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7/23 10:18:15
Name 오만과나태
Subject [질문] 컴퓨터 수명은 보통 어떻게 되나요? (수정됨)
2012년에 맞춘 컴이 아직도 너무 쌩쌩히 돌아갑니다.

CPU i5-3570
램 삼성 DDR3  4gb * 2
SSD 삼성 MLC 방식 256gb
HDD WD 블루 500gb
보드 Asrock B75M
파워 Superflower 550W
글카 GT440
쿨러 사제쿨러

케이스랑 키보드 모니터만 바꿨는데,
사실 모니터도 LG것 잘 돌아가던거, 베젤만 줄이고싶어서 새로 바꿨네요.

사제쿨러도 방열판이 구리로 되어있어서, 멀쩡해 보이네요.

윈도우10 빠릿빠릿하고, 인터넷도 빠른 거 같은데.

아직까지 컴퓨터가 문제 일으키고 한 적은 없네요. 써멀만 근근히 발라주고 있는데.
보통 인터넷보면 보드가 망가진다던지, 파워가 터진다던지 그렇던데,
아직 제 컴퓨터는  그런 기미가 안나타나네요. 소음도 별 차이는 없구.

이거 원래 반 영구적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7/23 10:19
수정 아이콘
사실상 뭐 반영구적이죠.
무적전설
20/07/23 1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기계니깐 반영구는 아닌거 같고..
저도 중고로 도스게임용 윈95 노트북 사놨는데 가끔 켜보면 지금도 잘 돌아가는걸 보면 마모에 의한 수명은 일반 기계들보단 훨씬 높은거 같습니다. 그치만 언젠간 고장나겠죠. 유기적으로 돌아가는 부품들 중에 하나라도 수명이 다하는 것이 있을테니깐요.
참고로 윈95는 도스가 포함되어 있어 도스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옛날 도스게임을 거의 완벽하게 호환합니다.
아케이드
20/07/23 10:22
수정 아이콘
30년 전 구매한 MSX도 아직 잘 돌아가는 거 보면, 수명 자체는 수십년 될 겁니다.
트렌드에 뒤쳐져서 못 쓰게 되는게 문제지...
엔지니어
20/07/23 10:33
수정 아이콘
2011년쯤 맞춘 샌디할배가.. 파워와 함께 3~4개월 전쯤 사망했습니다.
그냥 복불복인것 같습니다.
20/07/23 10:37
수정 아이콘
뽑기운 좋고, 하드하게 사용하지 않고, (먼지)관리만 잘하면..
이전에 컴도 9년정도 썼는데, 업글업글 하는 것보다 새로사는게 낫다 싶어서 바꾸었네요.
네이버후드
20/07/23 10:40
수정 아이콘
사실 컴퓨터가 고장나서 교체하는 경우보다는 성능상에 문제로 교체를 하죠
Lord Be Goja
20/07/23 10:41
수정 아이콘
케바케고 보통 매니아분들 쓰는게 가동수명이 짧습니다.
(부하를 많이 줘서가 아니라 멀쩡히 돌아가는걸 자주 갈아치워서)
그분들은 부품7년 5년만 되도 맛이 갈 시기라고 생각하시는거 같지만..
컴퓨터 수명이 10년 7년 그렇다면 산업용 기기들은 날마다 고장나고 있겠죠..
그정도 쓰기전에 불량나는게 운이 나쁘다고 생각하는게 맞습니다.
고란고란
20/07/23 1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하는 게임 안 돌아가면 교체 고려하는 거죠. 사무용 중에 저 사양보다 낮은 것도 많습니다.
저도 작년까지 쓰던 컴이 본문 사양이랑 비슷했는데 바꿨어요.
근데 파워는 무슨 안 좋은 이슈가 있었어서 쓰던 중에 바꿨었네요. 그 컴 더 쓰시려면 파워는 바꾸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20/07/23 10:44
수정 아이콘
게임안하시면 솔찍히 ssd만 달려있으면 5년은 더쓰실수 있을거같습니다.
그래도 그래픽카드는 중고라도 살짝 업글하시면 더 좋을거 같긴하네요.
Horde is nothing
20/07/23 10:58
수정 아이콘
고사양게임으로 그래픽카드 수명단축,
서버급으로 하드디스크 입출력 아니면 딱히 고장 안납니다.
20/07/23 11:23
수정 아이콘
복불복인데... 뭐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사양적으로 부족한게 아니면은 뭐... 5년은 아무 문제 없이 쓸겁니다.
조말론
20/07/23 12:05
수정 아이콘
[써멀만 근근히 발라주고]

