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2/20 11:34:46
Name EnergyFlow
File #1 193e19dad0edb781.jpg (171.7 KB), Download : 125
File #2 2017010612120_0.jpg (386.5 KB), Download : 120
출처 인터넷
Subject [유머] 인공지능시대 살아남을 직업들과 사라질 직업들




[2016년]에 예상한 자료입니다....

10년도 되지 않은 사이에 대체 어떤 일들이 벌어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탕가루인형형
24/12/20 11:36
수정 아이콘
어쩜 이렇게 반대로..크크
24/12/20 11:37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랬지만 AI와 로보틱스를 구분 못했던거 같아요.
24/12/20 11:37
수정 아이콘
직업의 특징이고 뭐고 그냥 비용이든 퀄이든 경쟁력 떨어지는 수준의 영역을 AI가 먹는다-고 봐야 할 듯
가이브러시
24/12/20 11:37
수정 아이콘
와 정확히 반대네요
24/12/20 11:37
수정 아이콘
지금보니 완전 웃음벨이네요
살려야한다
24/12/20 11:40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이 뭔지 모르는 직업
레드빠돌이
24/12/20 11:4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맞는거 같아요 컴퓨터와 먼 직업일수록 ai대체가 더 느린듯
프로일반인
24/12/20 11:40
수정 아이콘
소름돋네 크크크
24/12/20 11:42
수정 아이콘
몸을 씁시다
Lord Be Goja
24/12/20 1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로보틱스는 상상보다 지지부진할것이고.. 대다수 사람의 창의력이라는건 결국 ai마냥 어디선가본것의 조합들이라는걸 생각하지못한
모링가
24/12/20 11:43
수정 아이콘
시스템 1이 먼저 구현될줄은 아무도 몰랐던 거죠 흐흐
지나고나서 생각해보면 그게 맞는건데
김승남
24/12/20 11:46
수정 아이콘
제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보여주는거랑 비슷하네요 크크 가꾸로만 하면 됩니다 흐흐
닉언급금지
24/12/20 11:46
수정 아이콘
사람이 몸으로 하는 직업만 남고 나머지는 싸그리 ai로 대체될 거라고하더군요.
올림픽 출전할 선수나 키우라고 크크크
스덕선생
24/12/20 11:46
수정 아이콘
로봇팔은 비싸고 AI는 싸죠 크크
Lina Inverse
24/12/20 11:51
수정 아이콘
궁극적으론 좀더 고차원적인 문제에 ai가 개발되는게 맞지 않나 싶은데.. 인간의 창의적인 영역 대체해서 뭐합니까
겨울삼각형
24/12/20 11:56
수정 아이콘
고차원적인 무엇보다

독거노인과 대화해주는 쳇봇이 더 실용적입니다.
Lina Inverse
24/12/20 12:00
수정 아이콘
독거노인과 대화는 인간도 할 수 있는데 조금 더 편리한 정도이죠.. 나름 의미는 있겠지만
인생은이지선다
24/12/20 12:15
수정 아이콘
인간의 창의성보다 고차원적인 문제가 어떤거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전 인간의 창의력을 모방하는게 큰 가치를 창출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는데
Lina Inverse
24/12/20 15:09
수정 아이콘
창의성이라고 하니까 모든 분야의 창의성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 같아서 그림이나 영상 음악과 같은 유희적인 것들로 대체하겠습니다.
물론 모든 분야에 ai가 투입되어서 유의미한 결과들을 내는게 맞고 그중 그림이나 음악같은 요소들은 일반인들도 보고 느낄 수 있으니 부각되는 것도 맞는 것 같습니다. 과학분야의 어려운 난제들을 해결하는 ai들을 바랬었는데 생각해보니 알파폴드와 같은 사례도 있고 어려운 문제일수록 일반인들이 접하기 어렵고 해결하는 시간도 오래 걸릴테니 아직은 좀 더 시간이 필요하겠네요.
