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2/01 23:46:55
Name WSID
Subject [질문] 회피형성격..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까요?
저 나름대로는 제 성격이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나지 않았다고 생각해봤는데
직장, 장래에 대한 고민 때문에 스트레가 심한 요즘, 오래된 여자친구와 이별까지 겪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니
어딘가에서 얼핏 봤던 회피형 성격에 그대로 부합하더라구요 .

전형적인 회피형 성격 유형처럼 항상 남과 의견이 상충되거나 서로 주장을 해야되는 부분이 있으면
상대방이 잔소리로 들릴까봐 혹은 굳이 피곤하게 말이 많아지는 상황이 싫어서 등 스스로 합리화 하며 유야무야 넘어갔습니다.
속으로는 아 저사람은 왜 저렇게 강하게 주장할까.. 나라면 안저럴텐데라고 상대방의 대한 점수를 까내리면서요..

연인관계에서도 마찬가지 였던거 같아요.
제가 만남에 대해 게을러서 여자친구가 불만을 표시하거나 어떤 의견이 달라서 서로 얘기좀 하자거나 하면
굳이 말다툼의 씨앗을 만들기 싫어서 혹은 나라면 저렇게 상대방에게 강하게 뭘 요구 안할텐데 왜저럴까하고 속으로 생각만하고
좋게좋게 다 넘어갔죠

그렇게 쌓인 생각들은 주변사람을 제가 꺼려하게 돼서 친구 한명 밖에 남지 않았고
여자친구는 그렇게 오래 사귀어놓고 우린 너무 안 맞는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떠나갔네요
스스로를 혼자 있는게 맞는 독립적인 성격이라고 생각했었지만 그냥 자기합리화였던거 같아요 건강한 관계를 만들줄 몰랐던거 같네요

요즘 너무 힘들고 우울감과 무기력감 때문에 정신과를 가서 약을 먹을 생각이긴 한데
그것과 별개로 성격도 좀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이런 회피형 성격을 스스로 인지하거나 주변에 변화시킨
경험이 있으신 분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프 더 레코드
20/02/02 00:51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 살찌고 자연스레 회피형 성격이 되다가 살빠지고 다시 사교적인 예전모습으로 돌아가는거보니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나 자존감, 자애감 같은게 회피성성격과 연관있지 않을까 많은 생각이 들더군요.
자신을 꾸밀수있거나, 다양한 일이나 사람들을 겪을 수있는여행등 해보시는게 좋지않을까요?
20/02/02 01:04
수정 아이콘
저도 어느정도 회피성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가 나아진 경험이 있습니다.
문제를 피하지말고 두렵더라도 마주하고 해결해가며, 목표를 세우고 차근차근 노력해가면서 자신감을 다시 키웠고, 저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스스로 많이 고민하며 자존감도 키웠습니다. 말그대로 문제 상황을 피하지 마세요. 피하면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네파리안
20/02/02 02:21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성격이지만 특별히 이상하다는 생각은 해본적 없는데 나이먹을수록 외로워지긴 하더군요.
개인적으론 그래도 같은 주제로 애기하면 관계가 편해서 좋아하는 취미의 동회회를 참여 했을때와 일관련 스터디를 나가는건 그래도 재밌더라구요.
저라면 남아있는 친구와 함께 새로운 취미라도 만들어서 모임참여해보지 않을까 싶내요.
In The Long Run
20/02/02 03:31
수정 아이콘
대화해야돼요. 속마음을 무조건 숨기지 말라는건 아닙니다. 다만 상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화, 의심, 짜증) 등을 느꼈을때 이걸 부드럽게 표현하는 방법을 상황을 가정해 생각해보고 실제로 겪었을때 시도해야 합니다.
Jean Coq de Raltigue
20/02/02 08:35
수정 아이콘
회피 성향을 가진 것이 나쁜 것이라 보지 않습니다. 세상에는 너무 저돌적으로 들이밀기만 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그러한 사람들을 이겨내려 하는 것 자체가 큰 정신적, 신체적 소모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죠. 똥이 더러워서 피하지, 무서워서 피하는 것이 아니잖습니까?
다만 제가 드리고 싶은 것은 이따금 할 때는 뭔가 하는 모습만 보여주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너무 힘듭니다. 저는 WSID님께서 운이 좋지 않았던 것이지, 좋은 친구들과 좋은 사람들을 만나면 아마도 적극적으로 행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0/02/02 09:04
수정 아이콘
고쳐지지않는 단점에 노력하느니 강점을 찾는게 훨씬 나을거라는 문구를 책에서 본적있어요
20/02/02 14:37
수정 아이콘
저도 글쓴분의 대응과 거의 비슷한 삶을 살아오고 있는데
다만 외로움, 우울함 등의 감정을 거의 못 느껴서 스스로가 '나는 비사회적인 생물이다..' 라고 받아들이고 있는 게 차이점이겠네요
30대가 되어서야 인간관계라는 주박을 대부분 풀어버릴 수 있었는데 이게 저만 느낀 해방감 같은 거라 조언이 될 수는 없겠군요
나눔손글씨
20/02/02 21:56
수정 아이콘
1. 심리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심리상담은 도수치료와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건강한 인간관계를 직접 만들어 줄 수는 없지만 방향을 잡아주고 다방면으로 도움이 되는 조력자가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2.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되시면 MMPI 같은 검사도 같이 해보시기 바랍니다.
3. 평소 심리학 책 등을 읽거나 타인과 대화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드는 등 노력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도수치료도 상담도 보통 1주일에 1번 하니까 실제 생활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사실상 돈 낭비입니다. 사람은 자신의 경험에 따라 바뀌는 존재이기 때문에 환경을 잘 바꾸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무조건 나가야하는 모임, 가령 영어학원 같은 것도 좋고 여러 아이디어를 생각해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20/02/02 23:00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20/02/03 00:19
수정 아이콘
사람 키같은건 타고나잖아요

