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22 19:28:47
Name 크레토스
File #1 Nintendo_Annual_Operating_Profit_FY_2022.png (16.0 KB), Download : 32
File #2 UMHgAov.png (46.2 KB), Download : 13
출처 X
Link #2 https://www.reddit.com/r/nintendo/comments/urgtlg/nintendos_profitearnings_chart_19812022/
Subject [게임] 닌텐도가 콘솔업계의 1황인 이유 (수정됨)




짤은 닌텐도와 플스의 연도별 순이익입니다.


파판7 가고 게임 끝났다는
PS 1 시절에도

엑박 큐브 합친것의 몇배를 판
PS 2 시절에도

닌텐도가 이익으로 플스를 이김..

PS3 시절엔 소니 삽질과 닌텐도 잘한게 겹쳐서 역대급으로 차이가 났다가

PS4 초중기때 반대 상황 되서 처음으로 플스가 닌텐도 뛰어넘는 이익을 보고

그러다 스위치 나와서 지금은 다시 닌텐도가 플스 2배 넘는 이익 기록 중..

플스도 인지도 대비 번 돈이 생각보다 적고
세가는 최전성기 때조차 엄청난 적자였고
마소도 인수로만 100조 쓰는 거 보면(액블 91조 제니맥스 9조)
좀 과장해서 닌텐도만 돈버는 시장이라고 해도 틀린말은 아닌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22 19:33
수정 아이콘
닌텐도 최고 망작 wii u
소니 최고 망작 ps3
네이버후드
23/09/22 19:39
수정 아이콘
닌텐도 최고 망작은 버추어보이죠
기무라탈리야
23/09/22 21:37
수정 아이콘
소니 최고 망작은 엑스페리아 아닌가여
23/09/22 19:37
수정 아이콘
다른 게임기 회사들은 걍 사업 접고 다른걸 하는게 나은 수준..
닌텐도만 걍 어나더레벨인 듯
코우사카 호노카
23/09/22 19:40
수정 아이콘
vita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삶이란 뜻이있지..
왜 비타나오고 적자일까 흑흑
뒹굴뒹굴
23/09/22 21:45
수정 아이콘
앗 이거 치러 왔는데!
네이버후드
23/09/22 19:47
수정 아이콘
그런데 닌텐도 수익이면 콘솔만 있는게 아니라 콘솔 시장으로 보는게 어려운거 아닌가요
크레토스
23/09/22 20:00
수정 아이콘
결산에서 실적 같은 거 보면
대부분 콘솔과 게임 판매서 매출, 이익이 나옵니다.
Lord Be Goja
23/09/22 20:07
수정 아이콘
땡콘솔이 아니라 직접 만드는 게임이 합쳐져 있지않냐는 말씀이신거같습니다.소니는 소니로 게임을 내지는 않으니..
크레토스
23/09/22 20:10
수정 아이콘
소니 직접 만드는 게임 많아요.
스파이더맨이니 호라이즌 제로 던이니 라오어니 다 소니가 100% 지분 가지고 있는 스튜디오들 게임이고 그 판매 실적은 당연히 실적에 합산됩니다.
네이버후드
23/09/22 20:25
수정 아이콘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등 예를 들어 포켓몬 고는 매출은 잡히더라도 닌텐도 콘솔하고 무관하죠 저는 저렇게 보려면 콘솔만 따져야 한다고 생각을 해서요
크레토스
23/09/22 20: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애니메이션은 그 자체론 거의 돈이 안되고요.
포켓몬고도 매출의 10% 1년에 1000억원 정도가 닌텐도에게 들어옵니다.
매우 적은 비중이에요.
엘든링
23/09/22 19:53
수정 아이콘
소프트 매출에서 퍼스트파티 비중이 70퍼 수준이라고 어디서 본 기억이 나는데 이게 좀 크죠
블래스트 도저
23/09/22 19:56
수정 아이콘
사실 닌텐도가 거치기 망한다는 이야기 들을때도
휴대기는 1황을 놓친적이 없고 여기서 엄청 벌었죠
오렌지 태양 아래
23/09/22 20:30
수정 아이콘
그냥 닌텐도가 게임 그 자체죠
23/09/22 20:33
수정 아이콘
닌텐도는 판매량으로 따져야지요.
로얄티 라이센스 이런걸로 따지면 당연히 높겠지만 닌텐도 64 실패 게임큐브 실패 위 실패 망작에 망작 이어졌는데...
마치 mp3가 첨 나왔을때 md랑 비교하며 다른 회사들 mp3 영업이익 비교하는데 소니 md판매량 안 넣고 소니 카메라와 캠코더 티비 영업이익 다 뽑아놓고 비교하는거랑 똑같죠.
크레토스
23/09/22 2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로열티 라이센스 때문에 높은게 아닌데요.. 닌텐도는 언제나 게임으로 대부분의 돈을 벌었습니다.
애초에 닌텐도는 타사에 라이센스 같은 거 거의 해주지도 않고요.
그런데도 이익 높은 건 거치기만 판매량이 아니니까요.
플스1 때 포켓몬 나왔고
플스 2 때 8000만대 팔린 gba랑 1억 5000만대 팔린 ds 나왔습니다.
그리고 위 1억대 팔렸는데 그게 실패라뇨.
23/09/22 20:52
수정 아이콘
https://www.nintendo.co.jp/ir/library/earnings/index.html?year=2012

