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04 10:26:44
Name 캬라
File #1 67889705.png (1.33 MB), Download : 134
출처 루리웹
Subject [유머] 의외로 결혼에서 그닥 중요하지 않았던 요소. (수정됨)


당사자들 의견이나 호감 이런거 필요없었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及時雨
24/10/04 10:28
수정 아이콘
공정계약이네요
닉언급금지
24/10/04 10:30
수정 아이콘
할아버지 세대만 되어도 할머니 결혼식 날 처음 보셨다고...
24/10/04 10:31
수정 아이콘
넷상에서만 이러쿵저러쿵 하지 실제로는 전연 맞지않아도 잘만 결혼해서 잘살죠. 
Liberalist
24/10/04 10:34
수정 아이콘
연애결혼은 지극히 근현대적인 개념이죠.
24/10/04 10:55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가문간 혹은 집안간에 결정에 의해 많은 결혼이 이뤄졌던건 사실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연애 결혼을 하는 예가 전혀 없었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라고 봅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화나 고전문학, 구전동화 등에서 서로 눈이 맞아서 결혼을 하는 스토리들이 상당히 등장하는데, 연애결혼이 아예 없었으면 그런 스토리들이 나오기 어려웠겠죠.
자가타이칸
24/10/04 11:16
수정 아이콘
그래서 거의 대부분의 고전 연애 스토리는 비극으로 끝남.
지그제프
24/10/04 14:21
수정 아이콘
그만큼 특별한 일이니까 신화, 문학, 동화가 되었던것 같기도 해요. 일상적이고 흔한일이라면 이야깃거리가 되지 뭇할것 같거든요.
24/10/04 11:31
수정 아이콘
서양에서도 귀족을 제외한 평민들은 연애결혼 많이 하지 않았나요?
우리나라도 고려까지(혹은 조선 초기까지)는 자유 연애나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연애결혼에 그리 박하지 않았다고 알고 있는데..
스덕선생
24/10/04 10: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의외로 중세~근세에도 이혼이 많았죠
전기쥐
24/10/04 10:44
수정 아이콘
그래서 보통 고위직 남성들은 가문끼리의 결혼으로 처를 가졌고 진짜 사랑하는 대상은 첩으로 두었던 걸로 압니다.
도들도들
24/10/04 10:45
수정 아이콘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는 근대의 발명품입니다.
그것은 많은 사람들을 신분적 배경과 경제적 조건에서 자유롭게 했지만, 한편으로는 낭만적 사랑이 부재한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을 쓸데없이 괴로워하게 만들기도 했지요.
Winter_SkaDi
24/10/04 10:46
수정 아이콘
결혼이란 팀워크다...
24/10/04 10:57
수정 아이콘
가장 중요한 덕목은 개념이죠.
Your Star
24/10/04 10:5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다들 연애도 안 하고 결혼도 안 하자너
Far Niente
24/10/04 11:02
수정 아이콘
연애가 그토록 없었으면 사랑을 다룬 과거 작품들은 대체
스덕선생
24/10/04 11:07
수정 아이콘
기사도문학이 당대의 현실을 반영한거죠.
썸씽은 있었지만 결혼은 아니고 한때의 불장난 엔딩
Far Niente
24/10/04 15:42
수정 아이콘
음 그래도 명망있는 집안이 아닌 필부들은 그냥 평범하게 연애해서 결혼하지 않았을까요? 그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대다수였을텐데
식물성단백질
24/10/04 11:03
수정 아이콘
오.. 유령신부! 다시보고싶네요. 크크
포졸작곡가
24/10/04 11:07
수정 아이콘
중세 근대 유럽에선
왕실간 귀족간 정략 결혼이 대부분이었어서
서로간에 애인 두는걸 크게 개의치 않았다고 하죠~

사교모임에 애인이라고 소개도 하고...
자가타이칸
24/10/04 1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런 귀족가문 결혼은 결혼 당사자가 상대방을 결정하는게 예외이죠.. 귀족, 왕족 집안에서 온갖 권력과 부귀를 누리는데.. 집안을 위해서 집안에서 정하는 결혼상대와 결혼하는게 당연한 거죠. 아니면 혼자 나가 지원 없이 살던가........

'탐관오리가 상태창을 숨김'에서도 나오죠.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라고...