모링가
24/12/20 12:16
수정 아이콘
만들다보니 저게 먼저 나온거라서요
24/12/20 12:17
수정 아이콘
적어도 예술분야에서 인간의 창의성은 고갈된게 아닌가 싶기도…
Lord Be Goja
24/12/20 12:51
수정 아이콘
가장 먼저 대체할수 있는분야인데 아티스트보다 싸니까요
물론 그런 범주를 뛰어넘는 천재들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상업 아티스트들의 창의성이라는것도 어디선가 본것의 조합일뿐이라 ai랑 구조가 다를게없으니
세츠나
24/12/20 11:52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죠. 하지만 2016년에도 이렇게 예상했다면 약간 늦은 것 같기도 하고...
이미 인공지능 학계나 관련업계에서는 슬슬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을 법한 혹은 이미 바뀌었을 시기 같은데...
류지나
24/12/20 11:56
수정 아이콘
지금 시점에서 보니 정확히 반대라는 점이 웃프네요...
24/12/20 11: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ai를 뭔 공상과학로보트 정도로 여기고 한 예측이었네요
쵸젠뇽밍
24/12/20 12:00
수정 아이콘
기계적인 직업은 이미 기계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살아남은 직업이니까...
연필깍이
24/12/20 12:06
수정 아이콘
그냥 경제논리 같아보여요.
바이오로봇이 AI보다 싸게 먹히면 대체를 못하는게 아니라 할 필요가 없는게 아닐까요... 크크크크
일해라 핫산!
TempestKim
24/12/20 12:10
수정 아이콘
바이오로봇의 가성비를 간과한
24/12/20 12:15
수정 아이콘
노가다가 짱입니다.
로봇 생산비와 운영비는 절대 인간의 효율을 넘어설 수 없음.
cruithne
24/12/20 12:23
수정 아이콘
10년 뒤에 어떻게 변해있을지는 또 모르는거죠
너T야?
24/12/20 12:27
수정 아이콘
인간이 너무 저렴함
Lord Be Goja
24/12/20 12: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간을 월삼백으로 두는 오류를 범하는 분들이 많지만 노동력이 풍부한 많은 나라들에서는 그보다 훨씬싸죠.16년에 독일에 세운 로봇공장 자랑했던 나이키도 여전히 요르단(평양평균보다 평균국민소득 낮음),스리랑카,파키스탄 공장에서 물건 훨 많이 뽑는다는거..
마구마구
24/12/20 12:33
수정 아이콘
지금은 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다들 익숙하지만 저 당시에는 '인공지능 = 로봇' 이렇게 생각해서 저런 결과가 나온거죠.
이정재
24/12/20 12:34
수정 아이콘
저때도 애니메이터는 이해안갔음...
24/12/20 12:50
수정 아이콘
노조가 쎈곳은 도입이 제일 늦을것 같은
Lord Be Goja
24/12/20 12:52
수정 아이콘
의료랑 법조는 레볼루션으로 막 생성된 신생국가가 아닌이상 불가능할거같아요
24/12/20 13:01
수정 아이콘
효율도 안 나오는 뇌세포 따위는 쉬게 냅두고 몸이나 쓰십시오. 작은 휴먼들아.
퀀텀리프
24/12/20 13:03
수정 아이콘
수억EA의 다기능 저가형 바이오 로봇이 일거리를 찾고 있따..
Betelgeuse
24/12/20 13:07
수정 아이콘
고차원적이라고 생각했던 창작 활동 -> 딥러닝 딸깍
단순노동 -> 사람이 더 싼데 왜..?
ArchiSHIN35
24/12/20 13:11
수정 아이콘
그냥 일반일들의 생각인거죠.
지니팅커벨여행
24/12/20 13:29
수정 아이콘
저거 예측할 때 이공계 인력들이 없었던 게 확실하네요
VictoryFood
24/12/20 13:34
수정 아이콘
사람 몸은 기계가 일정부분 따라잡았는데 더 특이점을 넘기엔 힘들었고,
사람 뇌는 기계가 하나도 못 따라가 한창 따라가는 중인 거죠.
역시나 사람 뇌도 특이점을 넘기 전에는 발전이 지지부진해지지 않을까 싶네요.
