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4 12:20:08
Name AKbizs
Subject [질문] 이번 전매제한 부동산정책 크게실효성있는 정책인가요?
(일단 부알못임을 밝히고 크크크)

이번에 정부에서 부동산정책으로 수도권+광역시 분양권 전매제한을 가지고 나왔는데, 예전에 어디서 본게

지금도 전매제한이 시행중인데 전매제한된 지역에서 거래하다가 걸려서 계약이 취소될거였는데

소송걸어서 전매제한을 위반했으니 과징금(?)을 내긴하나 거래를 막는건 헌법에 위반된다해서

벌금내고 거래가 유효한 판례가 있다고 어디서 주워들은거 같은데,

물론 아예 제한이없는거보다야 훨씬 효과있긴하겠지만,만약 제가 위에 본게 맞다면 결국 거래할 사람은 다 한다는 이야기 아닌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14 12:31
수정 아이콘
판례가 있다고 모든 사람들이 그 귀찮은 방법을 선택해서까지 분양권을 불법전매하려고 하지는 않죠.
분양권 상태에서 팔면 양도 차익의 60%가 세금입니다.
(물론 다운거래 쓰는 곳도 많긴 하지만 그건 차치하고요.)
거기에 거래비용 빼면 실상 차익이 아주 큰것도 아닌데.. 저기에 과장금 소송에 걸리는 시간.. 그 걸 다 감수할만큼 이익이 크지 않아요.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미뉴잇
20/05/14 12:40
수정 아이콘
전매제한 지역에서 분양받아본적이 있는데요. 분양 받고 나서 물론 몰래몰래 계약서 쓰고 전매할 수도 있겠지만
부동산 업자도 믿어야 되고 상대 매수자도 믿어야 되고 하나 틀어지면 일이 너무 커져서 시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하는 사람이 일부 있겠지만 판례 하나 믿고 할 사람은 다 한다는게 어렵습니다..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판례가 있긴하나 리스크가 상당히 큰가보군요 답변감사합니다.
강아랑
20/05/14 13:22
수정 아이콘
초p 2000 정도에 불법전매 했다고 했을때,
이게 손바뀜이 3-4차례 되고 p가 상당부분 올라 2억이 된 경우가 있다고 예를 들면요.
원 주인이 배가 아파서 전매를 안해주려고 연락도 안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좀 달라는거죠. 돈 벌었으니.
상당히 골치 아프다고 들었습니다. 부동산들도 잘 안하려고 할거에요.
해피팡팡
20/05/14 14:18
수정 아이콘
이번 부동산 정책이 크게 실효가 있는지? 물음에 대한 답만 드리자면 크게 실효가 없을 것 같습니다. 불법전매는 아에 다른 문제라고 생각되고.. 기존 수도권 분양 시장은 당첨만 되면 무조건 돈버는 구조였기 때문에 실입주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가세하는 바람에 경쟁률이 치솟은건데. 이제 그 부분은 좀 가라앉겠지만 또 다른 풍선효과가 바로 나타날겁니다. 이미 소유하고 있는 분양권 혹은 신축들 가격이 많이 오르겠죠. 더불어, 이번 대책에 해당 안되는 지역들중에 투자가치 있는 좋은 지역들의 분양에는 사람들이 더 몰리겠네요.
20/05/14 16:17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channel/UCl7_Zg4RdQbHx0kXaiKL-5g
채상욱 부동산 전문 애널리스트 유투브 및 페북 추천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016 [질문] [라스트오리진] 2.0으로 뭐가 많이 바뀐거같은데 쫄작은 어떻게 하나요? [2] 興盡悲來3930 20/05/17 3930
145015 [질문] 브라우저(크롬, 엣지)에서 netflix 접속하면 모니터가 깜빡입니다. [5] 고요9983 20/05/17 9983
145014 [질문] 전세 보증 반환금 승소 이후 아파트 관리비 납입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3] 바카스3887 20/05/17 3887
145012 [질문] 크롬 마우스 제스쳐 확장 추천해 주세요! [5] 부기영화5240 20/05/17 5240
145011 [질문] 저탄고지 할 때 오일이나 버터 꼭 먹어야 하나요? [6] 손연재4787 20/05/17 4787
145010 [질문] 30대에 중국 대학원 도전, 위험한 선택일까요? [7] 삭제됨4822 20/05/17 4822
145009 [질문] 에어 프라이어 용량 질문입니다 [12] StondColdSaidSo4661 20/05/17 4661
145008 [질문] 아이폰 탈옥 관련 질문좀 드립니다. [2] 괴도키드3738 20/05/17 3738
145007 [질문] 컴퓨터 중고로 팔 때 하드디스크 [3] Ragamuffin5074 20/05/17 5074
145006 [질문] 혹시 크래미(게맛살) 안주로 드시는분 계신가요? [6] 유니꽃7078 20/05/17 7078
145005 [질문] 셔터플라이에서 최근에 뭔가 주문하신 분 있나요? [1] 대학생이잘못하면3346 20/05/17 3346
145004 [질문] 혹시 지금 롤 홈페이지 제대로 들어가 지나요? [3] 시간이지나면4256 20/05/17 4256
145003 [질문] 내 집에 부모님이 거주하고 본인이 분가하는 경우 문제점이 있을까요? [3] 모짜렐라치즈5339 20/05/17 5339
145002 [질문] 스타크래프트2 VS 워크래프트3 [11] 신과함께6344 20/05/17 6344
145001 [질문] 휴대폰 배터리 capacity가 10% 라는데요 무슨 뜻인가요? [8] 시원한녹차4182 20/05/17 4182
145000 [질문] 옷을 잘 입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2] 조헌6266 20/05/17 6266
144999 [질문] 하스스톤 전장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수 있을까요 [2] 보로미어4986 20/05/17 4986
144998 [질문] VBIOS 질문 및 한성 e56s Lv.82 가지고계신분 찾습니다. 보름달이뜨는밤에4388 20/05/17 4388
144997 [삭제예정] 해외거주하신 분 중에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받으신분 계신가요 [9] 삭제됨4946 20/05/17 4946
144996 [질문] 컴퓨터 견적 어떤가요? [11] 포이리에5119 20/05/17 5119
144995 [질문] 재난지원금 질문입니다 [12] 마제스티5579 20/05/16 5579
144994 [질문] 가수 비의 깡이 이상한게 춤선이 크럼프와 어울리지 않아서 인가요? [9] i_terran6705 20/05/16 6705
144993 [질문] GTA5 실행 잘 되시나요? [4] 광배맛혜원16772 20/05/16 167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