13:44
수정 아이콘
저같으면 돈만 보내고요.
요즘은 친한거보다 코로나 때문에 못가겠습니다.
20/08/20 14:46
수정 아이콘
코로나19 라는 상황이 참 모든 걸 애매하게 하지만,
친한이라는 형용사를 붙일 수 있는 사이라면, 찍고만 오는 정도의 시간이라도 가서 조문하고 얼굴 보여주고 올 것 같네요.
물론, 방역수칙은 잘 지키면서 방문한다는 전제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828 [질문] 입장할때 쓰는 큐알코드 캡쳐해둬도 되나요 [6] s-toss11025 20/08/23 11025
147827 [질문] 게이밍 마우스 추천부탁드립니다. [8] 훈타5039 20/08/23 5039
147826 [질문] 아이폰>갤럭시 갈아탔습니다. [13] 삭제됨6529 20/08/23 6529
147825 [질문] 모니터 비교 질문 [3] Dwyane4858 20/08/23 4858
147824 [질문] 복수국적자 미국투자 가능한가요? [3] 큐브큐브5858 20/08/23 5858
147823 [질문] 전세계약서 쓰러가는데 유의점 알려주실수 있으실까요~ [11] 미생4872 20/08/23 4872
147822 [질문] 교차로에서 우회전할 때 몇 차선 상관 없이 가능한가요? [2] s-toss4867 20/08/23 4867
147821 [질문] 귀 옆 뒤통수 통증은 어느 병원에 가야할까요? [7] 삭제됨9908 20/08/23 9908
147820 [질문] 가디언 테일즈 첫번째 전무는 누가 좋나요? [12] dongkyo4736 20/08/23 4736
147819 [질문] 동물들이 안구로 인식하는 세상도 인간과 동일할까요...? [7] nexon5539 20/08/23 5539
147818 [질문] [스타2] 섬멸전 오프라인 진행 불가 문제 [1] 길버그4565 20/08/22 4565
147817 [질문] (가벼운)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3] MC_윤선생4579 20/08/22 4579
147816 [질문] 여성시계 브랜드 질문드립니다. [10] 얼불4509 20/08/22 4509
147815 [질문] 집에서 두명이 놀거리 추천좀 해주세요.. [8] 삭제됨7058 20/08/22 7058
147814 [질문] 보험가입하려 하는데 어떻게하면 호구안잡힐까요 [10] 스핔스핔4998 20/08/22 4998
147813 [질문] 캠칭 장비 질문 [3] 삭제됨4052 20/08/22 4052
147812 [질문] 자동차 보험 연장 및 사소한 질문입니다. [4] 야광별4589 20/08/22 4589
147811 [질문] (헬스) 닭가슴살이나 냉동 소고기 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7] 기억의습작5864 20/08/22 5864
147810 [질문] 잠들기 바로 직전에 몸 팔딱거리는 거 이유가 뭔가요? [7] 똥꾼6206 20/08/22 6206
147809 [질문] 크리스피한 피자 추천 좀 해주세요 [5] 아니이걸왜들어가6015 20/08/22 6015
147808 [질문] 헤일로 마스터치프 컬렉션 ... 게임하는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4] 아르비테즈15593 20/08/22 15593
147807 [질문] 15만원 정도의 사무용 키보드 마우스 추천부탁드립니다. [2] 뷰데6420 20/08/22 6420
147806 [질문] 한타때 서폿세나 뭘 해야 하나요? [3] 블루레인코트6195 20/08/22 61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