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24 15:41:45
Name VictoryFood
출처 네이버뉴스
Subject [기타] "돈 안 써요"…코로나 3년간 '100조 원' 더 저축.gisa
"돈 안 써요"…코로나 3년간 '100조 원' 더 저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758219?sid=101

(전략)
가계는 이 초과 저축을 예금과 주식의 형태로 저축했습니다. 아울러 소비에 쓰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채 상환에도 많이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후략)

아니.. 저축한게 아니라 주식에 물린거라서 부채 상환 못 한 건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24 15:42
수정 아이콘
일어나삼성전자15만가야지
게르아믹
23/07/24 15:42
수정 아이콘
삼성전자네이놈!
타카이
23/07/24 15:42
수정 아이콘
왜 빨간 거 많은데 내껀 파란거야?
콘칩콘치즈
23/07/24 15:43
수정 아이콘
주식게임에 현질한건데...
23/07/24 15:44
수정 아이콘
주식인구가 그렇게 많지 않을것 같은데.. 신기하네요 가계대출이 높은편이라 그쪽으로 이동했을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고..
23/07/24 15:45
수정 아이콘
돈이 분명 돌아야하는데 어디갔다 했더니 주식에 다 몰렸군요
지나가던 자영업자는 웁니다
23/07/24 15:51
수정 아이콘
이차전지는 신이고 없는 나눈 x신이다
switchgear
23/07/24 20:27
수정 아이콘
222
23/07/24 23:33
수정 아이콘
훗 2차전지인데도 x신인 1인 여기있소!
소주파
23/07/24 15:52
수정 아이콘
저축? 저축??? 주식을 저축이라고 하지 말아줄래?
내년엔아마독수리
23/07/24 15:53
수정 아이콘
사실 전체에서 주식 비중이 그 정도로 크지는 않을 것 같고 금리가 올라서 저축 쪽으로 많이 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마스터충달
23/07/24 15:54
수정 아이콘
이게 저축이야? 이게 저축이냐고!
23/07/24 15:56
수정 아이콘
사실 중고 주식을 웃돈 받고 되팔이하려는 우리 문화가 잘못 된 것이 아닐까요??
당근에서도 이러면 욕 먹어욧
소주파
23/07/24 16:03
수정 아이콘
9층에서 구매한 고오급 삼전 8.5에 양도합니다? 한번도 안 써서 신품이랑 거의 똑같아요. 네고x
무냐고
23/07/24 15:59
수정 아이콘
기사상으로 예금+주식이 늘고 소비가 줄고 부채상환이 얼마 안된다는데

