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5 12:29:06
Name 크레토스
File #1 20592_21111_5958.png (71.4 KB), Download : 32
File #2 20230829144003032bdmc.jpg (821.0 KB), Download : 14
출처 인터넷
Link #2 .
Subject [기타] 의외로 불법인 것




그건 외국문자로만 간판 표시
법으로는 한글과 외국 문자를 병기해야 하고
처벌도 명시되어 있음
하지만 3층 이하 건물이거나 간판 크기가 작으면 간판 신고 대상도 아니며 영어 상호일 경우 병기할 필요가 없음
또 현실에선 4층 이상 건물에서 큰 간판의 한글 상호명인 가게가 영어로만 표시해도 처벌 받는 사례가 없어서 사실상 의미 없는 법 조항..


밑에 짤은 중국어 조선어 간판 병기가 법으로 의무화 되어 있는 연변의 거리 간판
중국이라 그런가 공안 무서워서 다들 법을 잘 지키나 봅니다
뭐 연변뿐만 아니라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구는 다 소수민족 언어와 중국어 병기가 의무화 되어 있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25 12:32
수정 아이콘
현수막도 게시대말고는 불법이긴한데 그냥 다들 하고있다보니 신고없는 조항이라도 있는 간판보다 더 제도적 수준이 애매하죠.
23/12/25 12:34
수정 아이콘
영어 못 읽는 분이 한글 못읽는 분보다 훨씬 더 많을텐데 이런건 좀 아쉽죠
크레토스
23/12/25 12:41
수정 아이콘
자랑스러운 한글이라 그러지만 영어 사대주의가 심해서 그런가 점점 알파벳이 거리에서 자주 보이죠
이런 거 보면 조선시대 때 한글 발명됐어도 왜 한자가 훨씬 대접받은지 알 수 있습니다
한글이 이미 공식 문자로 자리 잡고 있어도 알파벳이 이렇게 점점 힘 받는데
한자는 한반도서 한글보다 무려 2000년은 먼저 쓰인 공식 문자니...
포도씨
23/12/25 18:58
수정 아이콘
영어간판이 사대주의라고 하기엔 이제 영어쓴다고 있어보이는 시기조차 지났죠.
영어는 단순구조의 알파벳 특성으로 디자인 측면에서의 장점이 큽니다. 사대주의에 뇌가 쩔어서 영어가 멋져보이는게 아니라 다양한 폰트와 두께를 가졌다는게 치트키급이에요.
Starscream
23/12/25 19:38
수정 아이콘
폰트로 치면 한글이 모자란것도 아니고 뭐 그냥 핑계죠. 아마 과거의 사람들도 한자 쓰는게 중국을 사대한다고 뭐라하면 비슷한 이유를 대지 않았을가 싶습니다.
포도씨
23/12/26 00:32
수정 아이콘
당장 책표지 디자인한다고 생각하시고 같은길이의 영어단어와 한글단어 이리저리 조합해보세요. 폰트의 갯수문제가 아니라 글자의 두께가 일정수준이상 올라갈 수 없다는건 엄청나게 핸디캡을 안고가는겁니다. 예를들자면 알파벳은 가로건 세로건 획이 3개를 넘지 않는데 한글, 한자의 경우에는 7~8개는 물론이고 두자리 숫자도나오죠. 그래서 폰트두께를 일정수준이상 올릴수가 없어요.
Starscream
23/12/26 06:56
수정 아이콘
그래서 키릴문자도 멋있어보이나요? 아랍문자나 타이문자도?
포도씨
23/12/26 10:31
수정 아이콘
영문이 멋있다가 아니라 획의 구조상 디자인구성과 가독성이 우수하다는겁니다. 키릴 아랍어가 가독성이 좋은 문자가 아니죠? 아랍문자에 고딕체가 있나요?
23/12/25 21:19
수정 아이콘
가독성이 떨어질수록 디자인적인 가치가 늘어납니다. 영어나 한자, 그리고 알아보기 어렵게 쓴 한글이 눈에는 디자인적으로 더 뛰어나 보이는 거죠.
포도씨
23/12/26 00:19
수정 아이콘
무슨소리를 하시는건지요?
이상봉씨처럼 글자로 옷만드는게 아닌이상 간판, 패키징, 출판인쇄 그 모든 산업디자인은 가독성이 최고의 가치에요.
종말메이커
23/12/25 12:56
수정 아이콘
노키즈존 노시니어존도 가게맘이라는 분위기인데
간판을 규제하기란 더 어렵겠죠
공공 사이니지나 잘 관리했으면 합니다
23/12/25 13:25
수정 아이콘
사진은 간판 알록달록한게, 글자 자세히 안보곤 한국 중심상가 건물인줄 알았어요
다시마두장
23/12/25 15:43
수정 아이콘
연변은 왜 중국어 조선어 병기가 의무화돼있는건가요? 동북공정의 일환같은건가요?
Starscream
23/12/25 17:15
수정 아이콘
본문도 그렇지만 그냥 중국이란 두 글자만 붙으면 일단은 까려고 드는 경향이.....
