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7/09 11:07:04
Name 마치
Subject [질문] [LOL] 2가지 질문 드립니다.
첫번째는 억제기와 바론 중 뭐가 더 좋은가?라는
질문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억제기가 무조건 더 좋다고 생각을 했는데 어제 게임하다가 억제기와 바론중 하나 선택해야 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래서 당연히 억제기를 외쳤고
우리팀 4명은 전부 무슨 억제기냐며 바론으로 갔습니다.

바론을 먹었지만 그 게임은 결국 졌고
저는 그때 억제기를 밀었으면 상황이 달라졌을거라 말했더니 우리팀 4명에게 진짜 엄청난 패드립을 들었습니다.  말같지도 않은 소리하지말라며.

두번째는 요새 랭겜에 미드이즈 정말 많이보이는데
어제 롤챔스에서 클템해설이 미드이즈는 라인전도 약한편이고 카운터도 많다라고 하시더군요.

저는 솔라인 섰을때 원딜류 챔피언이 라인전이 가장 강한줄 착각하고있어서 미드이즈가 나왔을때 카운터 칠 수 있는 챔피언들이 궁금합니다.
미드 이즈가 너무 많이 나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7/09 11:09
수정 아이콘
바론이냐 억제기냐는 그 때 그 때 다를 수 있는거죠.
억제기 밀어놓고 역바론 당하고 이 후에 역으로 당해서 질 수 있는건데 억제기 밀었으면 이겼다 이런 말은 무의미하죠.
15/07/09 11:13
수정 아이콘
질문이 무조건 뭐가 더 좋은지 말해달라가 아니고 당연히 상황에 따라 다를테니 일반적으로 어느쪽을 더 많이 선택하는지가 궁금한겁니다.
윗 글에 상황은 적 미드 2차타워에서 싸움이 났고 저희가 5명이 다 남는 대승을해서 억제기 타워 앞에까지 와있었고 미니언 웨이브도 억제기 타워까지 와잇었는데 그거 안밀고 뒤로빼서 바론을 먹으러 갔습니다.
이 상황을 말씀드리면 대부분 억제기라 하실거 같아서 일부로 글에는 적지않았습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어느쪽을 더 선호하시는지가 궁금한거라서
15/07/09 11:24
수정 아이콘
위 상황이라면 억제기 밀고 바로 바론 달립니다.
바론이 여의치 않으면 낚시해도 되구요.
일반적인 상황이더라도 저는 억제기를 좀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15/07/09 11:27
수정 아이콘
제가 그 근거를 대면서 억제기를 주장했습니다.ㅠㅠ
바론은 억제기를 밀면 다음에 먹을 수 있는 기회가 온다 또 억제기를 얼마나 빨리 미느냐에 따라 바론도 바로 가능할수 있다 휴..
15/07/09 11:33
수정 아이콘
팀랭, 천상계 제외한 솔랭은 억제기 쪽이 답인거 같습니다.
바론 먹고도 이득 못보고 지는 경우를 많이 봐서요.
솔랭 오더는 거의 다수결이다보니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it's the kick
15/07/09 11:58
수정 아이콘
그 상황이 억제기인지 바론인지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에이스 띄워도 우리 2차타워앞에 적 미니언 들어오면 억제기 가기 힘들죠. 말씀하신 상황은 딱 억제기 각입니다
슈퍼마리오
15/07/09 11:15
수정 아이콘
1번. 저는 억제기라고 생각합니다.
억제기 밀고 집가는데 역바론 나오는 상황이 아니라면...
억제기 하나 밀고 다른라인 푸쉬하면서 운영하는게 이득을 엄청 가져올 수 있어서요.
저도 친구들이랑 게임 하다가 억제기든 바론이든 하나만 가져갈 수 있는 상황이면 무조건 억제기 먼저 가져가요.