24/12/20 14:00
수정 아이콘
저렇게 반대로 찍기도 힘들겠다 싶네요 크크크
Far Niente
24/12/20 14:17
수정 아이콘
그때 저들이 상상한 건 RPA 수준이 아닐까 싶고
지금부터 10년 후엔 또 어떻게 바뀌고 있을 지 모르죠
24/12/20 14:26
수정 아이콘
인간은 똑똑하지만 어리석죠. 나중에 가도 AI를 선택적으로 믿을것 같네요.
무냐고
24/12/20 14:26
수정 아이콘
??? : 하드웨어가 이렇게 못따라갈줄은 몰랐지

인간형or동물형 로봇들 사람에 비하면 형편없죠..
24/12/20 17:42
수정 아이콘
살아남을 확률이 낮다는 정교함 떨어지고 단순반복중 공정이 칼같이 떨어지는건 ai고 자시고간에 이미 기계가 대체했고 지금 하는 작업은 단순반복이긴 한데 미묘하게 그때그떄 달라서 기계로 힘들거나 가성비가 떨어지는 작업들이 살아남은건데 그걸 대체하는건 쉽지 않죠..
차라리꽉눌러붙을
24/12/20 19:43
수정 아이콘
변리사 법무사 진단의학과의사 각종 법규/규제 관련 컨설턴트 대체 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284 [유머] 일본 거리를 걷다가 놀란 유튜버 [1] Myoi Mina 11376 25/01/02 11376
510279 [유머] 해외에서 심상치 않은 탑의 인기.JPG [25] 실제상황입니다14434 25/01/01 14434
510278 [유머] 조회수 170만 오겜2 노래 (스포) [2] 두드리짱8768 25/01/01 8768
510276 [유머] 미용실 가위 [2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741 25/01/01 11741
510272 [유머] 배달 아저씨 괜찮아요? [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006 25/01/01 11006
510271 [유머] 면접관들이 알못 [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937 25/01/01 10937
510270 [유머] 천생연분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886 25/01/01 10886
510268 [유머] 은영전 수건 굿즈 제작 비화.jpg [12] 동굴곰11442 25/01/01 11442
510267 [유머] 외국 클럽에서도 울려퍼지는 둥글게 둥글게.mp4 [12] Starlord13024 25/01/01 13024
510263 [유머] 황제에게 고깃국과 밀떡을 바치는 조조.jpg [6] Myoi Mina 10409 25/01/01 10409
510262 [유머] 우리나라 성씨 1위는 김씨가 아니래 [33] Myoi Mina 13177 25/01/01 13177
510258 [유머] [스포] 오겜2 공유가 이렇게 됐었다면?(패러디) [10] Croove9635 25/01/01 9635
510253 [유머] 인기있다지만 먹기 쉽지 않은 음식 [29] 길갈12152 25/01/01 12152
510251 [유머] 새해를 맞이하는 95년 생의 심정 [13] 카루오스10781 25/01/01 10781
510246 [유머] 바퀴벌레 건조 시 100g당 단백질 78g [56] Myoi Mina 11997 25/01/01 11997
510245 [유머] 탄수화물이 위험한 이유 [1] Myoi Mina 11030 25/01/01 11030
510244 [유머] 하정우 근황 [11] Myoi Mina 11924 25/01/01 11924
510243 [유머] 은행을 조져버린 남자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7650 25/01/01 17650
510240 [유머] 의외로 실제같은 가상현실 [10] 깃털달린뱀15512 24/12/31 15512
510239 [유머] 받으시죠. 저쪽 분이 시키신 겁니다 [17] 길갈16001 24/12/31 16001
510230 [유머] 세종이 강력했던 이유 [36] 히나14274 24/12/31 14274
510227 [유머] 무허가 건축물 철거 장면 [38] 길갈14233 24/12/31 14233
510226 [유머] BTS 멤버들의 완전체 복귀가 사실상 불가능한 이유(feat.챗지피티) [19] 독서상품권12770 24/12/31 127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