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04 16:17:33
Name 우주전쟁
File #1 제임스_웹1.jpeg (48.8 KB), Download : 28
File #2 제임스_웹2.jpeg (513.4 KB), Download : 8
출처 트위터
Subject [기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킬러...




나사에서 달의 뒷면에 있는 크레이터에 직경 약 350미터 정도되는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게 설치되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보다 더 멀리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나사 놈들...이걸로 또 예산 얼마나 가져가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럴거면서폿왜함
23/09/04 16:18
수정 아이콘
망원경 말고 빔 병기 설치하는 건 아니죠?
raindraw
23/09/04 16:22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달의 뒷면이라 지구방향으로 오는 경우가 없어서 지구쪽으로는 못쏩니다. 외계인을 상대하는 용도라면 모를까...
23/09/04 16:23
수정 아이콘
커다랑 원통을 한 두어개만 궤도에 올려보자!?
단비아빠
23/09/04 16:25
수정 아이콘
애니메이션에 보면 달의 뒷면에서 발사한 빔을 인공위성으로 반사하는 식으로 쓰곤 합니다
raindraw
23/09/04 16:29
수정 아이콘
오 그런 방식은 괜찮겠네요. 다만 초강력빔을 그대로 반사할 수 있는가 궁금합니다.
VictoryFood
23/09/04 16:42
수정 아이콘
거울만 있으면 그대로 반사하는거 아닌가요?
海納百川
23/09/04 16:46
수정 아이콘
거울이 빛을 반사하는건 말그대로 그 빛 자체가 우리 눈에 들어와도 문제없을 정도로 약하기 때문이죠.
에너지병기로 쓴다는건 엄청난 고밀도의 빔이고 그건 거울도 그냥 녹일테니까요.
jjohny=쿠마
23/09/04 16:50
수정 아이콘
- 병기로 사용될 만큼 고에너지의 빔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아무 거울이나 갖다 놓는다고 되는 건 아닙니다)
- 병기의 특성상 절대 엇나가면 안되기 때문에, 정확한 방향 제어를 위해 반사면도 아주 정밀하게 만들어져야 하겠고, 반사각 제어 장치도 높은 정확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져야 하겠죠.

둘 다 간단한 얘기는 아닐 겁니다.
톨기스
23/09/04 16:55
수정 아이콘
그쪽 세계관에서는 반사 및 굴절이 가능합니다. 엄밀히 따지고 보면 굴절시키는 거라고 보는게 정확할지도... 뭐 지금은 당연히 불가한 기술...
이선화
23/09/04 16:26
수정 아이콘
빔을 추진체로 사용해서 지구에 달을 떨어트리는 인류멸망병기일지도 크크크
인센스
23/09/04 16:36
수정 아이콘
지구에 남은 녀석들은 지구를 더럽힐 뿐인, 중력에 혼을 속박당한 자들이다!
닉언급금지
23/09/04 16:28
수정 아이콘
관측 장비 맞지?라고 확인해야할... 크크크
이웃집개발자
23/09/04 17:37
수정 아이콘
와 벌써 두근거리네..
*alchemist*
23/09/04 16:22
수정 아이콘
운석 조심해야 할텐데 말이죠 크. 그나저나 뒤에 있으면 통신은.. 위성을 띄워서 연결하려나요?
23/09/04 16:24
수정 아이콘
이미 달에 인공위성 몇 개 떠있지 않나요?
*alchemist*
23/09/04 17:1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진짜 몰라요 크;)
닉네임을바꾸다
23/09/04 17:57
수정 아이콘
일단 다누리도 가서 뺑이치고 있습...
raindraw
23/09/04 16:23
수정 아이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궤도를 조금씩 수정해야해서 연료문제로 사용기한의 제한이 있는 걸로 아는데 이건 상당히 안정적으로 오래 쓸 수 있겠네요. 운석 같은 것들을 방어할 방법을 마련해야겠지만요.
방과후티타임
23/09/04 16:29
수정 아이콘
누누히 말씀드려찌만 돔구장을 지어야....아니 개폐형 돔을...크크
23/09/04 17:33
수정 아이콘
궤도 미사일!
리니어
23/09/04 16:24
수정 아이콘
히틀러한테 저격 당하는거 아닌가요?
이른취침
23/09/04 16:42
수정 아이콘
히틀러랑 토지사용료 협상은 이미 했겠죠.
메가트롤
23/09/04 18:10
수정 아이콘
체임벌린님...?
비뢰신
23/09/04 16:25
수정 아이콘
달 뒤에 350 미터짜리 망원경
덕후들 눈물 흘릴듯 ㅜㅜ
벌점받는사람바보
23/09/04 16:26
수정 아이콘
저규모로 만들면 유지보수는 괜찮나 크크크
마구스
23/09/04 16:28
수정 아이콘
저런 거 달에 옮기려면 스타쉽 정도는 있어야 하려나요?
덴드로븀
23/09/04 16:31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설치형태만 보면 로봇을 보낸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것 같아서
스타쉽이 최소 수십번 왕복해야 가능하지 않을까...싶긴 합니다.
23/09/04 16:30
수정 아이콘
질량병기 추진체일지도
아케르나르
23/09/04 16:30
수정 아이콘
지구 전파는 피할 수 있어도 태양과 마주하는 기간이 절반일텐데. 극지방에 가깝게 세우려나요?
츠라빈스카야
23/09/04 16:38
수정 아이콘
그러면 사실상 시야각이 매우 좁아지지 않나 싶은 우려가 드네요.
아케르나르
23/09/04 16:48
수정 아이콘
달도 나름 큰 천체이니 고위도 지역이라고 해서 무조건 시야각이 제한되지는 않을겁니다. 저위도지역에 설치하면 태양복사열때문에 수명이 많이 줄지 않을까 싶은데 위치를 어디로 잡을지 궁금하네요.
海納百川
23/09/04 16:57
수정 아이콘
Crater Requirements
ᆩ Diameter: 1-2 km
ᆩ Minimum Depth: 200 m
ᆩ Location: 20oN, 180±45oE
ᆩ No boulders or outcrops
ᆩ Complete crater rim
ᆩ Level surface outside crater

