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20 00:33:38
Name Avicii
File #1 0a6e93fd61b9bc93aaa6f3574d58b479_(1).png (81.3 KB), Download : 202
출처 뉴스
Subject [유머] GS건설 근황




팩트체크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53618?sid=101
채널A
[단독]GS건설, 공사 현장도 무더기 불량 적발
입력2023.07.17. 오후 7:57




83곳중 14곳 검사했는데 13곳 불량

GS가 지은 아파트 들어가신 분들 불안하실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3/07/20 00:38
수정 아이콘
GS만 저러면 차라리 다행이 아닐런지... 다른곳들도 사정 비슷하면... 어딜 믿고 살아야 하나...
카사네
23/07/20 00:42
수정 아이콘
다른곳도 비슷하겠죠... 요즘 하나같이 공사비가 장난아니게 올라가는듯해서 참...
레드빠돌이
23/07/20 00:46
수정 아이콘
사실 정부에서 불량 잡아낼려고 맘먹으면 거의 모든 현장이 불량일꺼라...
다들 이정도는 안잡네?하면서 슬금슬금 선을 넘었는데 gs가 너무 많이 넘어버린거죠 크크크
o o (175.223)
23/07/20 00:46
수정 아이콘
지금 28년 된 구축에 28년째 살고 있는데(?) 재건축 말고 리모델링이나 해야겠네요
No.99 AaronJudge
23/07/20 02:29
수정 아이콘
저도 크크크크 35년된 집에 17년째..
샤한샤
23/07/20 08:45
수정 아이콘
이웃들이 피 토할 소리 하지마시고 그냥 건설비를 충분히 지불하고 1대1 재건축을 하자고 하세요 차라리..
워렌버핏
23/07/20 00:52
수정 아이콘
2015년말 2016년 초 철근가격이 바닥이었었죠. 포스코 주가도 죽을 쑬때였습니다.

아파트 철근걱정 되시는분들은 2015 ~ 16년 사이에 공사가 많이 진행됐었던 아파트를 알아보시는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반대로 2021년 6~7월때 철광석가격이 피크였습니다.....(지금은 그냥저냥 평균가정도 하는듯)
23/07/20 01:41
수정 아이콘
이거 맞습니다. 지인이 철강무역해서 완전 팩트
바람돌돌이
23/07/20 08:08
수정 아이콘
포스코는 철근 생산 안합니다. 철근은 현대제철 외 중소 업체에서만 만듭니다.
룰루레몬
23/07/20 08:43
수정 아이콘
올해부터 합니다
바람돌돌이
23/07/20 09:05
수정 아이콘
코일철근이고 용도가 좀 달라요..
23/07/20 16:34
수정 아이콘
포스코 철근 생산여부가 중점이 아니라 그정도로 철값이 문제였고 철 자재 구하기 어려웠음을 말하는게 아닐까요 저때 진짜 기존 계약한 업체들 몇달만에 철자재값 오지게 올라서 난항 겪었을텐데
바람돌돌이
23/07/20 16:36
수정 아이콘
용광로만쓰는 포스코는 철광석 영항을 받는데
제강사는 전기로라서 고철값 영향을 받아요. 그 둘은 상관관계가 크진 않습니다..
괴물군
23/07/20 00:58
수정 아이콘
과연 GS만 그럴것인가가 핵심이겠지요
볼리베어
23/07/20 01:12
수정 아이콘
GS가 잘했다는 소리는 절대 아니지만,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 점검에서는 공무원들도 당연히 실적을 내줘야 뭔가 일하는구나 싶게 되는거라
점검 건수보다는 점검된 내용이 실제로 얼마나 위험한 상태인지를 따져보는게 중요할 것 같네요.

혹여 GS 다른 현장들에서도 철근 누락같은게 점검을 통해 밝혀진다하면 정말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듯...
키모이맨
23/07/20 05:48
수정 아이콘
제생각에 실제로 부실한것도 있고

세상 대부분일이 그렇지만 진짜 칼같이 FM으로 하면 걸리는데 크게 상관없이or별 쓸데없이 살짝 벗어난거정도는 봐줄만한데
이번에는 백퍼 칼같이 FM으로 봤을거라 저 정도 숫자가 나온것도 있고 그럴거같아요 크크
맘먹고 칼같이 FM으로 털면 사실 안 털리는데는 없겠죠
옥동이
23/07/20 08:12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특히 안전 같은건 에프엠으로 보면 안걸릴수가 없어서..
Janzisuka
23/07/20 01:22
수정 아이콘
gs 아파트 어떤거지
당근케익
23/07/20 01:40
수정 아이콘
그냥 잘 지어진 옛날 아파트들 재개발 말자...
의문의남자
23/07/20 01:58
수정 아이콘
이게 물류센터에서 일하는 입장에서한달에 한번 안전점검 나오는데, 이걸 딴지건다고? 싶을정도로 까다롭게보면 까다롭게 보더라구요. 무슨 전등갓이 전등보다 높아서 위험하다. 바꿔라. 예? 전등이 8미터 천장에 있는데요.
커터칼도 안전용 커터칼써라 일반용은 쓰지말라 하면서 점수를 깍더라구요. 안전용 커터칼은 또 첨봣네용.

