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9/12 13:41:56
Name 장구레
File #1 1889115618_9295eea0.jpeg (15.5 KB), Download : 22
File #2 1889115618_05198973.jpeg (4.7 KB), Download : 3
Subject [질문] 자유게시판에 있는 공무원 박봉 글 보고 궁금한 점 있습니다.







공무원 월급이 박봉 중에 박봉인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 보니 정말 심각하게 적네요;;;

혹시 중앙부처 7급 공무원도 저것과 큰 차이 없는 수준인가요?
국가직 7급 공무원이면 그럭저럭 기본은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했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쁜이
14/09/12 13:46
수정 아이콘
http://pubinfo.tistory.com/15
이거 보시면 직급/호봉별 본봉 나와있네요. 물론 수당이 꽤 있으니 저거만 받는건 아니겠습니다만..
장구레
14/09/12 13:53
수정 아이콘
9급보다 7급이 35만원 정도 더 받네요
그러면 170만원 정도 받는 셈인데
9급보다야 낫지만 좀 적네요..

그래도 7급 할 정도면
지거국이나 건동홍 정도는 될 것 같은데

식당에서 일하는 아주머니들도 220은 받는데 말이죠
낭만토스
14/09/12 14:13
수정 아이콘
식당 아주머니가 220을 받아요? 후덜덜.....
장사 잘 되는 집인듯....
장구레
14/09/12 14:19
수정 아이콘
제가 전에 강남에서 주류영업을 하면서 식당이나 술집들 많이 드나들었는데
한국인 아주머니는 220, 조선족 아주머니는 170 정도 받으시는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그렇게 많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달에 이틀 남짓 쉬시고
밤늦게까지 일하시느라 건강 상하시는 게 보였거든요
낭만토스
14/09/12 14:26
수정 아이콘
네 220받으면서 그정도신데

다른 곳은 그 정도도 못 받는 곳이 쎄고 쎘습니다.

지금 자영업이 얼마나 힘든데요. 월급이나 제 때 나오면 다행이죠.
단지날드
14/09/12 13:52
수정 아이콘
한 20~30정도는 더 받을겁니다. 국가직이던 지방직이던 본봉의 차이는 없습니다. 그리고 냉정하게 요즘 공무원들 박봉이라고 하기도 힘듭니다... 사람값이 똥값인 나라라 더더욱 박봉인 직업들이 많으니까요-_-;; 열악한 직업이 열악한직업이 아니게 된 뭣같은 세상...
장구레
14/09/12 14:26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다니는 친구가 몇 있는데 중소기업은 박봉보다 사장 마인드가 문제인 것 같더라고요

내 돈으로 밥 먹으니 내 말은 무조건 들어야 한다는
조선시대 지주 심뽀
Cazellnu
14/09/12 13:55
수정 아이콘
질문과는 별개로 공무원 급여는 저정도선이 적정하다고 생각합니다 .
장구레
14/09/12 14:27
수정 아이콘
그래도 7급 정도면
지거국 수준은 될 것 같은데
170은 좀 적은 것 같아요..
중앙부처면 하는 일도 제법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손예진
14/09/12 14:0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너무 적죠.. 쉽게 들어가는 곳도 아니고
장구레
14/09/12 14:29
수정 아이콘
9급은 1년, 7급 2년은 공부해야 된다고 들었는데
힘들게 들어가서 저 봉급 받으면 눈물 날 것 같아요
14/09/12 14:10
수정 아이콘
공무원 조건이 과하게 올라간게 문제 + 다른 직업이 대우를 못받는게 문제 가 아닐까 싶네요....
장구레
14/09/12 14:30
수정 아이콘
IMF가 정말 대재난인 것 같아요
140 받는 직장이 각광받는 시대가 오다니;;;
낭만토스
14/09/12 14:14
수정 아이콘
월급 떼서 안정성과 교환한거죠

대부분의 중소기업과

급여+근로환경 생각해보면요


문제는 둘 다 올라가야 할 문제라는거죠. 중소기업이 이러니 넌 이래야 한다가 아니라요

다만 더 시급한 것은 공무원이 아니라 중소기업이나 기타 직업군인 것 같네요
장구레
14/09/12 14:33
수정 아이콘
예전에 대학생 때 관공서 문서를 전산화하는 중소기업에서 일해 본 적 있습니다.
꽤 오래 전 일인데 정말 열악했던 게 기억나네요
열악한 환경 속에 봉급도 아르바이트 수준이었는데

