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2/17 15:36:24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마른 남자 VS 살 찐 남자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2/17 15:38
수정 아이콘
93도 살 찐 남자라고 보기에는 많은 편이 절대 아니에요.
나이들다보니 외모는 좀 부질없고, 둘 중 체력좋고 건강한게 최곱니다
StayAway
20/02/17 15:42
수정 아이콘
체형보다 체력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저는 없어서..
20/02/17 15:46
수정 아이콘
취향의 영역으로 보면 뚜렷한 답이 없을 것 같고, 중요한 건 역시 건강이겠죠?
회전목마
20/02/17 15:49
수정 아이콘
마른게 낫지 싶네요
20/02/17 15:51
수정 아이콘
마른게 낫죠.. 근육이면 모를가 다욧은 평생의 숙제죠 저도 직장생활하다보니 살찌고 탄수화물 많이 묵음 더부륵하고 옷입음 답답하고 비교불가 마른거
The)UnderTaker
20/02/17 15:55
수정 아이콘
근돼 아닌이상 마른게 낫죠..
20/02/17 16:00
수정 아이콘
마른게 낫죠
초선비
20/02/17 16:04
수정 아이콘
제가 말라서 그런가.....
듬직하지 못하단 소릴 들어서.....
키도 작아서 시너지가 난거 같습니다.....흑흑

저는 그나마 듬직한게 연애면에서 어필이 낫다고 생각하는데..
여초 사이트인 피지알이니까 여성분들 추가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언니네 이발관
20/02/17 16:05
수정 아이콘
72면 엄청 마른것도 아니네요. 180에 60도 간당간당 할 정도는 돼야..
근데 나이먹고는 저렇게 마르면 좀 없어보인다고 해야하나 좀 그래요.
사람이 무게감도 없어보이고.. 살좀 찌워야는데 참 어렵네요.
비바램
20/02/17 16:05
수정 아이콘
직딩이면 살 찐이요.
사실 적당히 운동한 몸이 베스트인데 마른보다는 살 찐이 운동하기 쉬워서요.
20/02/17 16:07
수정 아이콘
186에 헬스경력이 있는 사람이 그 몸무게면 토실남 느낌이 아닌데요
헬스경력+숫자만 놓고보면 지금이 듬직한 느낌이 들어서 여성들 호가 많을 것 같네요
물론 헬스 경력이 6개월 뭐 이런거고 근육이 안붙은 체형이시면 달라지겠지만요
20/02/17 16:09
수정 아이콘
헬스 꾸준히 하셔서 근육량만 적당하면 186에 93이면 적절한데요.
페로몬아돌
20/02/17 16:15
수정 아이콘
마른남자요.
매일매일
20/02/17 16:31
수정 아이콘
멸치만 아니면 마른게 건강에 좋습니다 크크
20/02/17 16:33
수정 아이콘
사회적으로 마른남자가 더 잘 팔리죠
제로스엠퍼러s
20/02/17 16:45
수정 아이콘
마른게 낫죠..
욕심쟁이
20/02/17 17:14
수정 아이콘
뚱뚱한 것보단 마른거요
This-Plus
20/02/17 17:26
수정 아이콘
186에 72면 모델핏인데..
마른 게 옷빨은 좋죠.
이쥴레이
20/02/17 17:26
수정 아이콘
제가 181에 79인데 백뚱돼지라고 놀림 받습니다.
아내랑 아들이 밥 먹고 배를 보며 돼지라고.. 키에 비하면 몸무게가 적당하다고 보다가도 손발은 전형적으로 마르고 복부만 튀어나와 있어서..흑..

키도 중요하지만 전체적인 몸무게 밸런스도 어디어디 균형 잡혀 있나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ㅠㅠ

저도 제 배를 보면 허.. 참.. 하.. 하고 한숨이 나옵니다.
이혜리
20/02/17 17:34
수정 아이콘
186이면 대충 85~90정도가 딱 보기 좋은 정도 일 것 같습니다.
제가 181인데 대학생 때 64에서 놀다가, 자격증 공부하면서 75 내외가 되고 취업하고 나서 지금 85 근처에서 놀고 있어요.
그런데 보통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무게가 80키로 정도의 건장한 상태입니당.
나물꿀템선쉔님
20/02/17 17:47
수정 아이콘
닥전이요... 살면서 불편함이 생길 가능성이 후자가 압도적을 높죠
40년모솔탈출
20/02/17 18:09
수정 아이콘
지금부터 조절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186 에 93 이면 많이 찐건 아니지만
생활 습관이 살찌는 습관이 든거면 100 넘는거 순식간입니다.
제가 그래서 93 정도 유지하면서 더 안 찐다고 안심했다가 100 넘고,
지금은 105도 넘으러고...
지금 조절할 수 있을때 조절하세요...ㅠㅠ
20/02/17 18:28
수정 아이콘
헬스안하고 걍 배나온 사람이면 걍 닥전이죠 몸 관리하는사람들은 닥후겟고
영소이
20/02/17 18:42
수정 아이콘
외모 문제보다도 또래 내에서 조금 빨리 성인병이 올 수 있으니 가급적 마른 게 좋지 않을까요?
도라지
20/02/17 19:16
수정 아이콘
마른거요.
살이 조금만 빠져도 옷태가 아얘 다릅니다.
피를마시는새
20/02/17 19:50
수정 아이콘
여성이 생각하는 건장한은 남성이 생각하는 것과 많이 차이나더군요.
여자좀만나세요
20/02/17 19:53
수정 아이콘
적당란게 좋지만, 둘둥 하나 고르면 마른게 낫죠

피지알에서만 186/ 93이 보기좋다고하고 덩치이있다고 댓글 달릴건데 걸러 들으시길...

