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02 21:28:28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게 행복한 일이라면?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굴의토스
20/03/02 21:30
수정 아이콘
오늘도 르브론 제임스의 명언을 떠올리며 과몰입하지 않으려 합니다..
파수꾼
20/03/02 21:36
수정 아이콘
정말 행복하게 되는지 잠시 관심을 끊어보면 되지 않을까...요?!
우선 실행을 해보고 판단을 해보는것도...
인생은아름다워
20/03/02 21:42
수정 아이콘
1년 째 그렇게 살아보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이런 식으로 계속 지내도 되나 의문이 들기도 해서요.. 크크
도라지
20/03/02 21:43
수정 아이콘
네 다들 그렇지 않나요?
다 끊고 살다가 선거날 투표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사는 사람도 엄청 많습니다.
밤의멜로디
20/03/02 21:48
수정 아이콘
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보는 최대한 듣지만 사람들의 의견은 피할 수 있으면 피하려고 노력은 합니다.
20/03/02 22:03
수정 아이콘
정치라는게 각자의 견해대로 시비를 가리는 일이라 스트레스가 없을 수 없더라고요. 전 일부러 찾아보진 않고 들리면 듣고 그렇습니다. 덜 힘들어서 좋습니다.
드랍쉽도 잡는 질럿
20/03/02 22:03
수정 아이콘
정치 무관심이 많아지면,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겠죠.
자유와 책임이 있듯이, 나중에 발생할 수도 있는 부정적인 일에 남탓 안 하고 책임질 수만 있다면야 지금의 선택은 자유죠.
인생은아름다워
20/03/02 22:21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 민주주의의 혜택을 보면서 살고 있는 건 이를 위해 노력하신 분들 그리고 옳은 방향을 위해 목소리를 낸 국민들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댓글을 보니 또 많이 부끄러워지네요....
cienbuss
20/03/02 22:28
수정 아이콘
근데 정치 관련해서 제일 시끄러운 사람들 보면 뭘 모르는 사람들이긴 합니다. 격앙해서 쓰는 사람들 보면 보통 전문가보다는 아마추어 정치병자죠. 또는 이해관계 있는 사람이거나. 분노한 사람들의 동기가 굳히 순수하다고 선해하고 거기에 휩쓸리기 보다 스스로 한 번씩 뉴스 찾아보면서 투표하는 게 낫다고 봅니다. 피곤하다고 아예 안 알아보고 투표도 안 하면 문제겠지만요.
월급네티
20/03/02 23:14
수정 아이콘
전 관심 거의 없습니다.
투표만 할 뿐입니다.
열심히 떠들어봤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신념이 흔들리는 걸 평생 본적이 없어서요.
미뉴잇
20/03/02 23:22
수정 아이콘
정치에 관심 안 가지고 살아도 되지만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투표하다간
내가 살 집이 아파트에서 빌라로 변할 수도 있는게 정치라...
그리고 자산을 쌓고 이런저런 세금을 내다 보면 정치에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습니다.
당장 부동산 정책에 따라 내는 돈이 수백 단위로 변할 수 있으니
20/03/02 23:54
수정 아이콘
정치로 보지말고 코미디로 보면 재밌습니다.
정치만 하면 학벌 좋고 돈도 많은 사람들이 맛탱이 가는거보면 재밌어요.
또 나는 돈은 없어도 저렇게 살지는 말아야지라는 생각도 하구요.
이쥴레이
20/03/03 00:00
수정 아이콘
제 와이프는 정치에 깊은 관심을 가지지도 않고 정책이나 정당 이야기에 대해서도 왜? 라는 의문보다는 그냥
아무 생각없이 살고 있습니다. 다만 이전 새누리당 당원이었습니다. 집안영향으로 당원으로 당연히 깊은 생각없이 가입하였고
선거운동등을 하였고요.

딱한번 오세훈 무상급식 이슈와 관련해서 저와 논쟁이 있었습니다만 그뒤로는 지금 내가 당장 먹고 사는게 문제인데
정치가지고 신경쓸 여유 없다를 계속 고수중입니다. 그게 의외로 편하고 근심이 하나 사라지기는 하죠. ㅠㅠ

