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1/03 16:31:11
Name Heretic
File #1 Uu27w77w767811384a.jpg (53.3 KB), Download : 26
File #2 0403oojhwvhw4a.jpg (55.4 KB), Download : 5
출처 카운터포인트
Subject [기타] 2023년 애플이 600$이상 스마트폰 판매량 71% 차지





스마트폰 전체 판매량은 감소중인데 그에비해 출고가 600$ 이상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전체 중 24%로 증가

그 600$ 이상 스마트폰 중 애플이 71%로 압도적 1위
삼성이 그 뒤 17%로 2위

사실상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삼성을 제외하곤 12%에 불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1/03 16:34
수정 아이콘
삼성의 전 세계 600$ 이상 스맛폰 점유율은 작년에 비해 6.25% 증가한 17%
탑클라우드
24/01/03 16:35
수정 아이콘
매번 놀림당하지만, 사실 삼성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처럼 안드로이드 사용자에게는 그나마 믿을 수 있는 제품이 갤럭시이기도 하고.
조메론
24/01/03 17:15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카바라스
24/01/03 19:50
수정 아이콘
구글페이도 없고 as도 빈약한 한국 안드유저들한테는 사실상 대안이 없죠. 중국폰 써본적 있긴한데 장단점중에 단점이 너무 크리티컬해서..
Liberalist
24/01/03 16:40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의 대장 브랜드로서의 삼성은 적어도 인간계 최강자 지위는 확립했다고 봐야죠.
애플이 천외천이라 그렇지, 나머지는 비벼대는게 삼성에게 좀 많이 미안한 수준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린비
24/01/03 16:41
수정 아이콘
팀쿡이 애플나와서 삼성오면 차이를 좁힐수 있을까요.. 흑흑
리와인드
24/01/03 17:24
수정 아이콘
잡스가 다시 돌아와서 삼성가 양자로 들어오면 될듯요.
탑클라우드
24/01/03 18:12
수정 아이콘
앗, 그럼 잡스 외모도 송중기로...
ComeAgain
24/01/03 17:06
수정 아이콘
젊은이들이 나이든 사람 것 피하는 소비를 한다는 것의 반례가 애플 아닐까 싶어요.
샤르미에티미
24/01/03 17:09
수정 아이콘
홍대병도 삼성 안 사고 애플을 산다는 점에서 삼성은 매력도 없는 2등 포지션이라는 것의 증거 아닌가 싶네요.
Bronx Bombers
24/01/03 18:08
수정 아이콘
성능의 애플 감성의 삼성!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1/03 17:26
수정 아이콘
삼성이 힙스터 픽이라니
우주전쟁
24/01/03 17:29
수정 아이콘
구글은 이제 스마트폰은 포기(?)한 건가요?...픽셀폰?...;;
24/01/03 18:01
수정 아이콘
픽셀폰의 시장 점유율의 성장세는 다른 어떤 경쟁자들보다 빠르게 성장중입니다. 바꿔말하면 절대값으로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는거죠.
찾아보니 캐나다/미국쪽 점유율이 4.x%대로 가장 높은 편이네요.
No.99 AaronJudge
24/01/03 17:35
수정 아이콘
1인자는 이제 천외천이고
삼성은 그래도 2인자로 돈 열심히 버는 포지션을 구축해야…
24/01/03 18:37
수정 아이콘
저 12퍼도 중국내수가 다수임을 추정해볼때 삼성본진인 우리나라와 중국을 제외하면 상급기 = 아이폰이라 봐도 무방하겠네요..예전엔 다른나라도 삼성 상급기 많이쓴다고 하시던분들 좀 있었는데..
탑클라우드
24/01/03 20:10
수정 아이콘
베트남의 경우에도 압도적으로 아이폰 사용자가 많지만(특히 젊고 돈 좀 있는 친구들),
종종 폴드 좋아하거나 플립 팬인 젊은 여성들도 있더라구요.
갤럭시S는 아무래도 평범한 바형 폰이다 보니 지나가면서 '어 갤럭시S다'하고 알아보기 어려워서 더 안보이는 듯 느껴지기는 하는데,
갤럭시 폴드나 플립은 꽤나 자주 보이기는 하더라구요.