크레이터에 대한 요구입니다. 극지방은 아닌거 같네요.
뭐 저런 망원경도 실제로 전파를 리시버가 가마? 위에 떠있는 상태로 그 위치를 바꿔서 시야각을 움직이는 시스템인걸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한곳만 보는게 아니라 나름 시야각이 커요.
방과후티타임
23/09/04 16:30
수정 아이콘
우주형제에 나오는 월면망원경 같은 거네요. 하악하악
덴드로븀
23/09/04 16:32
수정 아이콘
데스스타 비긴즈...?
flowater
23/09/04 16:35
수정 아이콘
슬슬 달에도 깃발 꽂기 시작하는건가요
지구 최후의 밤
23/09/04 16:37
수정 아이콘
삼체가 떠오르네요
츠라빈스카야
23/09/04 16:39
수정 아이콘
케이블로 땡기고 하는 거 보면 몇 년 전에 무너진 아레시보 망원경의 업그레이드 달 버전인 것 같긴 한데...백 년 내로 지을 수 있을라나 싶기도 하고...
더스번 칼파랑
23/09/04 16:41
수정 아이콘
달은 떠있는가?
톨기스
23/09/04 16:56
수정 아이콘
달이 보였다!!!
VictoryFood
23/09/04 16:43
수정 아이콘
망원경을 짓는 김에 달기지도 건설?
NT_rANDom
23/09/04 16:45
수정 아이콘
일단 제임스웹과는 다르게 A/S는 가능하겠네요
꿀꽈배기
23/09/04 16:54
수정 아이콘
토끼생태계 파괴하는거 아닌가요?
23/09/04 16:57
수정 아이콘
바퀴벌레가 타고가면 어쩌죠
태바리
23/09/04 17:20
수정 아이콘
데스스타가 아냐?!?!?!
크림샴푸
23/09/04 17:53
수정 아이콘
저걸 왜 우리가 걱정하나요? 정말 궁금하네요 크크

저걸 하겠다는 걸 왜 우리나라 사람들이.. 걱정을 해주지?? 저게 될지 안될지 부터 돈이 얼마가 드는지 등등
jjohny=쿠마
23/09/04 18: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물을 즐기는 한국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No.99 AaronJudge
23/09/04 17:58
수정 아이콘
와……..

