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18 14:02:26
Name 손나이쁜손나은
Subject [질문] 새차 샀는데 엔진오일!?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셀토스 가솔린을 구매 해서 엔진오일에 관한 질문을 하나 드리려구요.
주변에서는 천키로 정도에 한번 갈으라고 하고 또 인터넷에서는 요즘 새차는 그정도로 빨리 안갈아도 된다는 말이있어서..
언제 가는게 이상 적일까요?
또 2천 km 까지는 2~2.5 rpm으로 유지하라고 해서 되도록 지키고 있는데 그거 말고 또 지켜야할 것들 있을까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18 14:05
수정 아이콘
오천에 갈아도 되고, 말씀하신거 빼고 딱히 더 지켜야 할 건 없습니다.
근데 신차 엔진오일 교환 시기는 하고 싶은대로 하셔도 되죠 뭐. 돈 대신 위안과 만족감을 얻을수 있잖아요.
차기백수
20/03/18 14:06
수정 아이콘
이건희도 천키로에 한번씩 안갈것같은데..!!
마스터카드
20/03/18 14:08
수정 아이콘
아마 만킬로겠죠?
저는 만이천에서 만오천 사이로 갑니다. 제일 싼거로 크크
그리고 신차 길들이기 그거 아마 차 매뉴얼에도 있을겁니다. 찾아보시고 아니면 인터넷에서 찾아보세요
츠라빈스카야
20/03/18 14:29
수정 아이콘
새차는 기어가 길이 덜들어서 처음에 쇳가루가 많이 나오니, 새차 처음에는 천킬로 찍으면 한번 갈아줘라...라는 얘기들이 있긴 했죠.
요즘 차들도 그런진 모르겠는데..
콩사탕
20/03/18 14:09
수정 아이콘
20/03/18 14:10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첫" 엔진 오일을 천에서 이천 정도에서 갈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요새는 그냥 매뉴얼 따라 많이들 하시더라고요.
저도 천 넘었는데 그냥 칠천정도에 갈려고 생각중입니다.
손나이쁜손나은
20/03/18 14:10
수정 아이콘
아 맨처음 갈 때 여쭤본거 였습니다..!!
20/03/18 14:12
수정 아이콘
낭설인지 소문인지 전설인지 암튼 새차는 500~2000 내에 한두번 갈아서
새 엔진의 쇳가루? 같은걸 빼는걸로 권장하던 시기가 있었드랬습니다.
그것때문에 고민하시는거같은데
요새는 별로 그런거 생각 안해도 될 것 같기도 하지만
기분상 문제라면 2000안에 두번정도 갈아주시죠
차가 좋아하겠죠 뭐 껠껠
RPM도 엔진 길들이기 과정이라고 본다면 볼수 있겠습니다만
애지중지 하면 또 차가 좋아할테니까 급발진이나 급가속만 조심하되 2000이든 3000이든 일정 기준만 정해서 운행하는게 어떨까용?
20/03/18 14:14
수정 아이콘
엔진오일은 만 아니었나요 천은 많이 힘드실껄요...! 연간 점검받을때 보통 한번 갈고 그랬던거 같아요
아이지스
20/03/18 14:15
수정 아이콘
매뉴얼 대로 하세요. 새차는 그게 제일 좋습니다
20/03/18 14:18
수정 아이콘
첫오일 5천안쪽에서 한번 교환하시고 그담부터 만키로마다 까먹지말고 한번씩 갈면됩니다.
Sebastian Vettel
20/03/18 14:22
수정 아이콘
같은차네요 반갑습니다
이제 천키로 탓는데 엔진오일은 1만에서 갈려고 생각중이고..
길들이기는 노말모드로 몇천키로 이내 몇RPM이하
뭐 이런 권고 기준이 있던데요
셀토스 관련 까페에서 공부중이네요
20/03/18 14:42
수정 아이콘
매뉴얼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미메시스
20/03/18 14:45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자동차를 가장 잘 아는 석박사 수백명이 고민하고 연구해서 쓴 책이 있죠

메뉴얼
레필리아
20/03/18 14:54
수정 아이콘
메뉴얼이 제일 정확하고, 도로 구분에 따라 지침이 조금씩 다를텐데..
국내 시내도로는 열악한 도로환경(정확한 명칭 기억이...)으로 보고 지침으로 삼으시면 됩니다.

근데, 메뉴얼 대로 관리하면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거기서 좀 가감 하셔도 충분히 오래 타실 수 있습니다.
드랍쉽도 잡는 질럿
20/03/18 15:07
수정 아이콘
쇳가루 영향은 옛날 얘기지만, 돈 안 아까우면 일찍 갈아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이후에는 차량에 따라 다른데, 만에서 이만 사이에 갈면 됩니다.
네파리안
20/03/18 15:28
수정 아이콘
유튜브 보면 자동차 채널이나 얼마전에 논란이 된 명장도 1500쯤에 갈라고 본 것 같내요.
저는 12000에 갈았는데 직원분이 너무 늦게 왔다고 하더라구요.
언니네 이발관
20/03/18 15:31
수정 아이콘
5천 즈음에 한번 갈아주면 되고
신차 길들이기라고 해서 천까지는 가솔린이니까 4천rpm이하로 주행, 급가속 급정거만 피하면 됩니다.
손나이쁜손나은
20/03/18 15:46
수정 아이콘
모두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
메뉴얼 정독 후 너무 오래 되지 않고 갈도록 하겠습니다!!
상한우유
20/03/18 17:43
수정 아이콘
한때 엔진오일에 민감했던 적이 있었는데...뭐 지금도 4만원/L 로 갈긴 합니다만;

새차 받고 데후오일 1500키로에 간 적이 있었는데 완전 쇳가루 철철 나오더군요. 새차면 천 정도에 갈아주세요.
밋션오일도 3만엔가 함 갈아봤는데 이것도 똥물....