확실히 그거에 비하면 공무원은 양반이긴 하네요
14/09/12 14:23
수정 아이콘
월급 적은 것 알면서도 그렇게들 되려고 하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애초에 저것보다 더 받으면서 그럭저럭 안정적인 직장을 찾을 수 있는 사람들은 공무원을 안 하겠지요...
장구레
14/09/12 14:37
수정 아이콘
공무원보다 안정적이면서 돈도 꽤 받는 직장은 고스펙자 마구마구 몰릴 것 같은데
그분들은 공무원 거들떠 보지도 않을 것 같네요
뭘해야지
14/09/12 14:44
수정 아이콘
돈없고 스팩안좋은사람들에게 마지막희망이 공무원인거 같은데
현재는 스펙좋은사람들도 할려고하는게 문제인듯..
14/09/12 14:55
수정 아이콘
근데 적다고 하기도 뭐한 게 25세 정도에 9급으로 시작해서 50세가 넘으면 5천 근처가 됩니다. 이러면 부부 같이 공무원이면 또 1억이고 그렇죠. 대한민국 평균 가구소득은 2012년 기준으로 4천4475만원 입니다. 공무원 혼자 벌어도 50세만 되면 평균 가구소득을 넘어섭니다. 이걸 적다고 하는 건 좀 그렇죠. 그래서 단순비교 자체가 그렇게 큰 의미가 없습니다. 공무원은 초년생일 때 급여가 적어서 고생을 좀 하는 건 맞아도 그냥 호봉 낮을 때 연봉 딱 떼서 가져오는 건 편파적인 의도가 있죠.
물티슈
14/09/12 15:44
수정 아이콘
저희 부모님이 그정도에 9급 시작하셔서 지금 50세 훌쩍 넘기시고 6급이신데 절대 그정도까진 안나옵니다.
그렇게 벌었다면 진작 지금 사는 동네에서 벗어났겠지만 ...
14/09/12 15:49
수정 아이콘
저는 제 아버지와 친가쪽 가족이 전부 공무원이라 제가 금액을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만.. 한번 정확한 금액을 한번 여쭤 보세요. 세전 기준으로 5천 넘을 겁니다.
물티슈
14/09/12 15:52
수정 아이콘
어머니 아버지 두분다 서울에서 공무원하시지만 그정도까진 안나옵니다.
작년부터 조부모님 두 분 다 건강 이상 생겨서 중환자실에 요양비에 돈이 엄청 깨졌는데 정말 저정도 버셨다면 그렇게 힘들어 하실리가 없었습니다. 애써 힘든 티 안내시는게 눈에 보일정도였는데요.
14/09/12 15:55
수정 아이콘
그냥 그정도 받으면 힘들어 하실 리가 없다. 이렇게 말구요. 정확한 금액을 물어보세요. 저는 정확하게 아버지가 받는 연 세전 연봉이 얼마인지 알고 있습니다. 쪽지로 보내드릴까요? 지방직이 더군다나 국가직보다 급여가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저희 아버지는 국가직입니다.
물티슈
14/09/12 15:56
수정 아이콘
아니 돈이 없어서 할머니가 모아둔 통장까지 깼는데요? 다른사람이면 몰라도 저희 어머니가 조부모님한테 주면 줬지 받는 건 바라지도 원하지도 않으시는 분입니다. 과거에 이런저런일이 있어서요.
14/09/12 15:5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물티슈님이 말씀하시는 건 그냥 그정도는 안 될 것 같다라는 추정 뿐이시잖아요. 정확한 금액을 여쭤 보세요. 그냥 마냥 그정도는 안 될거다라고 이야기하시지 마시구요;;;
물티슈
14/09/12 15:59
수정 아이콘
9급에서 시작해봐야 열에 아홉은 6급에서 지지칩니다. 근데 나이 50에 둘이 합해서 1억이라뇨.
14/09/12 16:01
수정 아이콘
당장 밑에 호느님이 7급 3호봉에 3700이라고 밝히시고 있습니다. 3호봉이면 군필 남자 기준으로 발령 첫해가 3호봉입니다. 그렇다면 6급 27~32호봉 사이의 금액이 5천도 안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참고로 7급 3호봉의 기본급은 2014년 기준으로 169만원이고 6급 25호봉은 338만원입니다. 기본급만 4천이 넘습니다.
물티슈
14/09/12 16:04
수정 아이콘
http://golucky.tistory.com/651