기본적인 체력같은것도 그렇고

그런데 성격이라는건 무슨 쉽게 바꿀수있는걸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더라구요

저는 기본적인 성격이나 성향같은건 타고나는게 강하다고 생각하고, 결국 그 모습을 기본으로 자기가 원하는 모습을 단련해서 추가시키는 개념으로

생각해야한다고 봅니다

회피형 성격이시라면 그걸 뭐.. 예를들어 적극적인 성격으로 바꾼다.. 이게 될까요?

본인의 본래모습은 그대로 두고, 그로인해 불편한 부분이 있으면 다른부분을 단련해서 보완하고 추가시켜야 한다고 봐요

적극적인 모습이 필요하다면, 그에 관련된 책을 읽어본다던가, 상담을 받고 조언을 들어본다던가, 이런식으로요
20/02/03 06:37
수정 아이콘
결혼하니깐 바뀌게 됫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877 [질문] 레고 크리에이터 시리즈 온라인 구매 질문 [19] 달달한고양이2891 20/02/05 2891
141876 [질문] 붉닭+짜왕 같은 컵라면 조합 좀 추천해주세요~ [8] 興盡悲來3678 20/02/05 3678
141875 [질문] 카페 개업한 곳에 화분 선물 [3] 카라타에리카2719 20/02/05 2719
141874 [질문] 부동산 지분 투자 [11] 주우운2839 20/02/05 2839
141873 [질문] 컴알못의 가성비 게임용 데스크탑 조립 이륙 검토부탁드려요. [9] 목캔디3261 20/02/05 3261
141872 [질문] 주에 몇시간 근무하는지를 월에 몇시간 근무하는지로 어떻게 치환해야 하나요? [3] 興盡悲來2883 20/02/05 2883
141871 [질문] 차량에 빨간색 방향지시등을 달아도 규제는 없는건가요? [6] 光海4416 20/02/05 4416
141870 [질문] 블리자드 계정이 해킹시도 당했는데 어케함녀 되나요? [2] 삭제됨3617 20/02/05 3617
141869 [질문] 전자기기 비교 리뷰 블로그 찾습니다. [4] Bellhorn4461 20/02/05 4461
141868 [질문] 중국어 배우기 가장 좋은 루트가 뭘까요? [5] 쿠크하하2882 20/02/05 2882
141867 [질문] 아이즈원은 태양을 어떻게 삼킨 걸까요? [8] 응원은힘차게4880 20/02/04 4880
141866 [질문] 랜선 하나로 PC, 플스 동시 연결 질문드립니다. [9] 쉬군3763 20/02/04 3763
141865 [질문] 가슴이 아파서 응급실을 다녀왔는데 내일 순환기내과에 가봐야겠죠? [10] Gunners3560 20/02/04 3560
141864 [질문] 1:1 영어과외 추천해주실분 있나요 [4] 달콤한인생2480 20/02/04 2480
141863 [질문] 주민등록증을 잃어버렸는데 그냥 냅둬도 상관 없을까요? [8] 아카데미3614 20/02/04 3614
141862 [질문] 주기도문 [1] 삭제됨2330 20/02/04 2330
141860 [질문] 해외주식투자 용도의 환전은 어떤 방식이 제일 좋은지요...? [3] nexon5629 20/02/04 5629
141859 [질문] 용과같이 7 질문입니다 [2] 쥬리2756 20/02/04 2756
141858 [질문] 32인치 티비 구매 질문 [4] 김카리2948 20/02/04 2948
141857 [질문] 중학교 시절 학원 친구를 찾고 싶습니다.. [12] 엔지니어3841 20/02/04 3841
141856 [질문] 내일 베트남 출장 가는데 지금 미열 있습니다. [2] 호아킨3966 20/02/04 3966
141855 [질문] 롤) 2018 한체라인 [5] carpedieem3306 20/02/04 3306
141854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8] ELESIS3724 20/02/04 37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