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2/20 22:11:44
Name 참개구리
Subject [질문] 한 달에 30만원 정도 넣을만한 금융상품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 달에 30만원 정도 넣을 수 있는 금융 상품을 들려고 합니다.

처음엔 농협에서 하는 종신보험을 적금식으로 이용하라고 추천 받았는데

15년 동안 묻어 두는 게 아니라면 이득을 보기 힘들더라구요.

15년은 너무 먼 이야기인 것 같아 그냥 드랍하고

다른 쪽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주식은 해보질 않아 좀 꺼려지고 당장 생각 나는건 펀드나 적금 쪽인데

재테크 쪽은 완전 재린이 수준이라 회원님들께 조언 좀 받으려고 합니다.

자세히까진 아니라도 어떤 종류의 상품을 알아보라고 말씀해주시면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2/20 22:16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은 가입하셨나요? 직장인이시면 세액공제 혜택이 꽤 세서 은퇴할때까지 묻어둘 여건이 된다면(그전에 해지하면 혜택받은거 반납해야돼요) 가입 추천합니다.
참개구리
20/02/20 23: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피쟐러
20/02/20 22:25
수정 아이콘
청약 추천합니다 20만원까지지만
참개구리
20/02/20 23:0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Albert Camus
20/02/20 22:39
수정 아이콘
S&P500 ETF 매수
곽철용
20/02/20 22:41
수정 아이콘
진짜 이거하세요. 고점같아 꺼림직하면 VT랑 BND 섞어서 사세요..
SPY만 사서모으는 전략의 장기수익률을 이길 상품이 거의 없습니다.
Albert Camus
20/02/20 22:51
수정 아이콘
FANG+ 는 어떻게 보시나요? 얘도 장투 계획으로 모으는 중인데 S&P500이랑 포트폴리오도 겹치고, 종목수가 적다보니 올라도 고민이더라구요.
곽철용
20/02/20 23:05
수정 아이콘
취향의 영역 아닐까요?^^; 이건 어디까지나 제 투자관이지만 개별주는 그 회사에대한 남다른 통찰이 있으신게 아니면 굳이 하실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아직 젊고 벌 날이 많으시고 큰 돈 욕심이 있으시면 확신가는 개별주에 비중을 실으시는게 좋을테고
큰 욕심은 없고 노후대비가 안전하게 될 확률을 높이고 싶으시면 SnP500를 모으시는게 낫지않을까요.
Albert Camus
20/02/20 23:26
수정 아이콘
그렇기는 하네요. :)
저도 개별종목은 안하는 것이 원칙인데, 쟤도 유망하다고 생각되는 회사 묶어놓은 ETF다 보니 관심이 가더라구요. (FANG개별주가 아닌 NYSE FANG+ ETF) 제 포지션에 대해 더 고민해보겠습니다.

직투로 옮겨가는 부분에 대해서도 고민해봐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참개구리
20/02/20 23: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주말에 찾아서 공부해봐야겠네요. 크크
Albert Camus
20/02/20 22:55
수정 아이콘
S&P500은 국내에도 ETF 있어서 간단히 구매가능합니다. (ARIRANG 미국S&P500)
볼레로
20/02/20 23:00
수정 아이콘
30만원이면 국내 ETF로 살 필요 없긴 합니다. 양도차익 250만원까지 공제되고 폭락할 때 환율이 올라 리스크 관리도 되니까요.
Albert Camus
20/02/20 23:01
수정 아이콘
장투로 누적이 쌓이면 다르지 않나요?
볼레로
20/02/20 23:10
수정 아이콘
이익실현안하고 계속 넣어 놓기만 하면 그럴 수 있죠. 근데 또 너무 묻어두기만 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걸릴수도 있으니 장단이 있는 것 같습니다.
곽철용
20/02/20 23:09
수정 아이콘
그렇긴한데요 irp계좌를 운용하신다던지해서 세제혜택을 받으시려면 국내상장 etf를 사셔도 될것같아요. 환은 언헷지하는거 추천드립니다.(환이 더 오를거란 뜻이아니에요. 원화로 월급을 받는 입장에선 환 언헷지하는게 더 안전한 전략입니다. 자기 자신을 원화로 이루어진 자산이라고 생각해보세요. 본인의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원화베이스자산에 몰빵되어잇는지.)
국내상장 etf를 사시면 spy에비해 연간운용보수에서 조금 손해를 보긴하는데 세제혜택이 연간운용보수에서 오는 손해보다 클겁니다.
파랑파랑
20/02/21 02:12
수정 아이콘
voo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418 [질문] 가장 맛있는 피자 브랜드 메뉴는 무엇인가요? [53] 오리지날5.08615 20/02/23 8615
142416 [질문] 엑스레이 촬영자도 방사선에 영향을 많이 받나요? [9] 퍼플레임3678 20/02/22 3678
142415 [질문] 프라모델(건프라) 활성화된 사이트 어디가 있을까요?? [3] 삭제됨3535 20/02/22 3535
142414 [질문] 사용한 마스크를 전자렌지나 적외선 건조기로 소독(?)해도 괜찮을지요...? [5] nexon5469 20/02/22 5469
142413 [질문] 몸 안 다치고 할 수 있는 운동 [16] 윤군3661 20/02/22 3661
142412 [질문] 이직 면접은 어떻게 준비하시나요? [4] 농심신라면3385 20/02/22 3385
142411 [질문] 2호선, 건대입구부터 왕십리까지 음료, 음식점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아우구스투스4919 20/02/22 4919
142410 [질문] 4K UHD 모니터에 맞는 적정선 컴퓨터 견적은 어느정도 일까요? [23] 에반스6538 20/02/22 6538
142409 [질문] 마스크대신 방독면 끼는거 어떨까요? [22] 김티모6787 20/02/22 6787
142408 [질문] 발등 높은 풋살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체르마트4777 20/02/22 4777
142407 [질문] 케인 킹오파 영상을 찾습니다. [6] 송하영3578 20/02/22 3578
142406 [질문] 영어 고수님들! 독해 한 문제만 부탁드립니다. [15] 개망이3937 20/02/22 3937
142405 [질문] 2015년 메르스 사태때 코스피 질문입니다. [2] 렌야3964 20/02/22 3964
142404 [질문] CPU 쿨러가 안돌아가는데 그냥 제거하는게 나을까요? [9] 아오이소라카3966 20/02/22 3966
142403 [질문] CCTV 앱 이용 관련 알뜰폰 요금제 추천 혹은 유선인터넷 요금 사용 여부 [2] 3배빠른3982 20/02/22 3982
142402 [질문] 패밀리카 구매 질문하려합니다. [5] 유러비3891 20/02/22 3891
142400 [질문] 신천지가뭐인가요? [13] 이재인26022 20/02/22 26022
142398 [질문] Lck 각종 통계 전적은 어디서 볼수 있나요? [3] 보라도리4182 20/02/22 4182
142397 [질문] 전세로 사는 중인데 소모품 교체 의무? 에 대한 궁금증이요 [8] 쿠피6253 20/02/22 6253
142396 [질문] 휴대폰 구매 질문드립니다 [6] 생선가게 고양이3467 20/02/22 3467
142395 [질문] 차를 누가 긁고 갔네요 [15] 꿀행성4636 20/02/22 4636
142394 [질문] 뉴발란스 ML574EGG 사이즈 질문 [2] 치열하게3161 20/02/22 3161
142393 [질문] 갤럭시탭S6 구매예정인데 질문있습니다. [4] Arya Stark4851 20/02/22 48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