가계부채도 늘고 명품소비도 늘고 차량구입도 늘고 물가도 올랐고?
담배상품권
23/07/24 21:26
수정 아이콘
위(명품) 아래(천원샵,최저가)는 늘어나고 중간이 박살납니다.
그리고 그렇게 오랜 기간이 지나면 위(명품,차,가전 등등)에도 박살납니다. 소비자들이 진짜 돈이 없거든요.
아래만 남죠.
일본이 그랬어요.
페스티
23/07/24 16:02
수정 아이콘
저?축
달빛기사
23/07/24 16:14
수정 아이콘
저축, 주식 따로 부채 따로 겠지...
12년째도피중
23/07/24 16:16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내 주식 잘있나 확인하러 갔더니 앞자리 수가 또 바뀌었네요. 크크크
장가갈수있을까?
23/07/24 16:3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결론이 빚내서 도박했다는거죠???????????? 응??
행운아
23/07/24 16:42
수정 아이콘
한번 사는 인생!
Janzisuka
23/07/24 16:46
수정 아이콘
꼬박꼬박 갚는중....
올해 8-9-10월에 각각 3개 대출 끝납니다 ㅠㅠ 길었다
HA클러스터
23/07/24 16:51
수정 아이콘
옛날에 국가에서 주식투자 권장하는게 개인 장롱에 뭍힌 돈을 기업들에게 풀어서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거라고 배웠던 기억이 나는데
내가 잘못 배웠던 건가
오피셜
23/07/24 17:04
수정 아이콘
동학농민운동과 코로나 버블로 주식과 코인 인구 꽤나 많아졌습니다. 제 주변만 따지면 그 전에는 안 하는 사람과 하는 사람 비율이 3:1이었는데 이제는 1:3으로 역전됐습니다. 물론, 지금 대부분 손실구간...
MissNothing
23/07/24 17:11
수정 아이콘
주식의 형태로 저축했다니 크크크크
zig-jeff
23/07/24 17:53
수정 아이콘
얼마전까지만해도 금리가 워낙 낮으니, 이금리에 예금하느니 잃더라도 주식에 넣어두고 오르면 좋고 그런 생각으로 주식에 넣었었는데, 아마 저같이 생각하신분들이 많았을지도 모르겠네요.
-안군-
23/07/24 20:08
수정 아이콘
그게 과연 저축일까??
이민들레
23/07/24 21:00
수정 아이콘
그냥 대출내서 주식샀단 얘기를..
프로페시아
23/07/24 21:23
수정 아이콘
한국은행 보고서 읽어보면 그냥 코로나 때 소비가 박살난 채로 2년을 지내다 보니 거기에 익숙해져서 작년엔 소득이 꽤 회복됐지만 소비가 그에 따라가지 못한다 라는 내용인 것 같은데, 저희 집도 줄어든 소비에 익숙해진 상황이라 나름 납득이 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4184 [유머] 탕수육은 역시 부먹이지 [2] 메롱약오르징까꿍9473 23/08/03 9473
484183 [게임] 이번 에보 상금과 참가자수 [9] STEAM7712 23/08/03 7712
484182 [연예인] 경기 전 같이 사진찍은 GD 이강인.jpg [13] 휴울9826 23/08/03 9826
484181 [유머] 태어나서 대형견 처음보는 꼬물이.gif [11] Myoi Mina 11990 23/08/03 11990
484180 [유머] (얏후) 요즘 핫하다는 양양의 불타는 근황.gif [86] 캬라23800 23/08/03 23800
484179 [서브컬쳐] Ai에게 블리치를 학습 시켜 보았다 [13] 밥과글8671 23/08/03 8671
484178 [방송] 스포) 디피2 인상깊던 장면 [13] Avicii10241 23/08/03 10241
484177 [유머] 먹방 유튜버의 성형인증.mp4 [18] Myoi Mina 12203 23/08/03 12203
484176 [기타] 의외로 나약한 녀석들 [18] Lord Be Goja11974 23/08/03 11974
484175 [기타] 옳게된 잼버리 캠핑장 [41] 삭제됨13375 23/08/03 13375
484174 [기타] 영국 외교부 새만금에 외교관 긴급파견...안전우려 전달... [87] 우주전쟁14134 23/08/03 14134
484173 [기타] 제보자가 보내줬다는 잼버리 현장.X [38] 삭제됨13605 23/08/03 13605
484172 [서브컬쳐] 되팔이를 방지하는 방법 [25] 길갈10061 23/08/03 10061
484170 [게임] 게임 시네마틱 조회수 TOP 10 [40] 만찐두빵13076 23/08/03 13076
484169 [유머] 테러리스트와 협상 안한다고 했다가 징계받은 미국인 [31] Myoi Mina 12853 23/08/03 12853
484168 [유머] 인생은 대충 살아도 살아진다는 새 [26] Myoi Mina 13689 23/08/03 13689
484166 [유머] 빤스런 중이라는 우크라이나군 근황 [13] Myoi Mina 12781 23/08/03 12781
484165 [유머] 잼버리 조직위, 개영식 온열환자 속출에 "K팝 행사로 에너지 분출해서" [35] 치타10653 23/08/03 10653
484163 [유머] 매형, 아니 형~ 딸아, 아니 며늘아가~ [42] 일신11161 23/08/03 11161
484162 [음식] 한국인 맛있게 먹는 법 [13] 인민 프로듀서11174 23/08/03 11174
484161 [유머] 꼰대 소리 들어도 지켜야 하는 예절 [30] 길갈11236 23/08/03 11236
484160 [유머] 경제는 차갑다(feat 잼버리) [27] 맥스훼인12629 23/08/03 12629
484159 [유머] 지금 한국 상황 [14] 피죤투12695 23/08/03 126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