현대가 순정오일을 좋은걸 써서 출고했을꺼 같진 않네요.

오일은 비싼거 넣고 오래타는거보다 싼거로 자주 갈아주는게 훨 좋음. 아마 현기 사업소 가면 광유 쓸 꺼 같은데...

차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 하시면 인터넷에서 킥스파오 같은거 (합성유)랑 오일필터 에어필터 사셔서 공임나라 가서 갈아주셔도 됩니다.
그냥 뭐 차는 굴러가면 됀다 싶으시면 사업소 가셔서 막오일 넣으셔도 만족하시는 분도 많고..
지니팅커벨여행
20/03/18 20:36
수정 아이콘
매뉴얼대로 안 해서 후회했네요.
왜 쓸데없이 돈과 시간과 노력을 낭비했을까...
어떤 제품을 설계할 때 안전율을 두는데 보통 기준치의 2배 이상으로 합니다.
엔진오일도 그렇다고 할 수는 없지만 매뉴얼을 괜히 만든 게 아니죠.
초반에 낭설들을 믿고 낭비 엄청 함ㅠㅠ
20/03/18 22:13
수정 아이콘
첫 엔진오일은 5천에 그담부턴 만키로마다 갈려구요
엔지니어
20/03/20 14:14
수정 아이콘
댓글이 조금 늦은것 같지만 그래도 씁니다.
첫 엔진오일은 일찍 갈면 안좋습니다. 공장에서 넣어주는 엔진오일에는 코팅 성분이 들어가 있어서 일찍 갈아주는건 엔진 길들이기 부분에서 많이 손해를 봅니다.
윗분들도 말씀 하셨지만 매뉴얼에 나와있는데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297 [질문] 올림픽 안가면 그만 아닌가요? [27] 움하하6575 20/03/20 6575
143296 [질문] 속초 조개구이집 아시는분~! 손나이쁜손나은3721 20/03/20 3721
143295 [질문] 도형 질문? 수학 질문 드립니다. [8] 치카치카4272 20/03/20 4272
143294 [질문] (주식) 세력들도 물리는 경우가 있는지요...? [13] nexon6857 20/03/20 6857
143293 [질문] 오로지 FM만 하는 아재입니다. 이정도면 FM2020 돌아갈까요? [9] 시지프스8664 20/03/20 8664
143292 [질문] [질문] [lchf]저탄고지 버터 , MCT오일 문의 드립니다. [11] Endor4188 20/03/20 4188
143291 [질문] 동물의숲 처음 접하는 사람도 재미나게 할 수 있나요? [6] 베르나르5568 20/03/20 5568
143290 [질문] 유부남 생일선물로 플스4프로 구매 질문입니다 [12] 바보탱이4675 20/03/20 4675
143289 [질문] 직수 정수기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3] 바람의바람4032 20/03/20 4032
143288 [질문] [LOL] 모데/녹턴의 궁효과가 궁금해지네요. [5] 율리우스카이사르4064 20/03/20 4064
143287 [질문] 그러고보니 카나비 선수 건은 아주 끝난 건가요? [5] 기무라탈리야3969 20/03/20 3969
143286 [질문] 자동차 운전연수 도움 될까요???? [26] 나루터토토로6704 20/03/20 6704
143285 [질문] 세탁물 훼손 질문 그리드3401 20/03/20 3401
143284 [질문] [주식] 주식 시장에서 보통 얼마정도 자금 운용하시나요? [29] 10KG빼기6474 20/03/20 6474
143283 [질문] 중식도 하나만 추천해주실수있나요? [2] 조국5405 20/03/20 5405
143282 [질문] 컴맹입니다. 태블릿 와이파이가 안잡혀요 (해결후기 추가) [5] 삭제됨5015 20/03/20 5015
143281 [질문] 공기정화식물이 실제로 효과가 있나요? [13] norrell7769 20/03/20 7769
143280 [질문] 현재 진행 중인 스포츠리그가 조기 종료되면 [3] 드워프는뚜벅뚜벅3654 20/03/20 3654
143279 [질문] 미국 회사채 CDS지수 확인 민트초코우유3835 20/03/20 3835
143278 [질문] 노트북 화면 절전모드 질문 [1] 파핀폐인4044 20/03/20 4044
143277 [질문] 전공서적 pdf공유 법률위반여부가 궁금합니다. [5] 커티삭4762 20/03/20 4762
143276 [질문] NBA 2K 시리즈를 대체할만한 농구 게임 추천해주세요. [15] 톨기스7097 20/03/20 7097
143275 [질문] 갤럭시s20의 기능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9] 소이밀크러버4179 20/03/20 41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