특히 베트남에서 골프는 아직 매우 한정된 인원들에게만 보급된 스포츠인데,
연습장 가서 보면 옆 테이블, 옆옆 테이블 등에 폴드 쓰는 아저씨나 플립 쓰는 아가씨들 종종 보입니다.
갤럭시 S는 거의 못 본 듯도... 차라리 A가 더 많은 것 같아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보니.
24/01/03 23:40
수정 아이콘
대중적인 포지션이 아닌 갬성픽이자 매니아틱을 표방하는 포지션 측면에서는 삼성의 폴드, 플립 출시가 그래도 활로를 늘렸다 생각합니다. 호불호는 갈리지만 플립은 나름 대중화가 되긴 했고요.
씨네94
24/01/03 18:54
수정 아이콘
삼성 잘했어!!
네이버후드
24/01/03 19:19
수정 아이콘
인도 중국 한국 빼고 보고 싶네요
24/01/03 20:53
수정 아이콘
작년에 비해 애플 줄고 삼성 늘어난게 놀랍네요.
더 벌어졌을 줄 알았는데
24/01/03 21:14
수정 아이콘
아직도 삼성 vs 애플 제외 나머지 차이가 꽤 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205 [기타] 호불호 갈리는 식당 젓가락 [31] 묻고 더블로 가!13558 24/01/06 13558
493200 [기타] 강인경 사건 결말 [10] lasd24115750 24/01/06 15750
493195 [기타] 동시송출 해봤다가 혼쭐 났다는 강인경 [69] 묻고 더블로 가!20056 24/01/06 20056
493193 [기타] 떠날까봐 걱정하는 여친 안심 시키는 방법 [19] 묻고 더블로 가!17485 24/01/06 17485
493192 [기타] 사람들이 치지직을 못믿는 이유중 하나 [34] 닉넴길이제한8자16435 24/01/06 16435
493189 [기타] 드래곤볼 콜렉트 카드 근황.jpg [8] 고쿠11296 24/01/06 11296
493187 [기타] 국민연금 작년 100조 벌었다… 전체 수급자에 3년 줄 돈.gisa [28] VictoryFood15221 24/01/06 15221
493186 [기타] (약후) 트위치식 수영복 방송하는 법 [5] 묻고 더블로 가!14684 24/01/06 14684
493184 [기타] 지금보다 훨씬 북쪽에 있었던 한반도 [10] 삭제됨13387 24/01/06 13387
493183 [기타] 어찌보면 대한민국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점 [42] VictoryFood15679 24/01/06 15679
493181 [기타] 애니콜 시절 삼성 폰들... [21] 우주전쟁11731 24/01/06 11731
493174 [기타] 그래도 어디서 본 건 있는 중학생들... [28] 우주전쟁17851 24/01/06 17851
493170 [기타] 손님에게 제대로 민폐인 미용실 [14] 묻고 더블로 가!17085 24/01/06 17085
493169 [기타] 논란의 화장실 물 내리는 버튼 [33] 주말17358 24/01/06 17358
493162 [기타] 해왕성의 실제 색깔은?... [10] 우주전쟁14275 24/01/05 14275
493157 [기타] Ai시대..준비된 인재상 [3] Lord Be Goja12789 24/01/05 12789
493155 [기타] 회사에 퇴사한다고 협박하는놈 있다.jpg [16] 무딜링호흡머신14694 24/01/05 14694
493152 [기타] 평행주차 하는 법... [57] 우주전쟁15459 24/01/05 15459
493150 [기타] 의외로 일본에서는 흔하다는 장르.. [65] Lord Be Goja18080 24/01/05 18080
493147 [기타] 한국을 무너뜨리는 방법... 그건 바로 수도권 공략이다 [5] 묻고 더블로 가!14432 24/01/05 14432
493146 [기타] 벼랑 끝 건설사... 최종 오의 시전.gisa [54] KanQui#117698 24/01/05 17698
493144 [기타] MS가 이번 서피스부터 도입한다는 버튼 [9] Lord Be Goja12161 24/01/05 12161
493142 [기타] *슈퍼리치* 중 가장 많은 MBTI는? [46] 삭제됨13612 24/01/05 136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