2014년 공무원 월급표라고 나와있는겁니다. 9급으로 시작하면 나올수가 없어요.
6급 27~32호봉이요? 몇살에 6급 달아야 그렇게 나옵니까?
14/09/12 16:06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같은 표를 보신 것 같은데 그 표만 봐도 알겠네요. 당장 밑에 호느님 댓글과 비교해 보시라니까요. 아니 그냥 추정을 하지 마시고 직접 물어보세요. 그럼 됩니다. 왜 그냥 내 생각엔 아닐 것 같다라고만 이야기 합니까? 정확하게 25살로 9급 시작하면 남자로 50살 되면 6급 25호봉이 됩니다. 기본급만 4천이에요. 수당 치면 당연히 5천이 넘죠.
물티슈
14/09/12 16:09
수정 아이콘
아니 말이 안되는 소릴하셨잖아요.
9급에서 시작해서 6급에 27~32호봉이라뇨. 이건 7급부터 한 사람들이나 가능한 얘깁니다.
호봉이란게 사병에서 상병 1호봉 얘기하듯 달에 쌓이는게 아니잖습니까. 저분이 현역인지 아닌지는 인증 올라온것도 아니고 왜 믿어야하죠?
14/09/12 16:11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말이 안되는 소리는 오히려 님이 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답답하네요. 표를 가지고 설명 해 줘도 내 생각엔 아니다. 그 이유는 부모님이 병원 갈때 힘들어 했기 때문이다. 라고 이야기하면 무슨 말을 더 합니까? 25세에 시작했고 50대 넘어가면 당연히 호봉이 그정도 되죠. 1년에 1호봉씩 쌓입니다. 진급하면 1호봉 깍이구요. 아니 아니라고 생각하는 근거가 고작 부모님이 힘들어한다라고 이야기하면 제가 뭐 어떻게 말을 해야 합니까? 저는 더이상 댓글 안 달렵니다.
물티슈
14/09/12 16:14
수정 아이콘
Realise 님// 그럼 병원비 얘기 그건 빼시구요. 9급에서 시작해서 6급 27~32호봉이 가능하면 중소기업 다는 사람들은 그냥 멍청한거네요?
도대체 어떻게 진급을 해야 9급에서 시작해서 6급 27~32호봉이 됩니까? 1년에 1호봉인건 저도 알고요.
보통 9급에서 시작해서 지금 50대인사람들은 대부분 10년에 1계급 정도를 생각하던데요?
저희 아버지도 계속 5급 못달고 그냥 이대로 몇년 더 다니다가 퇴직하실거 같던데 무슨 6급 27~32호봉
같은 소릴 하시는지 모르겠군요. 아니면 님 부모님이 매우 뛰어나신 분들이겠죠.
어머니도 힘들어하실떄 200 좀넘는거 가지고 힘들어 죽겠다고 하시고요.

추가) 어디서 본 닉네임이다 했더니
예전에
https://cdn.pgr21.com/pb/pb.php?id=qna&no=30191&divpage=6&sn=on&ss=on&sc=on&keyword=%EB%AC%BC%ED%8B%B0%EC%8A%88&cmt=on