이거만 봐도 관심이 있고 컴퓨터 상태를 방치하지 않는 지식과 성격을 가지고 계시니..
레이오네
20/07/23 12:52
수정 아이콘
관리만 잘해주면 뭐... 동시기 시게이트 하드였으면 지금쯤이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었겠습니다만 WD니 아마 그런 것도 없을거고요.
20/07/23 13:11
수정 아이콘
헤헤 저도 10년은 된 할배컴 스타 잘만 하네요 헤헤
최신유행인 유튜브나 넷플릭스도 잘따라가는 신세대 할배라구욧!
20/07/23 13:57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①수명이 비교적 정해져있고, ②24/7 부하가동시 비교적 빠른 기간 내에 그 수명을 채울 수 있는 부품으로는 모터와 캐패시터 등이 있습니다. 컴퓨터 부품 내부에는 여러 타입의 캐패시터가 붙어있는데, 수량이 가장 많은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의 경우 섭씨 105도 기준 수명이 짧으면 1천시간 이하, 길면 2만시간 근처입니다. 당연히 저가 부품일수록 수명이 짧고 성능이 낮은 캐패시터들을 붙여놓고, 고가 부품일수록 장수명에 성능도 높은걸 붙여놓는데, 저가부품은 대체로 105도 5천시간보다는 더 저질의 캐패시터를 씁니다.

물론 내구스펙이 1만시간@105도라고 해서 1만 1시간째에 다 터지는건 아니고(1만 시간이 넘어가면 기준 스펙을 벗어나는 작동을 하는 개체가 꽤 많아진다 정도의 느낌입니다), 일부 캐패시터가 기준 스펙을 조금 벗어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redundancy가 있기 때문에 컴퓨터가 보통 돌아는 갑니다만, 사용시간이 내구스펙을 크게 초과하면 대체로 슬슬 작동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고장난 캐패시터만 교체할 수는 있지만 납땜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은 수리하기보단 버리는 것이 보통이고요.

캐패시터의 수명은 작동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작동온도가 10도 내려갈 때마다 수명이 대략 2배로 길어지고, 10도 올라갈 때마다 수명이 반으로 줄어듭니다), 캐패시터 근처에 있는 발열원(CPU/GPU 등)의 종류와 평균 로드 수준에 따라서 온도가 크게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고, 캐패시터가 장착된 부품 근처의 쿨링상태 혹은 케이스의 전반적인 쿨링상태 등에 따라서도 온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105도 5천시간 스펙의 캐패시터가 실제로 어느 정도 기간을 말하는지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만, 풀로드 24/7 가동을 하면서 75-85도 온도에 노출된다면 대강 2-5년 정도면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무한정 가는건 아닙니다. 온도가 훨씬 낮다면(24/7 아이들 환경 혹은 주로 미가동) 수명이 훨씬 길어지지만, 부품의 질이나 용량 등에 따라서는 45도 수준의 낮은 온도로도 몇년밖에 못 가는 것도 있으며, 미작동시에도 반영구적이진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모터(컴퓨터에선 주로 HDD와 팬에 붙어있는)도 타입이 여러가지고 수명도 다양한데, 짧으면 주로 1만시간 언저리에 길면 10-20만시간 정도입니다. HDD 모터야 죽더라도 주로 그 HDD에만 영향을 미치는데, 팬모터의 경우 고장난 상태로 사용 → 그 지역의 온도상승 → 그 지역 캐패시터 수명 저하 → 부품사망 테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특히 PSU 팬의 경우).

