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12 23:46:00
Name 시무룩
Subject [질문] 코틀린 vs 자바 어떤걸 먼저 공부하는게 좋은가요
프로그래밍 실력은 학부만 겨우 졸업한 수준이고 언어는 자바 C C++ 정도만 배운 상태입니다
어플 만드는걸 한번 공부해볼까 하는데 요즘 추세는 코틀린이라고 하던데
이게 또 한동안 자바로 만들어온거라 그런지 자바로 된 강의가 훨씬 많네요
그래서인지 회사에서도 구인할때 코틀린보다는 자바쪽으로 뽑는게 많이 보이기도 하고...
어떤 언어로 먼저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많이 다뤄보신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13 00:05
수정 아이콘
직업을 위한거라면 자바를 먼저하고 익숙해지면 코틀린하세요.
심플맨
20/03/13 00:28
수정 아이콘
최근 프로그래밍 방법론에서 정말 많은 변화들이 있었고 코틀린은 이런 트렌드를 잘 따라간 반면에 자바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자바도 좀 더 빠르게 변화하도록 바뀐다고 하는데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진지하게 이쪽에서 오래오래, 좋은 조건으로 생존하고 싶으시다면 변화하는 트렌드를 정말 잘 따라가셔야합니다.
그래서 코틀린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코틀린, 자바 사용경험은 있지만 잘 쓰지 않습니다. 자바 안쓴지는 5년 넘은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할 때 코틀린은 가끔 쓰기는 합니다.)
뚜루루루루루쨘~
20/03/13 01:02
수정 아이콘
저는 코틀린이요. 굳이 지금 JAVA를 먼저 할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입사를 위해 레거시 코드가 JAVA로 되어 있는 경우는 좀 다르겠습니다만,
현재 시점에서 기반은 코틀린이고 서브성격으로(JAVA <-> 코틀린간 코드 변환) JAVA도 익히시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네파리안
20/03/13 08:28
수정 아이콘
개발자를 하겠다면 웹, 솔루션, 앱 어느 방향으로도 갈 수 있는 자바는 배워둬서 나쁠게 없다고 봅니다.
앱쪽에만 관심있고 취미정도로 할거라면 차라리 아이폰쪽이나 하이브리드 앱쪽 공부를 하지 구지 java를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시무룩
20/03/13 08:38
수정 아이콘
답변 해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다들 의견이 분분하신데 코틀린으로 먼저 배우고 자바를 나중에 익히는걸로 가닥을 잡아야겠네요
밥오멍퉁이
20/03/13 09:05
수정 아이콘
당장 취업을 준비하시는 거라면 자바가 여전히 포지션이 많습니다
코틀린의 가장 큰 강점은 코틀린 그 자체도 있지만 기존 레거시 코드가 있는 자바시스템과의 호환성도 굉장히 높아서 그런걸로 알고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자바는 웹/앱쪽에선 Spring, Spring boot 프레임워크랑 거의 같이 쓰이는게 기본이고..향후 코틀린이 지금처럼 잘 발전하면 지배적인 입장에 서게 되겠지만(jdk도 유료화됐으니) 아직 대중화된 자리는 아닙니다. 그것보다 훨씬 대중화됐다고 할만한 python + 쟝고 나 node.js + js 프레임워크 같은 포지션도 자바 관련 포지션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무척 적어요. 목적이 현대적 프로그래밍 트렌드에 맞는 최신 언어공부라면 코틀린, 취직을 위해서라면 자바가 나을 수 있습니다.
레필리아
20/03/13 10:45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취업을 위해 자바를 하시고, 자기개발 느낌으로 코틀린 스터디를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부기영화
20/03/13 12:58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JAVA C C++ 을 이미 다뤄보셨으면 코틀린 하셔도 좋을 것 같네요. 안드로이드 개발을 JAVA 로 하는 회사보다는 코틀린을 쓰는 회사로 지원하는 걸 추천드리고요. 코틀린 쓰는 회사가 적더라도 코틀린 잘 다뤄본 개발자도 마찬가지로 적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092 [질문] 외국경제상황을 파악할 때 어느 뉴스를 보는 게 좋은지요...? [5] nexon4843 20/03/14 4843
143091 [질문] 컴퓨터 견적좀 봐주실수있나요 [4] 불행5445 20/03/14 5445
143090 [질문] 유료로 만화 보기 좋은 사이트 추천바랍니다. [12] Red Key9426 20/03/14 9426
143089 [질문] 뉴발란스 신발 찾을 수 있을까요 [3] 어센틱3866 20/03/14 3866
143088 [질문] 키보드 맵핑 질문 드립니다. [2] 공기청정기3805 20/03/14 3805
143087 [질문] 중국 남북조 시대에는 어디가 '중국'이었나요? [9] 박수갈채4585 20/03/14 4585
143086 [질문] GVPN(정부원격근무서비스)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2] 그냥가끔9429 20/03/14 9429
143085 [질문] 롤 국제경기 기억나는 매치 있으신가요? [11] 니나노나4469 20/03/14 4469
143084 [질문] 생수나 즉석밥같은 가공품에서 메이커마다 맛이 다르게 느껴지시나요? [47] Cand5321 20/03/14 5321
143083 [질문] [긴급] 지금 카페 왔는데 이거 신천지에요?? [13] 짱짱걸제시카6044 20/03/14 6044
143082 [질문] 경마도박으로 따는 모습이 나오는 영화 [4] ELESIS3648 20/03/14 3648
143080 [질문] 송파 강동쪽 줄서먹는 맛집있을까요? [9] 핸드레이크4620 20/03/14 4620
143079 [질문] 로보어드바이저 수익률이 궁금합니다. [4] 삭제됨4149 20/03/14 4149
143078 [삭제예정] 배터리 빼놓고 꺼놓은 노후한 노트북이 터질리는 없겠죠? [2] 타는쓰레기4601 20/03/14 4601
143077 [질문] 체중감량 다이어트 조언 부탁드립니다. [17] 삭제됨4924 20/03/14 4924
143076 [질문] 4K 영상을 QHD 에서 켜면 QHD 화질까지는 나오는 건가요? [2] 체르마트6621 20/03/14 6621
143075 [질문] 스팀게임 질문입니다. (문명6, XCOM) [12] 가브리엘5351 20/03/14 5351
143074 [질문] 3dp chip에서 드라이버 다운로드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12] 키르아8175 20/03/14 8175
143073 [질문] 게임음악을 하나 찾습니다. [2] 모아2970 20/03/14 2970
143072 [질문] 차고지증명제 어떻게 생각하세요? [14] 박수갈채3660 20/03/14 3660
143071 [질문] 넷플릭스 컨텐츠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삭제됨5574 20/03/14 5574
143070 [질문] 컴퓨터 부팅 드라이브 질문입니다. 멀쩡히 Window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않습니다. [4] 삭제됨3552 20/03/13 3552
143069 [질문] 급여 세금 관련 일은 노무사/세무사 어디가 적절한가요? [3] s-toss4304 20/03/13 43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