여기서 뵌분이네요. 20억 주장하시더니 진짜 부모님이 공무원 맞으세요?
에이멜
14/09/12 16:23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진급하면 호봉 0으로 리셋되는게 아니고 1~2호봉 낮아지고 계속 유지되는겁니다. 25세 3호봉으로 시작하면 55에 9급 33호봉 = 6급 27~30호봉이에요.
물티슈
14/09/12 16:30
수정 아이콘
에이멜 님// 지적감사합니다. 그런데 9급시작 50넘어서 둘이 합해서 세전 1억이 가능하다고 보세요?
아무리 케바케라지만 보통 9급은 6급까지 올라가는게 보통인데
다른 나라 얘기같아서 좀 열낸거 같네요. 사무관부부라거나 7급 스타트 부부면 그럴수도 있겠다 싶은데..
에이멜
14/09/12 16:43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급수에 따른 본봉은 액수가 공개되어 있는 반면 수당은 본인이 밝히지 않으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수당에 따라 꽤 차이가 큰편이에요.
물티슈
14/09/12 16:45
수정 아이콘
에이멜 님// 저희 부모님도 초과근무 자주 찍으시기떄문에 그건 알고 있습니다만..
어쩃든 예전에 20억 주장하시던 분이랑 이런 얘기했다는게 ...저 때는 가족 얘기는 한마디도 없이
보험회사 20억 드립을 날리시더니 여기선 또 아버님이 공무원이라고 하시고..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보내시길.
물티슈
14/09/12 16:46
수정 아이콘
Realise 님// 20억 드립친 본인부터 생각해보시죠.
14/09/12 16:47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호봉계산도 할 줄 모르는 사람과 연봉 이야기한 제가 바보같군요. 20억은 신문 기사에서 본 걸 인터넷에서 찾았을 뿐입니다. 이거 뭐 아버지 연봉표 인증해서 보여드릴 수도 없는 노릇이고. 고작 근거가 부모님 병원, 그렇게 벌면 우리집 이렇게 안산다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이랑 대화한 제가 수준낮았나 봅니다. 그만할려고 했는데 인신공격이 들어와서 대응은 하는데 저도 이제 안 할랍니다. 제가 바본듯
물티슈
14/09/12 16:49
수정 아이콘
Realise 님// 아니 본인 경험이 있는데 신문기사 가지고 오는게 더 이상하죠. 신문기사도 아니고 블로그 엑셀파일이군요.
그래서 지적받으신거 아닙니까? 가족이 그것도 아버님이 현직이시면 그게 얼마나 뻘소린지 더 잘 아실만한 분이 그걸 버젓히 들고와선 이거봐라 하는게 더 이상하지 않으십니까?
저도 여기까지하죠. 좋은 하루 되시길.
14/09/12 16:51
수정 아이콘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148542
하나만 더 말하자면 22억은 SBS 뉴스에도 나온 겁니다. SBS가서 항의하세요. 제가 아버지 공무원이라고 그 평생소득 계산하고 앉아 있을 것도 아니고 뻘소린지 아닌지 자료 하나 없이 그냥 병원비 내기 어려워서 우리집 소득 그정도 안된다고 이야기하는 분과 대화한 제가 바보입니다 죄송합니다. 사과드릴게요.
물티슈
14/09/12 16:58
수정 아이콘
Realise 님// 그만하려고 했는데 어이가 없네요. 어차피 서로 명세표 인증은 못하는데 말이죠.
병원비 대충 나가는건 얼마인지 다 압니다. 요양비 중환자실비 이것저것 작년에만 2천여만원 넘게 깨졌습니다.
님 말대로 둘이 합해 1억이면 힘들이유가 무엇입니까?
그리고 20억 정도 나오는걸 계산하셔야 압니까? 2천만원도 아니고 2억도 아니고 20억인데요?
당연히 안되는걸 뻔히 알면서 그런걸 퍼오십니까?
호느님
14/09/12 17:02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끼어들어서 죄송하지만 공무원 평생소득을 대충 계산해도 9급출신이 20억 7급출신이 30억 5급출신이 45억이라는 걸 학교 교수님들과 사무관 출신 학원 강사들이 공통적으로 말해왔습니다.
물티슈
14/09/12 17:11
수정 아이콘
호느님 님// http://hedgefund.tistory.com/99 예전에 realise 님이 올려주신 블로그 표인데
이대로 계산하면 가능하겠지만 ...
이런거 싸운다고 뭐 지금 제 현실이 바뀔것도 아닌데 괜히 열냈네요.
realise 님에게도 불편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좋은 하루되시길.
케이아치
14/09/12 18:06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다른 곳에 쓰셨을 지도 모르지만
주택담보대출금상환 / 자녀들 용돈 / 본인들 용돈 / 각종 경조사비 / 보험 연금 / 기타 생활비

대충만 생각해봐도 굵직굵직한 돈 나갈 곳은 많아 보이는데요 ?
제 친척분도 23살에 9급으로 시작하셔서 지금 6급으로 곧 퇴직하시는데 5천 넘게 버십니다.

