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30 22:04:49
Name 성기사
Subject [질문] FPS 안하면 고주사율 필요없나요?
안녕하세요!!

모니터를 UHD로 갈까 FHD 고주사율로 갈까 고민중입니다.

고주사율 모니터 구매하시는분들은 거의 대부분이 오버워치 같은 FPS떄문이더라고요. 롤한다고 고주사율 모니터 구매하시는분은 못본것 같네요.

그런데, 저는 FPS를 안합니다. 취향이 아니예요.

이런 저한테도 고주사율 모니터가 이점이 있을까요?

동영상 같은 경우는 60프레임이 안넘으니 제외하고...

히오스는 좀 자주 합니다. 히오스나 위쳐3 같은 RPG게임들도 고주사율이 좋은가요?

어쩌다보니 피방을 안가서 체감할수가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30 22:31
수정 아이콘
UHD냐 FHD 고주사율이냐를 고민하는 상황이라면 UHD를 커버할 만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가정 하에 UHD 추천드립니다. FPS라고 하더라도 144를 체감못하는 사람도 있는데, 하물며 FPS를 안좋아하시고, 위쳐3나 히오스를 하신다면 60FPS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안군-
17/03/30 23:06
수정 아이콘
고주사율을 쓰는 이유는 오로지 빠른 반응속도를 위함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딱히 필요가 없죠.
FPS를 즐겨 하시는 편이 아니시라면 UHD의 고해상도에서 느껴지는 만족감이 더 크실듯 합니다.
새벽포도
17/03/31 00:09
수정 아이콘
고주사율 144hz모니터들은 패널이 ips보다 떨어지는 va나 tn패널입니다.
주사율 높이는 대신 색감을 포기한 거라 fps게임전용 모니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fps 게임 안 하시면 당연 uhd 모니터 가셔야죠.
17/03/31 00:22
수정 아이콘
요즘엔 ips도 144 잘 나옵니다.
27인치 기준 90 정도?
일반 스팀게임은 고주사율보다 지싱크가 엄청 좋습니다.
근데 지싱크는 보통 고주사율 모니터에만 달려있습니다.
그래서 게임하기에는 144 고주사율 ips 지싱크 모니터가 제일 좋죠.
물론 위에서 말했듯이 가격이 비쌉니다.

(암드 쓰시는건 아니죠? 암드면 선택지가 넓어집니다.)
Tyler Durden
17/03/31 00:34
수정 아이콘
위쳐3를 고주사율 프레임을 뽑을수 있는 컴터가 있는지 먼저..
17/03/31 08:56
수정 아이콘
크 동감합니다. 풀옵기준 현존 최고 사양같아요. 심지어 싱글게임인데..
The_CyberStar
17/03/31 08:38
수정 아이콘
고주사율 써보니 fps나 롤 같이 입력 응답속도가 중요한 게임에서 체감이 잘 되더군요
롤같은 경우는 스킬이 더 부드럽게 써진다고해야 하나 리븐 같은거 해보면 체감되요
그리고 모니터 색감은 갠적으로 va가 갑인것 같습니다 ips대비 색감이 분명한것 같아요
tv는 ips나 pls같은 계열이 좋은것 같고..
허성민
17/03/31 10:08
수정 아이콘
fps게임 안하시는거면 색감떨어지는 tn패널이 달린 고주사율 모니터를 갈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돈으로 커브드 모니터 같이 눈에 피로감을 덜주고 색감좋은 모니터를 가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07 [질문] 저희 아버지가 자꾸 무안항공 논에다 내렸으면 [57] 누묵6789 24/12/31 6789
179206 [삭제예정] 호칭 궁금증? 형수님 관련. [20] 인생잘모르겠4480 24/12/31 4480
179205 [질문] 주문한 적 없는 물품이 2주째 문 앞에 있는데 어쩌죠 [4] 잉차잉차5991 24/12/31 5991
179204 [질문] 이스턴킹 사이즈 침구(이불커버)구매할 곳 있을까요? [3] 마사루.3416 24/12/31 3416
179203 [질문] 친구끼리 월세를 들어갈 때, 각각 독립 세대주로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2] Mrs. GREEN APPLE4959 24/12/31 4959
179202 [질문] 밀리의 서재 이용하시는 분들 [15] mystery spinner5410 24/12/30 5410
179201 [질문] 아기 촬영용 카메라 [19] 장헌이도5537 24/12/30 5537
179200 [질문] 월세질문이 있습니다! [4] 마지막처럼4398 24/12/30 4398
179199 [질문] 달러투자 및 보유 질문 [5] 아발란체4467 24/12/30 4467
179198 [질문] 국장 etf 를 적립식 매수하려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17] 고흐의해바라기4784 24/12/30 4784
179197 [질문] 실제 건축현장에서 거푸집은 어떤 소재를 많이 사용하나요? [4] 무냐고3424 24/12/30 3424
179196 [질문] 요즘 전자레인지 겸용 컵라면이 많은데 [33] Cand5486 24/12/30 5486
179195 [질문] 연말정산 환급액 ? 관련 질문 [5] 집에보내줘4548 24/12/30 4548
179194 [질문] 거실의 LED등이 깜빡이는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황신강림4412 24/12/30 4412
179193 [질문] 유럽에서 렌터카 운전 난도가 낮은 곳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13] 그냥가끔4705 24/12/30 4705
179192 [질문] 영어 공부 어플 추천해주실만한 거 있을까요? [13] 설탕물4636 24/12/30 4636
179191 [질문] 여객기에는 제동 낙하산을 쓰는게 불가능할까요? [8] VictoryFood5545 24/12/30 5545
179190 [질문] 바람의나라클래식 용무기는 얼마할까요? [28] 투명인간6121 24/12/29 6121
179189 [질문]  남자 스킨케어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쉬군4615 24/12/29 4615
179188 [질문] 항상 기자들이 같은 질문을 여러번 하는 이유가 뭘까요? [67] 마지막좀비4578 24/12/29 4578
179187 [질문] 새해 버킷리스트 달성을 위한 영어 공부 조언을 구합니다. [2] 어류도감3937 24/12/29 3937
179186 [질문] 안녕하세요 led 전구 구입질문입니다. [5] 크리스티아누3834 24/12/29 3834
179185 [질문] 이게 회사에서 벌레취급을 당할만한 일일까요? [63] 향기나는사람8782 24/12/29 87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