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07 12:08
    
        	      
	 거의 그렇긴 하지만 문제를 내려면 그런 변수는 미리 통제해주는게 맞죠. 
 만약 수능인데 저렇게 문제가 나왔다면.. 아마 전원 정답 처리 되지 않을까요? 
	25/05/07 12:42
    
        	      
	 물가는 일반적으로 상승하니까 물가상승률이라고 표현하는 게 기본이고,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디플레이션)에는 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 몇 %라고 합니다. 
	25/05/07 14:07
    
        	      
	 실제로 인구감소가 큰 화두가 된 나라라면 경제성장이 마이너스 찍는 걸 진지하게 걱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제성장이 마이너스가 된다면 물가상승 역시 답보 혹은 후퇴할 확률이 제법 크죠 
	25/05/07 11:42
    
        	      
	 2024 물가상승률: 2.4%
 2024 저축성수신금리: 약 3.5% 그러니 물가상승률<(세후)예금금리 라면 내년에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늘어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25/05/07 11:46
    
        	      
	 물가상승률이 그대로라는 표현이 있으니 전년도 물가상승률과 동일하다는 전제로 문제를 풀면 되죠
 작년이 올랐으니 당연히 살 수 있는 물건은 적어집니다 
	25/05/07 12:06
    
        	      
	 '귀하가 100만원을 선물로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돈을 1년 후에 받게 된다면 물가 상승률이 3%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1년 후에 받을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지금 받아서 사는 경우에 비해서 어떻습니까?'
 1. 많다 2.동일하다 3.적다 원본 문제는 이렇군요 마이너스 성장률이니 하는건 무의미한 논쟁이었던거로... 
	25/05/07 12:37
    
        	      
	 연간기준으로는 모르겠으나 물가상승률 마이너스 찍은 적 의외로 좀 됩니다.
 https://www.ebn.co.kr/externalArticle/posco/view.html?idxno=143641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