제게 직업으로 공무원을 추천해 주시면서 말씀하신거라 명세표도 직접 봤구요.

직접 부모님께 여쭤보시면 될 것을 왜 길게 끄시는지 모르겠네요.
물티슈
14/09/12 18:12
수정 아이콘
케이아치 님// 어차피 명세표 인증할수도 없어서 그만 하려고했는데 또 댓글이 달렸네요.
그럼 올려주세요 1년치 명세표.
이게 참 뭐라고..저도 많으면 좋습니다. 저희부모님이 많이 버는데 그걸 왜 싫어하는거처럼 보이나요?
이제 더이상 댓글 안달게요 수고하세요.
azurespace
14/09/12 19:14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지나가다 보니 기가 차네요. 다른 분들은 충분히 근거도 들어주고 어째서 그렇게 될 수 있는지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데 무슨 태도가... 정답이 없는 문제도 아니고 확실하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허 참. 그냥 자기가 틀린거 인정하면 되는 걸 가지고
물티슈
14/09/12 19:18
수정 아이콘
azurespace 님// 네 그래서 여쭤봤네요. 저희는 저정도까진 안되네요. 더 벌면 저도 좋습니다. 나쁠게 있나요?
근데 어쩝니까 이렇게 말해도 전 명세서를 올릴수가 없는데요. 그냥 지나가시면 될걸 굳이 그만하겠다는거에 댓글 다시는 이유가 뭔지요.
알람이라도 꺼놔아겠네요. 수고하세요.
파란무테
14/09/13 01:58
수정 아이콘
물티슈 님//
물티슈님이 잘못알고 계신게 맞습니다.
세전금액을 연봉이라고 하며, 이는 연말정산시 근로소득원천징수증에 나오는 금액입니다.
님의 부모님 급수와 나이에 연봉(세전)이 5천이 안되는건 말이안됩니다.
여러사람들이 부모님 근로소득원천징수증이나 월급명세서를 확인하라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14/09/12 15:17
수정 아이콘
월급표가 좀 더 자세해야 정확히 알 수 있을 듯 한데, 공제액이 50만원이 넘는 걸로 봐서는 공무원 쪽 공제회에 적금식으로 넣는 돈이 있는 것 같습니다. 군인공제회같은 거 있잖아요. 위에 호봉표 확인해보니 9급 5호봉이 149만원인데, 실수령이 140밖에 안될리는 없고 공제회에 자의로 넣는 돈을 실수령에 포함시키면 실질적으로는 170-180정도는 될 것 같네요.
호느님
14/09/12 15:19
수정 아이콘
제가 지방직 7급 3호봉인데 세전 연봉 3700정도 됩니다.

공무원 되기 전에 생각했던 것 보다는 더 많아요.
단지날드
14/09/12 15:28
수정 아이콘
3700이요?;; 현직이시라니 사실이겠지만 그러면 남자의 경우에 초봉이 3700이라는 얘긴데 처음들어봅니다 2000대 중후반정도라고 알고있었는데;;
호느님
14/09/12 15:34
수정 아이콘
본봉 수당 명절보너스 복지포인트 등등 영혼까지 끌어모으면 3700정도네요.
저도 2000후반대로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더라구요.
14/09/12 15:53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 정확하게 얼마얼마 인가요? 검색해보니 7급3호봉이 170근처라는건 알겠는데요
공부하는 동생이있어서 자세히좀 알고싶네요
호느님
14/09/12 16:45
수정 아이콘
대충 적자면
본봉 170만*12
정액급식비 13만*12
직급보조비 14만*12
직렬수당 10만*12
출장비 15~20만*12
초과수당 45~50만*12
명절보너스 170만*0.6*2
정근수당 17만
복지포인트 95만