어느 쪽이든 간에 부하 수준이 수명에 큰 영향을 줍니다. 24/7 풀로드시 수명과 24/7 단순가동 수명은 하늘과 땅 차이고, 24/7 단순가동 수명과 간헐적 사용시 수명도 역시 천지차이입니다. 예를 들어 NAND 기반 SSD라면 NAND 특성상 쓰기 수명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데, 요즘 고용량 엔터프라이즈 SSD들은 쓰기 수명 스펙이 100 PB씩 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건 매일 8시간 컴퓨터 하는 일반인 사용자가 2020년도의 사용패턴 그대로 향후 수백년간 쓰더라도 못 채우는 사람이 많을 정도의 스펙인데, 고부하 환경에선 이 정도는 1-2년이면 채울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24/7 중부하-고부하를 기준으로 한다면, 괜찮은 부품을 써도 3-5년 정도 지나면 충분히 많은 개체가 고장납니다. 1대 있으면 당연히 고장이 안 날 수도 있습니다만, 50대 있으면 거의 무조건 일부 부품이 고장나는 개체가 나옵니다. 근데 그렇다고 해서 24/7 고부하로 10년 쓴다고 해서 모든 개체가 고장나는 것도 아닙니다. 여전히 충분히 많은 개체가 일체의 고장없이 살아남습니다. 즉 한대를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당연히 운이 지배적 역할을 합니다.
중복체크
20/07/23 16:10
수정 아이콘
게임, 웹하드 안쓰면 오래가더라구여
놀고먹고자고
20/07/23 16:39
수정 아이콘
최신 게임을 못하면 수명이 다 한거죠
클로이
20/07/23 18:18
수정 아이콘
답이 나왔죵

써멀 발라준다? 먼지 청소 해준다?

고낭날 이유가 크크
20/07/23 19:24
수정 아이콘
린필드 할배를 몇주전까지 쓰던 사람입니다. 관리만 잘되면 꽤 오래 버틸 수 있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016 [질문] 평범한 영어사전 전체암기 가능한가요 [46] 두두8282 20/07/26 8282
147015 [질문] 메인보드 as는 몇일걸리나요? [4] I.O.I5204 20/07/26 5204
147014 [질문] 갤럭시 노트 20 사전예약 하시려는, 혹은 이전에 사전예약으로 사보신 분들 계신가요? [5] 미생5642 20/07/26 5642
147013 [질문] 아는 동생한테 로드자전거 중고 사는데 한번 봐주세요 [5] 키류5018 20/07/26 5018
147012 [질문] 노트북 추천 하나 부탁드릴게요~ [12] 너는나의헛개수5709 20/07/26 5709
147011 [질문] 인비저블게스트 같은 영화 추천해주세요. [3] HYNN'S Ryan4948 20/07/26 4948
147010 [질문] 컴퓨터 견적 짜봤는데 한 번 확인부탁드려도 될까요? [1] Good5468 20/07/26 5468
147009 [질문] 혹시 포켓몬고 친구 하실분..? [4] Hood4241 20/07/26 4241
147008 [질문] <나 혼자만 레벨업 > 웹툰과 웹소설 질문입니다. [16] 부기영화7584 20/07/26 7584
147007 [질문] 언어 질문입니다 설치다(?) 난리다(?) [13] 소월향4643 20/07/26 4643
147006 [질문] [포켓몬 소실]철시드 어디서 나오나요? ㅠ [6] norrell6933 20/07/26 6933
147005 [질문] 약 3주간 렌트카(SUV) 알아보고 있습니다 (업체 추천 부탁드려요) 선배4652 20/07/26 4652
147004 [질문] 바람의나라:연, 좀 잘 정리되어 있는 카페 없나요? [1] 유머게시판5756 20/07/26 5756
147003 [질문] BTS(방탄소년단) 댄스연습영상으로 여러가지 편집기법으로 팬이 만든 mv영상을 찾습니다 [2] greatest-one3965 20/07/26 3965
147002 [질문] LOL 이번 패스권은 임무 어떻게 깨나요?? [8] Breguet5203 20/07/25 5203
147001 [질문] 서울에 있는 종아리 발 마사지 추천부탁드립니다 [3] 마제스티5111 20/07/25 5111
147000 [질문] ps4 게임 타이틀 추천 부탁드려요. [13] 그대에게5545 20/07/25 5545
146999 [삭제예정] 음주운전 사고를 봤는데.. [9] 삭제됨5994 20/07/25 5994
146998 [질문] 롤 초창기 해보신 분들께 질문 하나 드립니다. [15] mudblood5554 20/07/25 5554
146997 [질문] 현대그룹 질문 [2] 울트라머린4092 20/07/25 4092
146996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로 CD 음악재생 [2] 삭제됨3720 20/07/25 3720
146995 [질문] 에픽 쿠폰 사용 결정장애가.... [2] 카서스4579 20/07/25 4579
146994 [삭제예정] [홈페이지만들기]초보가 사용하기 좋은 홈페이지만드는 툴 어떤게 좋을까요? [3] 불대가리5515 20/07/25 55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