저게 될…까…? 달에 저렇게 설치한다는 구상을 하는게 너무 신기해요

그나저나 제임스웹도 혁명이었는데
그거보다 성능이 훨 좋으면…햐 정말 좋을것같아요

나사야 화이팅!
디쿠아스점안액
23/09/04 18:30
수정 아이콘
미국 납세자님들 감사합니다... 더 쩌는 우주 사진을 주세요...
23/09/04 18:50
수정 아이콘
나사는 다 생각이 있구나
제임스웹 기획때 이것도 같이 생각해두고
제임스웹 띄운뒤 예산 받아올 아이템으로 책상속에 뒀을거라 생각되는 크크
마찬가지로 다른 우주 탐사안들도책상 안에 쌓여있겠죠?
우주전쟁
23/09/04 19:06
수정 아이콘
뭐? 상원의원들이 시큰둥 하다고? 다음 서랍에 있는 거 꺼내!...
외쳐22
23/09/04 20:19
수정 아이콘
우주 기술 개발도 필요하긴 한데.. 저 쩌는 기술로 건강검진 쉽게 하는 법부터 좀 개발해줬으면 좋겠어요 ㅜㅜ
에이치블루
23/09/04 23:22
수정 아이콘
와 근데 저걸 생각해냈다는게 덜덜덜
집으로돌아가야해
23/09/05 02:06
수정 아이콘
아레시보가 300미터 였다는데 별 차이 없는거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6339 [기타] 한때 우리나라에 있다가 사라진 성씨 [99] 우주전쟁13806 23/09/07 13806
486338 [기타] 더미로 보는 아이폰15 칼라들 [37] Lord Be Goja12425 23/09/07 12425
486337 [기타] 결혼을 준비중인 일본여성들이 정의한 "보통의 남성" 논란 [98] 아롱이다롱이16595 23/09/07 16595
486336 [기타] 금수저들이 받는 세뱃돈 [55] 쎌라비14584 23/09/07 14584
486334 [기타] 고속도로 서열 1위 차량 [34] 쎌라비12915 23/09/07 12915
486333 [기타] 로튼토마토 평론가들이 돈을 받고 평점 조작한 사실이 폭로됨 [16] 아롱이다롱이11913 23/09/07 11913
486330 [기타] AI시대를 맞아 큰 수익을 올린 국가 [13] Lord Be Goja11854 23/09/07 11854
486327 [기타] 성심당이 싸게 팔아도 유지가 가능한 이유 [88] 아롱이다롱이13391 23/09/07 13391
486312 [기타] 재택근무 일수 한국이 최하위 [52] 아케이드15043 23/09/06 15043
486311 [기타] AI로 뽑아본 뷰군 표지 [13] 묻고 더블로 가!11843 23/09/06 11843
486310 [기타] 지갑컨셉의 핸드폰 [17] Lord Be Goja11866 23/09/06 11866
486309 [기타] 아파트 복도 멋있게 인테리어하기 [38] 묻고 더블로 가!12779 23/09/06 12779
486308 [기타] 4090써도 안심하게 해준다던 20$짜리 케이블근황 [3] Lord Be Goja10034 23/09/06 10034
486307 [기타] 음주운전 사고 합의금으로 집샀다는 디시인 근황 [24] Myoi Mina 14423 23/09/06 14423
486306 [기타] 지구와 금성이 춤바람 나면 벌어지는 일... [13] 우주전쟁11222 23/09/06 11222
486303 [기타] 88년 만에 가을 열대야 [32] Myoi Mina 13752 23/09/06 13752
486301 [기타] 청나라의 마지막 내시.jpg [9] Myoi Mina 10690 23/09/06 10690
486295 [기타] 노라조 작곡가가 만든 피지알에 적합한 노래.mp4 [2] insane6351 23/09/06 6351
486286 [기타] 1991년 서로 간의 44일 동안 벌어진 일 [29] 우주전쟁12767 23/09/06 12767
486273 [기타] 남자와 여자의 바지핏 차이 [8] Lord Be Goja14058 23/09/06 14058
486271 [기타] 애플이 매년에 저가형 맥북을 내놓을수있다는 루머 [14] Lord Be Goja12368 23/09/06 12368
486260 [기타] 갑자기 알고리즘을 탄 장군의 유해 봉환 엄호 비행 [30] Valorant11900 23/09/06 11900
486258 [기타] 지금 노래로 아프리카TV를 찢고 있으신 두 분.. [9] 물맛이좋아요12369 23/09/06 123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