2. 라인전 중반까지는 약합니다. 초반 견제수단이 마땅치 않고 그나마 w 로 견제 하는데 보통은 q 선마를 하기때문에 딜도 안나오고요.
cc도 없어서 갱호응도 좀 구리고...
그나마 룬글이랑 루덴 나오면 좀 세지더군요.
그리고 미드 이즈는 원딜류 챔피언이라고 보긴 좀 힘들어요. 평타 짤짤이 딜이 너무 약해서;;
제가 미드 이즈 갈때 야스오가 좀 힘들었습니다.
15/07/09 11:21
수정 아이콘
1. 당연히 억제기죠.
2. 스킬이 미니언에 막히는 챔프는 일반적으로 라인전에서 강할 수가 없습니다.
LG twins
15/07/09 11:27
수정 아이콘
2. SK가 이즈꺼내니 아나키가 야스오 픽했죠. 그래서 이즈 원딜 돌리고 미드 이렐 픽했지만.
15/07/09 11:29
수정 아이콘
1. 가까운쪽
모르는 사람 5명 모여서 하는 솔로랭크는 걍 바론 억제기 중에 가까운쪽이 짱입니다. 정치 방지
쇼쿠라
15/07/09 11:35
수정 아이콘
상황따라 틀리긴한데 저같은 경우는 2차타워까지 밀정도 시간이면 걍 바론
억제기면 거의 억제기로 달리자고 하네요
옛날바론이면 약간 나은데 지금 바론은 바론때문에 이겼단 느낌 들떄 별로없더군요
15/07/09 11:42
수정 아이콘
1. 가깝고 리스크가 적은쪽

만약 아무거나 먹어도 상관 없는 상황일 경우
지금까지 울팀이 운영 더럽게 못했으면 억제기로 달릴꺼고, 다들 컨디션 좋고 운영 잘 굴려가면 바론 갑니다.

바론vs억제기 단순 비교는 둘다 장단점이 있어서 뭐가 더 낫다 판단하기 힘드네요.
머스크
15/07/09 11:48
수정 아이콘
후반은 아닌가보네요
후반에 5명이 2차타워앞에 있었으면 겜 끝났을거니

저는 일반적으로 바론가고(심해라 그런지 억제기따고 진판도 엄청 많아서 차라리 딴애들이 덜 짤리고 라인푸쉬력 올려주는 바론이 좋다고 생각합니다.물론 안전하게 먹을수있다는 전제)
글쓰신분과 같은 상황이면 억제기밉니다
어차피 글과같은 상황이면 억제기미는데 3초도 안 걸릴테니깐요
근데 사실 솔랭은 핑많이 찍히는 곳으로 가야죠 크크

미드이즈는 룬글땜에 많이하는건데 곧 너프한다는 글을 본것같습니다
그냥 밴하고 이 또한 지나가길..
에바 그린
15/07/09 12:30
수정 아이콘
고려할게 사실 엄청 많죠. 진짜 제가 생각하는 걸 써두면 입롤이라고 생각하실까봐 안써두지만 너무 그때그때 다릅니다... 티어 올리면서 경험한 바로는 티어가 낮을수록 바론의 중요도가 떨어지는 느낌이랄까.. 좋아는 하는데 막상 먹어도 다 정글먹고 귀환하느라 다시 모이면 바론 사라져있는 경우를 많이 봐서..
정육점쿠폰
15/07/09 12:32
수정 아이콘
1. 다음 한타도 안정적으로 이길 수 있다고 생각되면 억제기
2. 다음 한타를 안정적으로 이기기 어려워 보이면 바론

대체로 이렇습니다.
Nasty breaking B
15/07/09 13:00
수정 아이콘
정확히 제가 쓰려던 리플이 여기 있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5/07/09 12:37
수정 아이콘
1. 시간을 끌 필요가 없다면 억제기
2. 시간을 끌어야 한다면 바론