플스2 시절에 닌텐도는 2011년도에서 2012년도 대비 전년동기 대비 31%감소 5561억엔 당시 리먼사태로 인해 환율이 엄청올라 환율이 1400-1500원 우리돈 3조 이상 영업이익 감소....

제가 일본 살 때 뉴스틀어도 경제신문에 닌텐도가 흔들리고 있다 일본이 흔들린다 경제 뉴스에 나왔습니다.

그 때 시절 외곡하면 안되는 게 닌텐도64는 카트리지라 게임이라곤 젤다빼고 즐길만한 게임도 없고 게임큐브도 나왔다 폭망했고 그냥 수조원이상이 영업이익이 감소하며 흔들흔들 거리고 있었습니다.

레딧보다는 그냥 일본 닌텐도 사이트 재무재표와 일본 경제관련 기사 검색하시는 게 더 좋습니다.
그냥 게임매거진 게임라인 일면에도 닌텐도 수조원 영입이익 감소 하고 구조조정 이야기가 앞면에 실려 있었습니다.
크레토스
23/09/22 2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플스2는 2000년 출시입니다. 2012년은 플스2 끝난지 한참 오래에요.
리먼사태도 08년 이후고요.
2012년 그 시절이면 닌텐도는 위유 나오던 시절이고 소니는 플스4 발매 직전인데요. 본문이랑 뭐가 다르죠? 그때 플스가 닌텐도 이겼다고 했잖아요?
닌텐도 64 때 게임보이랑 포켓몬 잘나간건 모르시죠?
게임큐브때 gba랑 ds 잘나간것도 모르시고요.
애초에 n64나 게임큐브 때 수조원 이익 감소했으면 적자인데요.
닌텐도가 적자 본건 위유 때 빼고 없습니다.
제발 기본적인 사실관계부터 아시고 태클을..
23/09/22 21:07
수정 아이콘
2008년 리먼사태 터지고 환율이 진정되지 않아서 당시 환율 적어둔거고요. 첨 터졌을때는 1800원까지 환율이 올랐습니다. 위에 본인이 올린 2012년도 그래프만 봐도 바닥으로 그리고 아래로 그려져있네요.

닌텐도64 - 게임큐브로 이어진 연이은 실패라고 경영진 구조개혁 뉴스도 나왔는데 닌텐도가 단 한번도 어려웠던 시절이 없는걸로 자꾸 왜곡하셔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크레토스
23/09/22 21:09
수정 아이콘
플스2 시절에 닌텐도는 2011년도에서 2012년도 대비 전년동기 대비 31%감소 5561억엔 당시 리먼사태로 인해 환율이 엄청올라 환율이 1400-1500원 우리돈 3조 이상 영업이익 감소....