여기서 주인공 부모하고 상대 집안 신부의 오빠 하고 주인공의 결혼을 결정하는데 주인공이 왜 내 의견을 안물어보냐? 라는 질문을 하는데 부모와 오빠가 주인공한테.. '뭔 개소리여, 니가 결혼하는데 니 의견이 뭐가 중요한데?'라는 투의 대답을 하죠..
크레토스
24/10/04 13:17
수정 아이콘
하나가 귀해지면 모두가 귀해지고
하나가 망하면 전부가 힘들어진다는 말이 중국 언정소설에 많이 나오던데 그말이 딱 맞죠.
예전엔 연좌제도 흔하고 한명이 성공하면 수십명 빌붙는게 당연하다 보니 개개인이 중요해진거 정말 근현대의 일이고 무조건 가문, 혈족이 우선...
24/10/04 13:16
수정 아이콘
'연애결혼' 또는 '본인의 선택에 의한 결혼'과 '서로 엄청 좋아하지 않아도 결혼한다'는 완전히 상충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근세 근대 소설에 많이 나오듯 결혼의 필요성이 강하게 작용하는 사회에서는, 기대치를 낮춘 결혼을 스스로 선택하게 되는거죠.
14년째도피중
24/10/04 15:37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연애결혼을 시킨 집안은 부모로서 자격미달 취급을 받았어요. 귀족적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연애결혼도 가능했을수도 있지만(마치 신라호텔 그 분의 연애처럼) 대부분은 정혼자에게 갔고 대부분의 연애라는 것도 급이 맞는 집안구성원끼리의 연애였기에 가능했겠죠. 이혼이 가능했다는 것도 지금같은 개념의, 당사자들의 의지에 의한 이혼이 아니라 집안의 의지에 의한 이혼이 대부분이었을 겁니다.

물론 인간의 일이기에 아주 없지는 않았지만, 사회적으로 막혀있던 건 사실이죠. 아무리 봐줘도, 적어도 '사랑하니까 결혼한다'라는 개념은 근대적 개념이 맞습니다.
No.99 AaronJudge
24/10/04 17:3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저런 상류층/권력층들은 거의 정략결혼이었겠죠

그건 지금도 좀 비슷하긴 할 거고…..
24/10/04 21:10
수정 아이콘
낭만적인 연애 결혼이 메타로 자리잡자 선택을 할 수 있게 된 남녀는 결혼을 하지 않는 엔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739 [유머] 도로의 무법자를 신고 못 한 이유 [10] 길갈10020 24/10/12 10020
506738 [기타] 평론가님 바쁘실텐데 책을 언제 읽으시나요? [71] 크크루삥뽕14459 24/10/12 14459
506737 [유머] 술에 쩔어서 정크푸드를 삼키던 남자의 5년 후 모습 [6] Myoi Mina 12594 24/10/12 12594
506736 [유머] 운전자들이 좋아할만한 새로 개발된 신호등 [43] EnergyFlow15055 24/10/12 15055
506735 [기타] 해외 문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한국 작가들 [22] a-ha12475 24/10/12 12475
506734 [유머] 하루만에 판매량이 9000배 증가한 것 [20] VictoryFood16845 24/10/12 16845
506733 [유머] 의외로 미슐랭 식당이 다른 식당보다 훨씬 높은 수준인 것 [23] 깃털달린뱀16152 24/10/12 16152
506732 [기타] 나폴리 맛피아 소신발언 [47] INTJ14321 24/10/12 14321
506731 [게임] 붕괴 스타레일 2.6 버전 PV [8] STEAM7929 24/10/11 7929
506730 [게임] 와우)웃긴 UI [2] 유머8518 24/10/11 8518
506729 [기타] 평양상공에 나타난 무인기(?) [31] 퀀텀리프12984 24/10/11 12984
506728 [LOL] 뷰어쉽의 악마 [7] Vurtne9111 24/10/11 9111
506727 [유머] 페이커가 아리 그 자체인 이유 [10] 리니어10003 24/10/11 10003
506726 [연예인] 배기성 - 바카미타이 용과같이 OST [7] 김삼관6538 24/10/11 6538
506724 [LOL] 의외로 롤드컵에서 허용되는 행위 [43] EnergyFlow10283 24/10/11 10283
506723 [LOL] T1이 이길수 있던 이유 [17] 반니스텔루이10518 24/10/11 10518
506722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의 혼밥 혼술 [6] 럭키비키잖앙7733 24/10/11 7733
506721 [유머] 의외로 하버드는 그냥 발라버리는 서울대 학과.jpg [27] Starlord14216 24/10/11 14216
506720 [유머] 인도네시아, 한국 부자 비교 [39] 에스콘필드13660 24/10/11 13660
506719 [유머] 노벨이 대체 얼마를 냄겼길래 분야당 십몇억 상금을 주냐 [19] VictoryFood14549 24/10/11 14549
506718 [기타] 한글패치 완료된 뉴질랜드 농장.mp4 [8] insane10072 24/10/11 10072
506717 [LOL] 숏박스에 출연한 전캐 [4] 카루오스8277 24/10/11 8277
506716 [기타] 고탄수 고지방 식단이어도 안심이 되는 이유 [16] 묻고 더블로 가!11441 24/10/11 114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