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07 13:28:09
Name AKbizs
Subject [질문] 다리 위에서 투신자살은 사인이 뭔가요?
이젠 뭐 일종의 밈처럼 한강 수온체크 드립치긴합니다만, 한강의 다리들이 투신자살의 이미지? 이런게 있는데

궁금한건 한강다리위에서 투신하는건 강으로 다이빙하는것과 같은데 실제 투신을 했을때 사인이 뭔가요?

단순익사를 위한 투신인지(이 경우 수영이 가능한사람이라면 불가능할테고), 수면과의 충격으로 인해 사망하게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 진짜 그냥 궁금해서 질문올리는겁니다 크크크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쿼레이드
20/05/07 13:29
수정 아이콘
폐부종으로인한 호흡부전이죠뭐.. 한마디로 익사..
20/05/07 13:31
수정 아이콘
그럼 수영할 수 있는 사람은 한강투신이 의미 없는건가요?
20/05/07 13:35
수정 아이콘
수영을 안하면...되지않을까요
20/05/07 13:36
수정 아이콘
그게 말처럼 될까요? 본능적으로 살려고 수영할거같은데
20/05/07 13:37
수정 아이콘
궁금하긴하네요 수영 베테랑인사람과 초보랑 또 차이가 있겠죠 하하..
아래 댓글처럼 충격으로 인해 익사할꺼같네요
Rorschach
20/05/07 13:52
수정 아이콘
결국 투신자가 사망했기에 상당히 안타까운 상황이어서 실제 뉴스 기사를 링크하진 않습니다만 투신자가 물에 빠진 후 수영을 해서 물에 뜬 채로 119에 신고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20/05/07 13:35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경우 추락 후 수면과의 충격 시점에서 의식을 잃게 되고, 이후 익사로 사망하는 패턴입니다.
전문 다이버가 뛰어드는 경우라면 한강투신이 의미가 없겠지요.
20/05/07 13:40
수정 아이콘
수영을 잘하고 자시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 높이에서 수면으로 투신할 경우 굉장히 높은 확률로 정신을 잃습니다. 골절 당할 확률도 높구요.
요슈아
20/05/07 13:49
수정 아이콘
장력이 작용해서 다이빙 선수들 마냥 손 발을 모아서 점으로 빠지지 않고 면으로(몸통 다리 등으로) 수면에 부딪히면 사실상 콘트리트 바닥에 맨몸으로 뛰어 내리는 것과 똑같습니다.

즉 어떻게 떨어지느냐에 따라 원인이 달라 질 수는 있지만, 결국엔 똑같은 익사체가 됩니다.
겨울삼각형
20/05/07 14:09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유게에 투신했다 살아난 사람 글이 올라왔다가 바로 지워졌었죠.

죽었으면 익사였겠지만,
물에 빠지자마자 살려고 버둥버둥하다 다리 기둥에 매달려서 살았다고..
及時雨
20/05/07 14:10
수정 아이콘
모든 사인은 사실 심장마비입니다
초록물고기
20/05/07 14:23
수정 아이콘
떨어질때의 충격으로 곧바로 의식이 상실됩니다. 드물게 의식상실이 안되고 늑골 골절을 입고 떠올라 살아난 경우가 있더군요.
요기요
20/05/07 15:03
수정 아이콘
남성연대의 그 성재기씨도 수영을 잘했는데도 수영 퍼포먼스를 하려고 다이빙했는데 떨어질때의 충격으로 정신을 잃고 익사했다더군요. 수영할 줄 아는 사람도 함부로 시도해서는 안되는
신류진
20/05/07 23:36
수정 아이콘
그때는 제기억으로 전날에 폭우에 바람이 엄청나게 몰아쳤던가 그랬던거 같은데..

구급요원 다 대기시켜 놓고 뛰어내린걸로 기억하는데, 유속이 빠르고 흙탕물이 되어버려서 정신을 잃지 않았더라도 높은 확률로 사망했을거 같아요
Cafe_Seokguram
20/05/07 15:23
수정 아이콘
심정지 아닌가요?? 죄송합니다...

그나저나 이 질문은...PGR 의사 소환글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799 [질문] 롤 게임끝나고 투표하는데서 클릭바로안되는건 해결방법없나요? [12] 퇴사7187 20/05/09 7187
144798 [질문] 해외주식 250만원 양도소득세 기준이 알고 싶습니다 [3] 피쟐러5309 20/05/09 5309
144797 [질문] 태블릿PC 알못을 도와주세요... 갤탭 s6? LTE? [16] Secundo6221 20/05/09 6221
144796 [질문] 체스 어플 질문드립니다. [3] 장첸6079 20/05/09 6079
144795 [질문] 요즘 치킨 브랜드는 뭐가 맛있나요? [32] 이호철7186 20/05/09 7186
144794 [질문] 로퍼 추천부탁드립니다. [5] 파랑파랑4527 20/05/09 4527
144793 [질문] 노트북 중고거래했는데 알려주지 않은 하자가 있습니다. 환불가능할까요? [9] 놀고먹고자고6538 20/05/09 6538
144792 [질문] 갤럭시 이모티콘 질문입니다 [2] StondColdSaidSo3570 20/05/09 3570
144791 [질문] 엑셀 파일 복구 방법? [5] 더치커피8193 20/05/09 8193
144790 [삭제예정] 이번 재난지원금 질문드려요 [3] 불대가리5313 20/05/09 5313
144789 [질문] 부산에 대해 잘 아시는 분만 [15] 박세웅5765 20/05/09 5765
144788 [삭제예정] 결혼하신 분들께 궁금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결혼후 부모님께 드리는 생활비 관련) [31] 삭제됨8304 20/05/09 8304
144787 [질문] 라디오스타 레전드 영상 혹시 아시는 분? [5] 살다보니별일이5394 20/05/09 5394
144786 [질문] 왕십리에서 소개팅 하기로 했는데 어디가 좋을까요?? [10] 삭제됨8305 20/05/09 8305
144785 [질문] 중절모에 코트+비밥 장르가 음악으로 나오는 애니메이션 오프닝 질문합니다. [7] 쥐세페 조씨5332 20/05/08 5332
144784 [질문] 부부의 세계 보고 질문입니다 [7] 키류4925 20/05/08 4925
144783 [삭제예정] PGR 고수유저분들(?)께 글 중간에 이미지 삽입하는법 질문 [5] 유소필위4097 20/05/08 4097
144782 [질문] 서울사랑상품권 이경우에는 어떻게 써야할까요 [7] 불대가리5057 20/05/08 5057
144781 [질문] 80년대 추억의 장난감 질문입니다. [8] 마리아 호아키나5049 20/05/08 5049
144780 [삭제예정] 관급 영업 직무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3] 삭제됨5586 20/05/08 5586
144779 [질문] 긴급재난지원금 관련해서 은행이나 카드사에 이득이 있나요? [10] 백소6339 20/05/08 6339
144778 [질문] 종합소득세 경비율 관련 질문입니다. [8] 유리한4261 20/05/08 4261
144777 [질문] 동영상 자르기 정도의 편집 가장 쉬운 방법이 뭔가요? [6] 호아킨6044 20/05/08 60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