본인이 써놓고도 뭔말인지 몰라요?
플스2 시절 2012년이라고 본인이 써놨잖아요.
그리고 제가 가져온건 닌텐도서 공시한 실적인데요.
애매한 기억이 아니라요.
뭐 일본 사셨다면 닌텐도 64를 실제보다 훨씬 크게 실패했다 기억하실만 합니다.
일본선 새턴보다 안팔렸거든요.
근데 전세계론 새턴은 500만대 닌텐도 64는 3000만대 팔았어요.
퍼스트 게임들도 수백만장씩 팔았고요.
23/09/22 21:17
수정 아이콘
닌텐도에서 실패라고 말하는거는 그냥 콘솔게임기 패권을 못 가져가서 실패다..라는 느낌 아니었나요?...
자꾸 이야기에서 평행선을 달리시는거 같은데...관점의 차이 같습니다.
당연히 패권 차지 못하고 플스한테 졌으니까 연이은 실패라고 하고 그러는거죠..그전까지 소니따윈 안중에도 없던 기업이었으니까요.
양고기
23/09/23 22:07
수정 아이콘
닌텐도 64 때 미국에 있었는디 체감은 도저히 게임기를 구할 수 없을 정도로 인기여서 슈퍼패미콤만 붙잡고 있었는데 지역마다 다른 상황이었나 보네요.
23/09/26 08:41
수정 아이콘
위 실패 - 이거 하나로 설득력 증발
23/09/22 20: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콘솔시장에서 실제버는돈을 스마트폰시장으로 비유하면 닌텐도는 애플이고 소니 플스는 삼성이고 마소 엑박은 중국 스마트폰 기업이라고 봐야죠
데몬헌터
23/09/22 20:51
수정 아이콘
아 그래서 니들이 싸게 들고 다닐 수 있는 기기 만들 수 있냐고 크크
공원소년
23/09/22 22:42
수정 아이콘
저럴 수 있는 이유가 닌텐도는 기계를 발매할 때 손해를 보지 않고 팔아서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에 소니나 엑박은 일단 플랫폼 점유가 중요하다 보니 스펙에 비해서 손해를 감수하고 판매하구요. 이것 때문에 세대별 기기를 비교하면 닌텐도는 항상 스펙이 떨어진다고.

물론 닌텐도는 그 떨어지는 스펙을 압도적인 타이틀 파워로 해결해 버리지요.
문없는집
23/09/23 01:01
수정 아이콘
닌텐도는 그냥 게임을 잘만들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571 [연예인] 22년 유튜브 한국 슈퍼챗 1위 [19] Myoi Mina 14270 23/09/28 14270
487570 [기타] 화장실 문제로 탄생한 놀라운것들 [2] 똥진국11589 23/09/28 11589
487569 [연예인] 범죄도시 4 빌런의 무시무시한 비주얼 [30] roqur13978 23/09/28 13978
487568 [유머] 유치원 학예회에서 딸 배역 바꿔달라는 학부모.jpg [50] Myoi Mina 13904 23/09/28 13904
487567 [유머] 광안대교 비하인드 스토리 재밌네요. [2] Valorant13414 23/09/28 13414
487566 [유머] 진짜인데 가짜 같은 시상식.jpg [7] Myoi Mina 11711 23/09/28 11711
487565 [유머] 중고차 딜러가 말하는 독삼사&제네시스가 많아진 이유 [6] DogSound-_-*12394 23/09/28 12394
487564 [유머] 네? 작가 xx 당장 잡아오라구요? [2] 우주전쟁10131 23/09/28 10131
487563 [서브컬쳐] 데빌 메이 크라이 넷플릭스판 애니메이션 발표 [17] 레이오네8207 23/09/28 8207
487562 [기타] KTX 서울 > 부산 운전석 영상 [11] Croove12796 23/09/28 12796
487561 [기타] 호날두가 보이는 사진 [25] 꿀깅이13061 23/09/28 13061
487560 [기타] 포터에서 하는 차밖 [11] 꿀깅이10603 23/09/28 10603
487559 [기타] 일상생활 불가능하면 이해되는 사진 [21] 꿀깅이12995 23/09/28 12995
487558 [유머] 아픔 vs 가오 [6] 길갈10305 23/09/28 10305
487556 [LOL] 롤의 핵심을 7년전에 깨달은 앰비션 [29] Leeka13003 23/09/28 13003
487555 [LOL] 이승엽 메타가 절실한 페이커 근황 [13] 155712746 23/09/28 12746
487554 [LOL] 이스포츠 전문 기자의 기사 [16] Leeka11646 23/09/28 11646
487553 [LOL] 룰러는 6점짜리 원딜이다 [12] Leeka13154 23/09/28 13154
487552 [LOL] 어나더 레벨 [19] roqur12660 23/09/28 12660
487551 [LOL] 중국 후푸에서 매긴 한중전 평점 [40] 아롱이다롱이12825 23/09/28 12825
487550 [유머] LoL] 이제 룰러, 카나비와의 행복한 시간은 끝났다 [12] 동굴곰11814 23/09/28 11814
487549 [LOL] 아겜을 본 중국 웨이보 근황 [33] Leeka14078 23/09/28 14078
487547 [LOL] 어 그래그래 얘들아 오늘잘햇고 [17] roqur11593 23/09/28 115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