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23 09:41:50
Name 콜라제로
Subject [질문] 스페인 독감은 어떻게 종결되었나요?
스페인독감이 엄청난 감염력과 비교적 낮은 치사율 등 지금의 코로나19와 유사점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스페인독감의 추이가 궁금한데 발병 전파 사망 등등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데 어떻게 해결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나와있는 이야기를 찾기 힘드네요.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서서히 힘이 빠진건이 치료제 및 백신이 개발되서 해결된건지 이런 부분이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발괴발
20/03/23 0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1918년에 1차 판데믹, 1919년에 2차 판데믹이 벌어지고 나서
갑자기, 정말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 영문 위키피디아의 내용에 따르면 세컨드웨이브인 1919년 10월 필라델피아 시에서만 4천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나, 동년 11월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이런저런 논문에서 의료진의 발빠른 대처/바이러스의 급격한 진화 및 변형으로 치사율이 낮아졌다는 등의 추측이 있으나 여전히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고 합니다.
Lord Be Goja
20/03/23 09:53
수정 아이콘
그게(H1N1) 그땐 최신인풀루엔자라 사람들이 사람들이맞는 항체를 가지지 못하고 있던탓도 있고
높은 치사율이 변이를 거치며 자연적으로 내려가고,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체를 가지게 되며 진정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걸려버려서 새로 걸리사람이 없는느낌)
치사율은 구형독감이 지나갔던 동네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던거고,이 독감이 처음이였던 동네에선 30%까지도 나왔더군요.
전체치사율은 2%..
raindraw
20/03/23 11:09
수정 아이콘
전세계 인구의 1/3 정도가 걸렸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거의 모든 이에게 항체가 생긴 걸수도 있습니다.
20/03/23 11:18
수정 아이콘
최종 치사율이 2% 수준이었는데 사망자가 천만 단위였으니 실제 걸린 사람은 당시 인구 16억명의 절반 수준에 육박할거고, 이정도면 사실상 '모두가 걸렸고, 모두 항체가 생겨서 소멸'이 되었다고 유추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464 [질문] 하드디스크 인식 문제 도와주세요~ [7] 쏘군3158 20/03/25 3158
143463 [질문] 전세 재계약 절차에 대해 조언 부탁드려요 [9] 코시엔3778 20/03/25 3778
143462 [질문] 구글 미니 부르는 이름 바꿀수 있나요? [5] 제논4337 20/03/25 4337
143461 [질문] PGR에서만 유튜브가 재생이 안됩니다. [4] 환경미화4072 20/03/25 4072
143460 [질문] 병원에서 집 주소는 왜 필요한건가요? [5] 햇가방10512 20/03/25 10512
143459 [질문] 컴퓨터 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쌈무5996 20/03/25 5996
143458 [질문] 영어권의 가브리엘, 소련여자, 영국남자같은 유튜버 [4] 따루라라랑4701 20/03/25 4701
143457 [질문] 모델명에 5g라고 나와있는 폰은 5g 요금제 밖에 못쓰나요? [5] 쌍무지개4217 20/03/25 4217
143456 [질문]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재 추천 부탁 드려요 [5] 덱스터모건3711 20/03/25 3711
143455 [질문] 이런 귀걸이를 뭐라고 하나요? [2] 코사카 호노카4129 20/03/25 4129
143454 [질문] 혹시 해상도 낮은 사진으로 위치나 아파트 이름을 알수있을까요?? [4] 트리거3481 20/03/25 3481
143453 [질문] 닌텐도 동물의숲 친구에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천우희4797 20/03/25 4797
143452 [질문] 낮에 먹는 낮술이 더 많이 취하는가와 막걸리는 왜 다음날 더 힘든가에 대한 궁금증 [4] 레뽀4464 20/03/25 4464
143451 [삭제예정] 연애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23] 삭제됨5956 20/03/25 5956
143450 [질문] 갤럭시는 아이폰처럼 깔끔하게 못옮기나요? [22] 빵떡유나6361 20/03/25 6361
143449 [질문] 자택근무 하시는 분들 집중 잘 되시나요? [8] 삭제됨4332 20/03/25 4332
143448 [질문] 맨몸운동을 하면 항상 이틀 후에 근육통이 옵니다. [6] 으컁/7412 20/03/25 7412
143447 [질문] 언론의 신상 공개가 불법인가요? 아닌가요? [5] 삭제됨3681 20/03/25 3681
143446 [질문] 경제 투자 분석 블로그 추천 부탁드려요 [2] 슈퍼디럭스피자5700 20/03/25 5700
143444 [질문] Nasty란 표현 [15] 이라세오날8067 20/03/25 8067
143443 [질문] 화면이 큰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완료) [3] 롯데올해는다르다6946 20/03/24 6946
143441 [질문] 피아노곡 제목을 찾고 있습니다! [2] 로즈마리3738 20/03/24 3738
143440 [질문]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었는데 굳은 살이 생겼습니다. [6] 고양이맛다시다4497 20/03/24 44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