즉 아군의 성장상황이 상대방보다 안좋아서 시간을 끌면서 골드차이를 줄여나가야한다면 바론을 먹고 라인을 푸쉬하면서 성장을 꾀하고 만에하나 한타가 벌어지더라도 바론버프빨로 불리함을 상쇄시킵니다. 반면에 우리쪽이 유리한 상황이라면 억제기를 밀고 운영의 유리함을 취합니다..
15/07/09 12:50
수정 아이콘
1 원딜이 잘크거나 후반이면 바론,원딜이 못크거나 초반이면 억제기,중반에는 조합에따라 갈릴것 같습니다.
2 이즈리얼은 상대를 압도하지 못해요,그래서 라인전 강캐(제이스,카시,블라디같은)라던가 초반라인전이 힘든데 잘크면
한타나 로밍에서 캐리하는 (피즈,카사딘,카탈리나,탈론같은 근접챔) 가 상대하기 편하죠~ 개인적으로 에코나 야스오 초가스
추천드립니다. 이즈는 버프한다고 오피되는 챔이 아니에요~ 근본적으로 탱커녹이기 힘들고 한타에서 상대 딜러에 딜넣기 힘들기에~
스타트
15/07/09 13:05
수정 아이콘
원래 한타 이기면 억제기 깰 수 있으면 억제기고 못 깨면 바론이 정석입니다. 대부분의 경우가 이렇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미드 이즈는 스펠 하나를 버린거라 카시같은 ap라인전 강캐나 암살자한테 버틸 수가 없습니다. 프로 경기에서나 조합보고 뽑을 수 있는거죠. 라인 이즈리얼이 강한 타이밍은 딱 2렙까지구요, 강타이즈는 심지어 스펠도 하나 버린거라 더 약하죠.
술마시면동네개
15/07/09 14:08
수정 아이콘
불리한 상황이면 바론 유리한 상황이면 억제기갑니다 물론 상황에따라 틀리겟지만 ...
따스한달빛
15/07/09 14:52
수정 아이콘
정육점쿠폰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저는 바론먹고 와서 다시 억제기를 밀 수 있으면 바론 아니면 억제기 선택으로 하네요.
15/07/09 17:10
수정 아이콘
무조건 억제기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3580 25/02/12 3580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2477 25/02/12 2477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3442 25/02/12 3442
179697 [질문] 첫차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10] 친절겸손미소2529 25/02/12 2529
179696 [질문] GD 콘서트 팬클럽 선예매 질문 [2] No Fear2260 25/02/12 2260
179695 [질문] 피지알러가 아닌 사람이 보는 피지알은 어떤 사이튼가요? [25] 윌슨 블레이드2965 25/02/12 2965
179694 [질문] NAS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4] 고요2190 25/02/12 2190
179693 [질문] 영외마트(px) 신상 양주 추천 [7] 로켓3921 25/02/12 3921
179692 [질문] 태블릿PC 추천부탁드립니다. [7] 마사루.2380 25/02/12 2380
179691 [질문] 오사카 덴덴타운에 엘든링 굿즈 있을까요? [5] 부딪힘주의2511 25/02/12 2511
179690 [질문]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6] 제노스브리드2211 25/02/12 2211
179689 [질문] 거실과 작은방에서 각각 와이파이 속도와 핑 지터 괜찮은지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6] Succession2319 25/02/12 2319
179688 [삭제예정] (문제시) 5만원 내기인데 투표 부탁드립니다 [50] 마르틴 에덴3843 25/02/12 3843
179687 [질문] 매매하려는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합법여부 관련 질문 [9] Mrs. GREEN APPLE2638 25/02/12 2638
179686 [질문] 집에 누수가 되면서 컴이 맛이 갔어요... [7] 웃어른공격2350 25/02/12 2350
179685 [질문] 애플 매직 트랙패드 윈도우 사용 관련 [2] 파란토마토2012 25/02/12 2012
179684 [질문] 현 상황에서 제일 합리적으로 구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는 뭘까요? [11] 바밥밥바2647 25/02/12 2647
179683 [질문]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성능은 좋은데 하루에 2번정도씩 냉동센서가 깜빡거리며 경고음이 납니다 [2] Succession2013 25/02/12 2013
179682 [질문] 몸에서 수분 흡수를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23] 회색사과2612 25/02/12 2612
179681 [질문] 유튜브 영상 캡쳐해서 올리는건 수작업인가요? [14] CoMbI COLa2701 25/02/12 2701
179680 [질문] 카페 음료 중 차tea는 왜 그리 비싼가요 [14] 새님3653 25/02/12 3653
179679 [질문] 식기세척기 세척관련 질문입니다 [8] 솜사탕흰둥이2860 25/02/12 2860
179678 [질문] 3월 초 국내 갈만한 여행지 있을까요?? [7] 원스4005 25/02/11 40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