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1/06 01:44:26
Name 주말
File #1 0106014253825028.jpg (2.04 MB), Download : 24
출처 https://www.dogdrip.net/531768720
Subject [기타] 논란의 화장실 물 내리는 버튼


정색-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서클팬더
24/01/06 01:50
수정 아이콘
캐나다처럼 자국어 의무 표기조항 법제화 해야됩니다 이거 진짜.
외국어 전공자들이 쌍욕하는게 저거에요. 왜 한국에서 한국어 안쓰는데요.
뒹굴뒹굴
24/01/06 10:57
수정 아이콘
법제화 찬성합니다.
저희 부모님들도 뭘 하지를 못하십니다.
아웃라스트
24/01/06 01:55
수정 아이콘
외산도 아니고 made in korea...
24/01/06 02: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위 양변기 셋트를 만든 범한공업은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높아서 영어로 표기한게 딱히 이상하지 않습니다. 저 제품은 중소기업부장관상을 받았을 정도로 디자인과 품질도 우수하구요.
사용자층에 대한 고려없이 시공을 한 업체를 탓해야지, 메이드인코리아 제품에 영어로 적혀 있는게 흠은 아니죠.
24/01/06 02:42
수정 아이콘
수출 비중 얘기는 좀 궁색한 것 같습니다. 수출용 제품에 영어를 써놓은걸로 누가 뭐라 하나요. 내수용에다가 굳이 저러니까 지적을 하는거죠. 중기부장관상도 뭘로 받은건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영어 잘 썼다는 이유는 아닐 것 같네요.
닭강정
24/01/06 07:07
수정 아이콘
게다가 굳이 수출 잘되니 죽어도 영어로만 내야겠다 땡깡 부릴거면 스티커라든가 그런 정도도 동봉할 수 있겠죠..... 그런 것조차 없다면.....
척척석사
24/01/06 09:06
수정 아이콘
아니 한국 소비자가 한국에서 마주하는 한국제품에 한국어가 없단 얘기 하는데 업체가 미국수출비중이 높은게 왜나오며 그걸 왜알아야하고 뭐가 이상하지 않고 흠이 아니란거에요
24/01/06 09:32
수정 아이콘
저 회사에서 만드는 양변기 제품이 저거 하나가 아니고, 또 여타의 다른 업체들도 많은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 굳이 저 제품을 설치한거죠. 제품탓만, 제조사 탓만 할 수 있나요.
그리고 변기에 붙은 물리 레버가 아니라 리모트로 조작되는 버튼식이라서 조작부가 대체 어디 있는건지 그 자체는 헷갈릴 수 있다고 보는데, 버튼에 새겨진 아이콘만으로도 사실 시인성과 정보 전달은 크게 문제 없다고 봅니다. 설명을 영어로만 달아놔서 오히려 더 어그로를 끌지 않았나 싶어요.
척척석사
24/01/06 09:53
수정 아이콘
선생님 메이드인코리아 제품인데 이게맞냐? 는 건 제조사가 어떻게 그런제품을 만드냐며 탓하는게 아니라 영어만 있는 제품을 갖다썼는데 그게 심지어 한국산이라 더 얼탱이가 없다는거에요

왜 자꾸 회사가 어쩌고 제품이 어쩌고 이상한 말을 하시나 생각해봤는데 누가 제조사 탓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는거 맞죠? 아무도 안그러고 있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뭘 많이 잘못 생각하시고 계신 것 같음
cruithne
24/01/06 10:07
수정 아이콘
수출비중이 높아도 내수용/수출용은 별도로 판매하는게 일반적이죠. 한글표기로 바꿔서 국내에 출시한다고 엄청난 비용이 필요한것도 아닌데
24/01/06 02:13
수정 아이콘
대변은 세번 누르라는건가요?
24/01/06 02:23
수정 아이콘
차분히 생각하면 이해하기 어렵지 않은 상황에서도
한국어가 안보이면 스턴걸리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자국어를 왜 안쓰는지 이해가 안가긴합니다.
24/01/06 03:29
수정 아이콘
대화도 영어로하고 전부 영어 쓰고 살겠지
캐러거
24/01/06 04:03
수정 아이콘
저게 뭐하는짓거리인지
호러아니
24/01/06 04:46
수정 아이콘
이건 제품 결정한쪽 문제죠. 찾아보니 좀 이쁜 제품들 만드는 브랜드인 것 같은데 변기 디자인만 보고 결정했을듯... 아니 발견을 나중에 했더라도 스티커라도 붙여놔야지 저걸 저렇게 설치하고 놔두냐
티바로우
24/01/06 04:56
수정 아이콘
알고 보면 사실 뻔한건데
모르고 보면 평면 버튼 자체를 인식 못할수도 있어요
화장실이면 당연히 물리버튼이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라는게 상식이라
티나한
24/01/06 06:34
수정 아이콘
네이트 버튼이 이렇게 무섭습니다
정유미
24/01/06 07:06
수정 아이콘
버튼이라는 생각도 안 드네요..;;
헨나이
24/01/06 07:07
수정 아이콘
저도 공공시설에서 안내판이나 안내시설에는 한글 표기를 강제하는 법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케르나르
24/01/06 07:39
수정 아이콘
이거도 그렇고 영어로만 된 간판도 너무 많아요. 영어 모르는 어르신들은 뭐 파는 덴지도 잘 모르시죠. 한 예가 쿠쿠인데, 쿠쿠 판매점+AS센터 간판도 그냥 영어만 있어서 서비스 센터가 있는지 어떤지도 못 찾으심. 버스 정류장 근처였는데도. 쿠쿠가 최근엔 밥솥 말고 다른 것도 많이 팔아서 디스플레이된 것만 보고 들어갈 수도 없어요. 쿠쿠서 파는 제품들이 은근 고연령층들이 많이 쓰는 제품인데도 그러고 있죠.
Starscream
24/01/06 08:26
수정 아이콘
현시대의 사대주의죠. 어쩔수 없음.
14년째도피중
24/01/06 08:33
수정 아이콘
그냥 '저게 더 예뻐서'라고 대답할 사람이 좀 있을 것 같습니다.
꼭 영어를 모르는 어르신이 아니더라도 저건 좀 아니다 싶긴 해요.
안철수
24/01/06 09:17
수정 아이콘
영어 알아도 요즘 간판은 온갖 외래어 범벅이라 문제 많죠.