병기를 하는건 소수민족 자치를 인정해주고 문화를 존중해주는 일환이죠. 저기 보면 조선어를 위 혹은 왼쪽 즉 상석에 쓰고 있죠?
뭐 그게 소수민족들을 사랑해서 그런게 아니라 그냥 불만이 안 나도록 하는거다 하면 당연히 맞는 말인데.....
지금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만 중국은 소수민족 공립학교가 해당 언어로 수십년간 교육을 해왔어요. 같은 다민족 국가들중에서도 독보적이죠.
소수민족의 존재감을 줄일거라면 병기를 의무화하는게 아니라 금지해야죠.
다시마두장
23/12/27 05: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답변 감사합니다.
저 정책에 소수민족의 존재감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간 중국은 국제적으로 소수민족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그 또한 중국의 일부라는 스탠스를 취해왔기에, 정작 조선어가 통하지 않는다는 저 지역에서 굳이 병기를 의무화까지 하는 이유가 저 스탠스의 일환이 아닐까 하는데 까지 생각이 미쳤네요.
나이브하게 생각해보면 말씀해주신대로 지역 문화 보존 차원에서 저걸 강제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Starscream
23/12/27 07:08
수정 아이콘
나이브하게 생각하면?
다시마두장
23/12/27 17: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해주신 이유만으로는 병기를 강제하는 게 설명되지 않는 것 같아 문화보존의 의미, 예의 스탠스의 일환 두 가지가 혼재해 있는 정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제 머릿속에서) 좋게 해석하면 전자의 의미로 조명하게 되겠다는 이야기지, 저걸 호의적으로 해석하는 사람이 나이브하다는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블래스트 도저
23/12/25 18:08
수정 아이콘
대림동 같은데 가보면 간판이 중국어뿐인데 이런건 불법 아닌가요?
크레토스
23/12/25 18:19
수정 아이콘
불법이겠지만 영어간판만 쓰는 것도 처벌 안하는데 그것도 처벌하긴 그렇겠죠
장만월
23/12/25 18:30
수정 아이콘
창문에 상호 스티커로 붙이거나 하는것도 전부다 불법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940 [연예인] 한국의 결혼 저출생 문제에 대한 "플라이 투더 스카이" 브라이언의 생각 [52] 아롱이다롱이19411 24/01/01 19411
492939 [유머] 겨우 몇백만원짜리 기계 사니까 직원이 필요없어졌다는 음식점 [21] 주말17460 24/01/01 17460
492937 [기타] 동생 납골당가서 왕눈하는 오빠.DC [5] 이호철15515 24/01/01 15515
492936 [기타] 의외로 김치냉장고를 이 용도로 쓰는 집 꽤 있음 [16] 아롱이다롱이14449 24/01/01 14449
492935 [기타] 현재 북한 1, 2인자... [26] 우주전쟁15655 24/01/01 15655
492934 [LOL] 올해 좀 부진한 선수 [6] roqur11019 24/01/01 11019
492933 [동물&귀욤] 강아지 운동장 반대했다는 강형욱 (스압) [10] VictoryFood11857 24/01/01 11857
492932 [유머] ↑ 아무 이유없이 댓글로 욕박힘 [7] 퍼블레인13056 24/01/01 13056
492931 [기타] 요즘 한국 군대는 꿀이라고 하는 여자.jpg [10] 어금니와사랑니13805 24/01/01 13805
492930 [유머] 한국 음식사의 비극 [23] 길갈15648 24/01/01 15648
492929 [유머] 일본 천사와 악마 매치업 성사 [10] 김삼관15058 24/01/01 15058
492928 [기타] 조석 신작 근황 [10] 카루오스15656 24/01/01 15656
492927 [기타] 한국에서 15년 거주한 프랑스인도 못 먹겠다는 음식 [25] 아롱이다롱이15211 24/01/01 15211
492926 [유머] 이재용 어묵집 근황.twt [8] VictoryFood14477 24/01/01 14477
492925 [유머] 남편에게 전재산 공동명의를 요구했다가 패가망신 당한 여자 [10] Myoi Mina 16934 24/01/01 16934
492924 [유머] (일본) 새해 첫 일출이 너무.. [18] Sousky Seagal15732 24/01/01 15732
492923 [기타] 2023년 국내 상장사 주식부호 top10 [24] 아롱이다롱이16064 24/01/01 16064
492922 [유머] 야구선수랑 눈싸움 하면 안되는 이유 [20] 핑크솔져16294 24/01/01 16294
492921 [유머] 2024년 나이정리 [21] 껌정15439 24/01/01 15439
492918 [유머] 88년생이 20살이 된다니.. [17] 주말18808 24/01/01 18808
492917 [기타] 2024년 공휴일을 알아보자 [4] 길갈12835 24/01/01 12835
492916 [유머] 갑진년 청룡의 해 광안리 드론쇼 리허설.twt [3] VictoryFood15824 24/01/01 15824
492913 [방송] 고려팝의 위엄 [5] 카루오스17283 24/01/01 172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