프로운동선수들이 암만 근육질이어도 저정도 키에 몸무게는 조절해야합니다
이재인
20/02/17 20:06
수정 아이콘
어리면 살찐 나이들면마른 이평균적으로 더나아요 어려서살찌면 쉴드라도되는데 나이먹고살찌면 쉴드가좀힘들어짐 둘다커버하는게 재력
희원토끼
20/02/17 22:39
수정 아이콘
지금 삼십대신거죠? 남편 20살때 187에 70정도? 스키니 29입던 미른남이었는데 지금 삼십대 187에 83인데..음...울아빠배 닮아가요. 배불뚝이; 전반적으로 퉁실해졌은데 93임 토실남을 넘어설듯합니다. 뺀게 나을듯해요.
라울리스타
20/02/17 22:54
수정 아이콘
저는 후자가 나을 것 같아요.

키가 작으시면 다른 이야기지만, 키 크시면 건장한 체격 유지하는 편이 여러모로 좋다고 봅니다.
지금 체중이 더이상 안 찌우신다는 가정하에 크게 문제가 되는 체중도 아닌 것 같구요.

살 뺐을때 미용상 괜찮아보이는 것도 나이 어릴 때 얘기고, 대인관계에서 큰 체격이 주는 이점은 꽤나 크다고 봅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사람들이 안 그럴 것 같아도,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체격이 크면 쉽게 얕잡아 보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
탐나는도다
20/02/18 08: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마르고 뚱뚱하고가 문제가 아니라 적당히 건강한게 좋은거죠
근데 운동하면서 찌우신거면 별로 뚱뚱하신거 아닌거 아니에요?
너무 고삐풀고 먹는것만 자제하면 적당히 좋은 몸이실것같은데

그리고 나이들면 말라깽이 되고싶어도 배만 뽈록 나옵니다
몽키매직
20/02/18 11:54
수정 아이콘
체지방률 20% 이상이면 줄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353 [질문] 오래된 플래시 cd 실행에 대해.. [2] Sith Lorder2477 20/02/20 2477
142352 [질문] 한 달에 30만원 정도 넣을만한 금융상품이 뭐가 있을까요. [16] 참개구리4791 20/02/20 4791
142351 [질문] TRPG를 해보고 싶은데요. [5] reionel5929 20/02/20 5929
142350 [질문] 갤럭시 고속충전이 느릴경우 있지않으신가요!?(해결됨) [18] SKT6790 20/02/20 6790
142349 [질문] 휴지통이나 몇몇 폴더들이 열리는데 시간이 엄청 오래걸립니다. [9] 호아킨3711 20/02/20 3711
142348 [질문] 혹시 배송되는 케잌 가게중 괜찮은 곳 있으면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유유할때유4057 20/02/20 4057
142347 [질문] 자동차 여러대 있으신 분들 자동차보험은 어떻게들 하시나요? [7] 콩탕망탕4649 20/02/20 4649
142346 [질문] 노래 부르는 유튜버 찾아요. [6] 신촌로빈훗3696 20/02/20 3696
142345 [질문] 선거 관련 이벤트와 선거법 관련 질문입니다 [9] 튜브2519 20/02/20 2519
142344 [질문] 로지텍 G304와 비슷한 느낌의 무선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6] dongkyo5765 20/02/20 5765
142343 [삭제예정] 음악플레이어 어플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4453 20/02/20 4453
142342 [질문] 궐련형 전자담배 기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기다4343 20/02/20 4343
142341 [질문] 카 오디오 교체 문의입니다. [7] 이니3731 20/02/20 3731
142340 [질문] 갤럭시 10 울트라구매하려는데 질문입니다.(기기 x 통신질문) [12] Lord Be Goja5863 20/02/20 5863
142339 [질문] 이 문장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후치네드발4195 20/02/20 4195
142338 [질문] 이번에는 10년을 책임질 PC용 스피커를 찾습니다 [10] 대통령5186 20/02/20 5186
142337 [질문] PC 메모리 확장 관련해서 [10] 김홍기4217 20/02/20 4217
142336 [질문] 갤럭시7엣지 이용자 배터리 교환 VS 보조배터리 [12] 1024527 20/02/20 4527
142335 [삭제예정] 사당역 연어집 [11] 어센틱4838 20/02/20 4838
142334 [질문] 드루킹 자금 출처 [2] 짜황2972 20/02/20 2972
142333 [질문] T1 DRX전 3경기 케리아선수 라칸 플레이 질문입니다. [4] Rays3675 20/02/20 3675
142332 [질문] 에어맥스 신발 품질 질문드립니다. [13] 스핔스핔3668 20/02/20 3668
142331 [질문] LOL 프로씬 역사상 최고 실력의 플레이어를 라인별 2명씩만 뽑자면? [28] 내년에반드시결혼5347 20/02/20 53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