이네요
파란무테
14/09/13 02:02
수정 아이콘
급식비 10×12는 비과세 [120]
출장비 15~20×12는 영수증제출할시 전액 소득으로보지않고, 정액지급이라면 급식비처럼 10×12 비과세 [120]
이므로,
3450만원선이 연봉이됩니다.
그리고 초과수당45~50만×12는 가변적이므로 상당한차이가 있을수있습니다.
에이멜
14/09/12 16:25
수정 아이콘
초과근무수당 합산 아닌가요?
14/09/12 17:43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교사인데 세전 3700 넘기는데 보충이니 뭐니 다 해도 7년 쯤 걸린 것 같은데 신기하네요.
파벨네드베드
14/09/12 16:06
수정 아이콘
저렇게 본봉만 놓고 보면 작아보이지만 수당 다 합치면 저기서 엄청나게 뻥튀기 되죠.

그런데 수당받으려고 일없는데 야근하고 가는건 함정.
14/09/12 16:17
수정 아이콘
본봉만 보면 삼전이나 현차도 4000대 아닌가요..
우리아들뭐하니
14/09/12 17:30
수정 아이콘
다 수당빨이죠. 일단 초과수당은 다 채우는게 기본.
wish buRn
14/09/12 19:04
수정 아이콘
아버님이 5급 호봉 풀로 채우셨을때 연봉 6300이셨습니다. 본봉&수당 다 합친 금액으로요.(2008년~2010년)
공제금.세금빼면 실수령액이 줄겠지만,호봉이 쌓이면 박봉까진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613 [질문] 혹시 제미나이랑 그록 동시에 유료로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김유라3452 25/05/16 3452
180612 [질문] 혹시 pgr에서 정치관련 무슨일 있었나요? [18] 시오냥4376 25/05/16 4376
180611 [질문] 퀸사이즈 라텍스 토퍼 구매 질문입니다 [1] 바밥밥바2412 25/05/16 2412
180610 [질문] 양평나들이 문의드립니다. [1] Cherish2388 25/05/16 2388
180609 [질문] 가방 추천 가능할까요? [15] Grundia1888 25/05/16 1888
180608 [질문] 친구 취업 조언 좀 받을 까 합니다. [8] 페로몬아돌2324 25/05/16 2324
180607 [질문] 노트북 구매 상담입니다. [2] 쿨럭1310 25/05/16 1310
180606 [질문] 미니벨로 라이딩용 가민 55 vs 165 [10] 티오 플라토1890 25/05/16 1890
180605 [질문] 핸드폰 잠김? 먹통? 왜 그런걸까요 [2] bonk32305 25/05/15 2305
180603 [질문] [신의 탑: 새로운 세계] 랑 비슷한 게임 추천해주세요. [11] jinoya22757 25/05/15 2757
180602 [질문] 16인치 노트북 LG vs 삼성 [11] 세라온3131 25/05/15 3131
180601 [질문] 부루스타에 올릴 불판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Restar2831 25/05/15 2831
180600 [질문] 쓰로틀 자전거는 보장해주는 보험이 있나요? + 사고문의 [4] 다이어트2812 25/05/14 2812
180599 [질문] 일본 드라마 말고 애니메이션 중에서 기초 회화에 도움이 될만한 게 있을까요? [17] 콩순이2554 25/05/14 2554
180598 [질문] 피지알 게시판에 쇼츠 올리는 법 [2] 로켓2092 25/05/14 2092
180597 [질문] 집에서 보이는 요 벌레는 무엇인가요? [11] 호비브라운3264 25/05/14 3264
180596 [질문] 스카이라이프 위성안테나 셀프 철거 [2] 당근병아리2608 25/05/14 2608
180595 [질문] 곰팡이등 균류가 진짜 치료가 힘든가요? [16] 개가좋아요3387 25/05/14 3387
180594 [질문] 서른 중반 전기기능사 자격증 하나로 취업할 수 있을까요? [26] 블랙리스트4218 25/05/13 4218
180593 [질문] 이스 10 플스5 vs 스위치 [9] Bronx Bombers2532 25/05/13 2532
180592 [질문] 신발 수선 질문드립니다. [5] 스핔스핔2226 25/05/13 2226
180591 [질문] 중국에서 쓸 vpn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잠수족2688 25/05/13 2688
180590 [질문] 주식용 서브컴 견적 부탁드립니다. [7] 워렌버핏1912 25/05/13 19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