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4/04 17:07:50
Name Myoi Mina
File #1 31.jpeg (187.0 KB), Download : 105
File #2 32.jpeg (212.5 KB), Download : 80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임금 인상한 일본 근황




한국에서도 코로나 시점에 IT쪽에서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던 걸로 기억하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르즈할리파
24/04/04 17:09
수정 아이콘
평소 연봉상승률 짠 회사들도 신입만 팍 올려서 20-22년에 많이들 겪었죠
한뫼소
24/04/04 17:11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베이스업 할때는 하방 올린것만큼 동률로 올리거나 상황이 여의찮으면 하방 대비 상승률을 압축시켜서라도 급여 서열을 맞추는게 국룰이긴 한데...
인재부족이 만성화+점점 크리티컬해지니 발등에 불이라도 끄는 심정으로 저런 기업들이 있을거라고 생각은 하는데 이게 결국 정상화를 안시키면 사내 분위기나 조직서열이 파탄나는 그림이 보이긴 합니다.
타츠야
24/04/04 17:16
수정 아이콘
그렇죠 연봉은 기밀 정보라고 하지만 실제로 일하는 사람들이 술자리에서 구간 정도로 서로 까는 경우가 있어서 계속 비밀 유지가 안 되죠.
한뫼소
24/04/04 17:24
수정 아이콘
대충 직급 보면 테이블이 보이는건 똑같으니까요. 흐흐
수지짜응
24/04/04 17:19
수정 아이콘
근데 조직 서열이 어떻게 파탄날까요..?
말만 그렇지 다들 참고 다닐텐데..
성과도 유의미하게 떨어지지 않을것같거든요 제 생각에는 크크
한뫼소
24/04/04 17:23
수정 아이콘
원론적으로는 사기저하가 곧 능률저하이고 웬만하면 한 회사에서 오래 있고 싶어하는 일반적인 일본인이라도 과장 부장급이 푸념하는거 들으면서 내 장래의 임금커브가 별 기대가 안된다 싶으면 몇년 있다 이직하는 일도 있을거고... 뭐 그런 양태로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지짜응
24/04/04 17:40
수정 아이콘
회사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관공서처럼 개인의 눈에 띄는 퍼포먼스까지는 기대하지 않아도 되는 조직에서는 충분히 해볼만 한 방법 같습니다
유리한
24/04/04 17:26
수정 아이콘
이직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업종이면 구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단체로 엑소더스 하면서 분위기 어수선해지기는 합니다.
10년차가 넘었는데 신입 연봉이 나보다 높다? 이직각이죠.
수지짜응
24/04/04 17:37
수정 아이콘
그게 안되는거 아니까 저렇게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견입니다 크크
위에 크게 일 안하고 호봉만 쌓여서 돈 많이 받아가는 분들 많으시잖아요
24/04/04 17:41
수정 아이콘
신입은 그런분보다도 지금은 무쓸모인데 급여는
더 높다면 그런분이 아닌분이면 현타가 엄청나게 오겠죠
수지짜응
24/04/04 17:43
수정 아이콘
정확한 상황은 모르지만
현타와도 다른데 갈 수 있느냐랑 없느냐랑은 또 다른 얘기겠죠.. 크크

그리고 지극히 사측 입장에서 현타온 사람이랑 안온 사람이랑 퍼포먼스 차이가 있느냐..도 생각해봐야하구요
플레인
24/04/04 17:46
수정 아이콘
신입이면 일 안하고 호봉만 쌓인 사람들보다도 못한 상태고
(이분들은 그나마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라도 있죠)
저렇게 되면 실제 이직각 보고 나가는 건 한창 일 많이 하는 대리-과장급이죠 크크 일 안하는 부장급들은 어차피 안나감
수지짜응
24/04/04 17:47
수정 아이콘
실제로는 그렇게 안될 회사인거 알아서 저렇게 하는거라고 봅니다
플레인
24/04/04 17:56
수정 아이콘
신입보다 못한 연봉 받는데도 못나가는 사람들만 모인 회사면..
들어온 신입도 얼른 런각 보겠네요 크크크
SoLovelyHye
24/04/04 18:23
수정 아이콘
신입도 웃돈주고 채용하는 마당에
경력직이 안팔릴리가 있겠습니까?
그냥 한 회사에 조용히 남아있는 사람이 바보였죠
심지어 삼전에서도 엄청 나갔습니다
수지짜응
24/04/04 18:25
수정 아이콘
회사 입장에선 나가도 되는 사람이었을 확률이 크다는 얘기였습니다
하아아아암
24/04/04 18:58
수정 아이콘
보통 나갈 수 있는 사람은 안나갔으면 하는 사람이죠
꽁치대장
24/04/04 19:56
수정 아이콘
보통 나갈 수 있는 사람은 안나갔으면 하는 사람이죠(2)
네오유키
24/04/04 19:05
수정 아이콘
나가도 되는 사람은 나가거나 안 나가더라도 나갈 수 있는 사람(능력 되는 사람)이 나갈테니 이미 조직은 망한 거 아닌가요?
다람쥐룰루
24/04/04 17:15
수정 아이콘
심각하긴 한가보네요
24/04/04 17:18
수정 아이콘
단기, 단발, 소수라면 모를까 그 반대의 경우라면 조직이 온전히 유지되기 어렵죠.
Yi_JiHwan
24/04/04 17:30
수정 아이콘
며용...
탑클라우드
24/04/04 17:30
수정 아이콘
조직을 운영하면서 가장 고민해야 하고 세심하게 처리해야 할 것 중 하나가 보상인데,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들이 있더라구요.