저는 고등학생때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고 정치 이야기 읽는거 좋아하다보니.. 틀렸어요. 생각이 많아지면 안되는데
정치관련해서는 생각이 많아서.. 이놈에 열정과 에너지를 다른곳에 썼다면 참 좋았을텐데.. 크크
인생은아름다워
20/03/03 00:2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정치에 계속 관심을 가지시는 부분은 좋아보입니다!
Houndmaster
20/03/03 01:04
수정 아이콘
사실 우리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부 말이죠.
그걸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현재 상태에 계속 머무르게 되는거고...
아는 사람들은 상황을 잘 이용해서 발전을 하겠죠. 돈 벌고 싶으면 정치에 관심 가져야 됩니다.
20/03/03 01:25
수정 아이콘
반대로 생각해보면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누가 이득일지 생각해보면
관심 갖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열혈둥이
20/03/03 05: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뇨.
단지 과몰입했을때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에게 분노이상의
감정을 가지게 만드는 것이 정치와 종교인 것을 인지하고 대해야죠.
정치는 정말 중요하고 관심 가져야 하는 것이지만
내 인생 내 행복 만큼 중요하지 않다는걸 생각하고 있으면 과몰입에서 한발 벗어날수있게 되더라구요.
물론 저도 순간순간 과몰입과 빡침을 이길수없어서 여기서 벌점을 받거나 어르신들과 언쟁을 하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이 생각을 갖기전보다 엄청나게 분노의 빈도수가 줄었습니다.
미나리돌돌
20/03/03 08:01
수정 아이콘
정치에 관심을 갖는 것과 정치적 의견이나 성향이 다른 사람에게 분노하는 것은 별개 아닐까요.
인생은아름다워
20/03/03 13:20
수정 아이콘
저는 성향이 다르다고 분노하지는 않는데, 성향을 불문하고 극단적인 목소리들(차별과 혐오를 내포한 표현들..)을 마주할 수밖에 없어서 아예 안보게 되더라구요...
솔로15년차
20/03/03 13:48
수정 아이콘
전 정치에 있어서 꼭 의견이 극단적으로 갈릴 수 밖에 없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극단적으로 갈리는 이유는 '그래야 하니까'라고 생각해요.
일본만 봐도 논란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경우가 드문데, 그래봐야 소용이 없으니까 그런 거 아니겠습니까?
한국의 경우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치세력간에 첨예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의견이 양쪽으로 첨예한 이유는 선거 제도의 문제라고 보고, 선거제도가 잘 안바뀌는 것 역시 단순히 정치인들많이 아니라 그 지지자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이득에 영향을 받아 판단하기 때문이죠.

최근들어 정말 별 시덥잖은 것까지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유는, 정치상황이 좀 과하게 반반이라서 그렇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선거제도에서는 지금이 최선이라 생각하고요. 그래서 제도를 바꿔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763 [질문] 크롬 인터넷 창이 로드중이라고 뜨면서 가끔씩 인터넷이 안 됩니다. [4] 보로미어3467 20/03/04 3467
142762 [질문] 삼성,LG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오하영5229 20/03/04 5229
142760 [질문] [스위치] 초등 저학년 아이들용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2] 강다니엘4391 20/03/04 4391
142759 [질문] 영어 한문장만 해석 및 해설 부탁드립니다 [3] StondColdSaidSo3390 20/03/04 3390
142758 [질문] 가격 적당한 모니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8] U-Nya4086 20/03/04 4086
142757 [질문] 그래픽 카드 팬 속도가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2] 삭제됨3115 20/03/04 3115
142756 [질문] 풍화설월 재미있나요? [11] 신류진4800 20/03/04 4800
142755 [질문] 온라인 게임 길드내 호칭 [25] 오만과 편견4858 20/03/04 4858
142754 [질문] 일본어 높임말 질문 [8] 쪼아저씨4025 20/03/04 4025
142753 [질문] 투자 관련 산업별 기초자식을 쌓고싶습니다. [4] 정연정연해3999 20/03/04 3999
142752 [질문] (사회생활 관련) 뭔가 좀 애매하고 웃긴 상황인데 의견 한 번 주시겠어요? [16] WhiteBerry5688 20/03/04 5688
142751 [질문] 노알못입니다. 그램 이 가격 살만한 가격일까요? [4] 현희6180 20/03/04 6180
142750 [질문] 3D 평면도 그리는 유료프로그램 있을까요? [1] 예혁2878 20/03/04 2878
142749 [질문] 오토캐드 질문입니다. [5] kaerans4171 20/03/04 4171
142748 [질문] 상사한테 직언을 했는데요 [29] 키류6515 20/03/04 6515
142747 [질문] 영상제작용 마이크 중에 10만원 이하의 가격 싸고 괜찮은 걸로 어떤게 있을까요? [2] SEO20153759 20/03/04 3759
142746 [질문] 부산 피부과(한방 포함) 추천 부탁드립니다. ( + 관리질문 ) 가브라멜렉3557 20/03/04 3557
142745 [질문] 탈모약 복용 중단 질문입니다 [9] 벼둘기4853 20/03/04 4853
142744 [질문] 코호트 격리?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1] kunkun4124 20/03/04 4124
142743 [질문] [스타1] 스팀팩이 마린의 최대 체력을 줄인다면? [9] Rorschach6162 20/03/04 6162
142742 [질문] 마음챙김 명상 등이 실제로 효과가 입증되었나요? [3] 박수갈채3750 20/03/04 3750
142741 [질문] 외출 얼마나 자제 하시나요? [30] CastorPollux5355 20/03/04 5355
142740 [질문] 베개를 잘못 베어서 두통-타이** 약 질문 [4] 신승훈4182 20/03/04 41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