영어발음 좋은 옆자리 노신사가 통화로
“까페 델리에 있어. 여기로 와“ 했는데
간판이 Cafe Deli : artisee(꼬부랑 글씨체) 였습니다.
24/01/06 09:35
수정 아이콘
중간에 모드는 뭘까 궁금해지는.
척척석사
24/01/06 09:54
수정 아이콘
한글설명 있어도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워 보이는데 뭔 줄만 한개두개세개 있네요
UI대실패 느낌
1등급 저지방 우유
24/01/06 11:17
수정 아이콘
비단 저런거 뿐 아니라
편의점/패스트푸드점/은행 등에서 키오스크만 봐도
노인들의 사용에 관해서 불편함 호소 관련 뉴스나온것도 있죠
24/01/06 11:23
수정 아이콘
중간에 아이디가 크
겟타 세인트 드래곤
24/01/06 11:36
수정 아이콘
이건 한글로 제대로 해줬어야죠
24/01/06 12:21
수정 아이콘
im 신뢰 뭐 그런겁니까,,,
졸립다
24/01/06 13:17
수정 아이콘
쓰레기같은 버튼이네요.
24/01/06 15:10
수정 아이콘
아 M.S.G.R 먹고 싶네
이명준
24/01/06 15:17
수정 아이콘
지은지 3년 반 정도 되는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도
주차장의 입구와 출구를 영어로만 표기해 놓았더라구요.
모두가 영어를 아는 것도 아닌데...
아니 한글로 입구와 출구라고 쓰는 게 훨씬 알아 보기 좋고 직관적인데
왜 그렇게 했는지 이해할 수 없더라구요
당근케익
24/01/06 15:20
수정 아이콘
한글 표기 의무화 찬성합니다
왜 한국에서 한국어를 보는게 힘든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538 [서브컬쳐] 중국의 드래곤볼 이벤트 [11] 롯데리아13479 24/01/12 13479
493537 [서브컬쳐] 이번에 새로 나왔다는 미연시 [41] 주말14108 24/01/12 14108
493536 [스포츠] 2024 MLB 개막전 티켓은 쿠팡플레이에서 [15] 키르10051 24/01/12 10051
493535 [유머] 수감중인 푸틴 정적 나발니, "팔도 도시락 여유롭게 먹고 싶어" [17] Davi4ever16993 24/01/12 16993
493534 [유머] 유럽의 과일, 채소 물가가 싼 이유.jpg [62] 궤변19174 24/01/12 19174
493533 [게임] 대박난 메이플 구버전 근황 [43] 삭제됨14748 24/01/12 14748
493532 [기타] 현기차 작년 미국 모델별 판매량.jpg [42] DMGRQ17363 24/01/12 17363
493531 [게임] 2023년 모바일 서브컬쳐게임 전체 매출순위.jpg [26] 굿럭감사13317 24/01/12 13317
493530 [기타] 공포의 정리꾼 [10] Lord Be Goja14780 24/01/12 14780
493529 [유머] 요새 주식투자로 쫄딱 망한 사람.jpg [32] 캬라21179 24/01/12 21179
493528 [기타] 가속되는 '삼퍼런스'화?! [14] Lord Be Goja15914 24/01/12 15914
493527 [기타] 의외로 띠부띠부실은 안준다는 먹을거리 [27] Lord Be Goja16582 24/01/12 16582
493526 [기타] 그냥 딱 시바 조또 만만이로 있어봐로 들리는 몬데그린 [7] 서귀포스포츠클럽13331 24/01/12 13331
493525 [LOL] 최근 유명 방송인들 괴롭게 만들고 있다는 팀원 강제 팅구기 [15] 묻고 더블로 가!16622 24/01/12 16622
493523 [기타] 최초로 인앱과금 100억달러를 넘긴앱이 등장 [17] Lord Be Goja18359 24/01/12 18359
493522 [유머] 40대 남자환자 맞춤 인지검사.jpg [17] 오후의 홍차18972 24/01/12 18972
493521 [기타] ?? : 탄소세탁 하셨나요? (2년전 기사였어요!) [35] Lord Be Goja15935 24/01/12 15935
493520 [방송] 탁재훈x신규진x김예원 압박면접 최고 텐션 [14] 빼사스17233 24/01/11 17233
493519 [기타] LG에서 공개한 컨셉트 카... [17] 우주전쟁17233 24/01/11 17233
493518 [기타] 치매 연구 근황 [37] 아롱이다롱이18399 24/01/11 18399
493517 [유머] 돈이 목적이라면 다른 직업을 알아보세요.jpg [104] Starlord24015 24/01/11 24015
493515 [기타] 외국에서 본 최근자 남북상황 [32] 아롱이다롱이19323 24/01/11 19323
493514 [기타] 2023년 성심당 매출 [40] 아롱이다롱이18610 24/01/11 186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