당장 눈앞에서 나가겠다는 고성과자를 잡기 위해 예외를 적용하기 시작하면,
어느 순간 그 대상자 빼고 다 힘빠져있고 순차적으로 나가는 상황이 도래하기도 하죠.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 규모가 작고 수익성이 아직 확보되지 않은 조직에서는 이러한 제도를 도입하기 어렵고,
결국 리더가 밸런스 포인트를 잘 잡아야 하는데 그걸 잘 할 수 있는 리더는 또 드물다 보니...
수지짜응
24/04/04 17:39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는 마땅한 신입 뽑기 어려울 때 저 방법도 괜찮다고 보는게
결국 나중에 도태?된 고참들 계속 신입보다 임금 적게 받다보면 알아서 나갈 수도 있을거고(자발적 명퇴)
잡아야 될 고참들 있으면 승진이나 성과급으로 다시 임금체계 잡힐때 까지 버티는 것도 어렵진 않을 것 같거든요
탑클라우드
24/04/04 19:33
수정 아이콘
사실 말씀하신 것과 유사한 사례들이 꽤나 존재하기도 합니다.

특히 갑작스럽게 매출 규모가 성장하고 사회적인 주목을 받는 회사의 경우
오너 의지로 직원들 벨류 업 한다면서 대졸 초임 확 올리며 지원자 많게 만들고,
기존 직원들은 리스팅해서 잡을 사람들은 맞춰서 올리고 나머지는 개인 평가 C주거나 하면서 안 올리는 식이죠.

'급여가 많이 안 오른다'는 것 보다 더 참기 힘든게 사실은 '신입이 나보다 많이 받는다',
'신입들이 이걸 알면 나를 무시할 것 같다' 이런 느낌이니까요.
24/04/04 17:38
수정 아이콘
삼성부터 저러고 있는게 우리나라라
불쌍한오빠
24/04/04 17:51
수정 아이콘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이런 현상은 더 뚜렷하게 나올거고 한국도......
젊다는거 자체가 가장 귀한 스펙이 될 세상이 오고 있죠
이미 왔을수도 있고요
김삼관
24/04/04 17:54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한국보다 이직경직성향이 심하다고들 하니 어떤 사회적 방향으로 돌아올지 궁금하네요… 지금 일본의 4050세 정도의 세대는 취직도 실패하고 국가에서 버려진 수준이라는 사람도 많은 세대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342 [유머] 한류가 늦게 들어온 나고야 현황 [20] DogSound-_-*15854 24/04/12 15854
498341 [유머] 준빈쿤 근황 [18] 전자수도승13295 24/04/12 13295
498340 [LOL] ??? : 페이즈 차렷! [6] Leeka8833 24/04/11 8833
498339 [기타] 대학 아싸들 특징 [30] 퍼블레인13776 24/04/11 13776
498338 [기타] 5명 이상 재구매 했어요 ~ [20] 닉넴길이제한8자12535 24/04/11 12535
498337 [기타] 2005년에 국내에서 제일 잘 팔렸다는 휴대폰 3종 [26] 우주전쟁12183 24/04/11 12183
498336 [유머] 표를 던지는 사람은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한다. [6] lemma11178 24/04/11 11178
498335 [기타] 크리스토퍼놀란 영화 순위 [68] 무딜링호흡머신10766 24/04/11 10766
498334 [기타] 좀 특이한 동기부여 영상 [8] TQQQ9937 24/04/11 9937
498332 [유머] 싸이버거좌가 구걸을 멈춘 이유 [16] 롯데리아11610 24/04/11 11610
498331 [기타] (봉준주의) 새벽에 있었던 버추얼 노래자랑 충격의 라이브 [13] 묻고 더블로 가!9189 24/04/11 9189
498330 [음식] 신뢰도 lv.999 중국집 검증 [30] roqur12265 24/04/11 12265
498329 [유머] 가게이름 짓기 귀찮았던 아래층 국악학원 [20] 우주전쟁11256 24/04/11 11256
498328 [유머] 나 아니라고 옆동네 가라고! [19] Morning11578 24/04/11 11578
498327 [LOL] 전챗 허용된 LCS 근황 [56] 무딜링호흡머신10173 24/04/11 10173
498326 [서브컬쳐] [슬램덩크] 의외의 사기 캐릭터 [41] roqur12834 24/04/11 12834
498325 [유머] 아이엄마가 되서 나타난 좋아하는 여자 [18] 퍼블레인13747 24/04/11 13747
498324 [게임] 끝없이 추락하고 있는 메이플 [20] 묻고 더블로 가!10672 24/04/11 10672
498322 [기타] 널리 퍼지면 많은 사람들이 곤란해지는 자랑거리 [18] Lord Be Goja12131 24/04/11 12131
498321 [기타] 개그맨의 소개팅 실력 맛보기 [20] 묻고 더블로 가!14582 24/04/11 14582
498320 [유머] 넥타이는 어떻게 매야 정답인가?.jpg [39] lemma11434 24/04/11 11434
498319 [유머] 잭 블랙과 아들 [16] Myoi Mina 9681 24/04/11 9681
498318 [유머] 몇년 사이 엄청 심해진 정치적 양극화 문제.jpg [50] 궤변16158 24/04/11 161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