그래서 단순히 걸렷다로 따지기보단 뭐가 걸린건지가 중요하다봅니다.

근데 14곳중 13곳이라니;;;
No.99 AaronJudge
23/07/20 02:28
수정 아이콘
아니 이게 뭔
곰투가리
23/07/20 03:5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게 사실이면 면죄부를 주는 행위죠.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저 항목 중 안전 관련은 작업안전 관련이고 이건 노동부가 와서 털면 삼성도 탈탈 털립니다.
현재 중점적으로 봐야할 건 시공 항목인데
본문대로 내용이면 크리티컬한 하자가 없다는 뜻이죠.

오히려 털었는데도 본문 처럼 나왔다면 더 이상해요.
너무 적고, 중대한 항목은 하나도 없네요
겟타 엠페러
23/07/20 06:16
수정 아이콘
허씨가 책임을 지고 감옥에 가는 엔딩이 보이는군요
도라지
23/07/20 07:18
수정 아이콘
나머지 하나가 왜 안걸렸는지가 더 궁금하네요.
커트라인에 딱 맞은건지…
Pinocchio
23/07/20 08:31
수정 아이콘
블라인드에서 호언장담하던 그 사람은 지금 어떤 심정일까요?
서든2 폭풍전야처럼 계속 기억될거 같은데 크크
겨울삼각형
23/07/20 09:10
수정 아이콘
안걸린 한곳은 어디지??
중상주의
23/07/20 09:16
수정 아이콘
건설 시공안전점검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군요.. 저런 건 예를 들어 개구부에 난간대 설치만 안해도 지적사항으로 나옵니다. 14곳 중 13곳이 상태 불량한데 고작 2곳만 과태료? 나머지 11곳은 뭐죠? 진짜 심각한 문제면 공사중단부터 해야죠. 13곳이 심각한 문제인데 2곳만 과태료 부과하고 만 거라면 국토부의 직무유기인거고.
달빛기사
23/07/20 09:19
수정 아이콘
문제는 분양 받은 사람들만 고통이라는거..
Emas Parker
23/07/20 09:25
수정 아이콘
위에 철근 가격 댓글에서 볼 수 있듯이 인터넷에서 나오는 정보 90%는 걸러 들어야함
23/07/20 09:28
수정 아이콘
저건 각잡고 세무조사 나오는거랑 똑같아요.
이번에 강사들 털릴때 다들 안걸릴 수가 없다고 생각하셨을건데 그런 느낌입니다.

그런데 안 걸린 1곳이 있다니 진짜 엄청나네요
23/07/20 10:22
수정 아이콘
자이가 재건축 시장에서 이미지 선호도 1위라고 알고 있었는데...
제 지인이 관련된 곳도 얼마전에 자이로 건설사 결정된 걸로 알고 있는데 거기 발칵 뒤집어졌겠네요
탑클라우드
23/07/20 11:53
수정 아이콘
자이가 진짜 이미지 탑이었는데... 이래서 잘 나갈 때 더 잘해야 한다는 생각이...
모두가 쉽게 헤이해지거든요.
바람돌돌이
23/07/20 16:38
수정 아이콘
옥상 안전펜스 미설치가 부실시공의 사례는 될수없죠. 공사안전에 문제라 카테고리가 다르죠. 철근 누락, 시방서대로 시공하지 않은거 콘크리트 강도와 두께 같은걸 조사한걸 알려줘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3687 [기타] 결혼하실 분들, 부모님께 1억씩 더 달라고 하세요. [44] VictoryFood17464 23/07/27 17464
483686 [LOL] 너의 소원은 이루어졌다 [6] 졸업7707 23/07/27 7707
483685 [LOL] 너무 속상한 울프 [13] 카루오스10626 23/07/27 10626
483684 [기타] 지난번 악어를 목격했었다는 경북 영주에서 이번엔.. [29] 아롱이다롱이12269 23/07/27 12269
483683 [기타] z시리즈 사용자가 삼캐플을 어서 가입해야 하는 이유 [14] Lord Be Goja9278 23/07/27 9278
483682 [동물&귀욤] 영주시에서 목격됐다는 악어(?)근황.jpg [15] valewalker9695 23/07/27 9695
483681 [기타] 드디어 라데온의 패시브 스킬이 발동하는건가요? [16] 곰돌곰돌파트나7116 23/07/27 7116
483680 [유머] 벌써 나온 슈카월드 예상주제 [21] 졸업12689 23/07/27 12689
483679 [기타] 한국에도 유행중인 골판지(feat 현대차) [29] 꿀깅이14011 23/07/27 14011
483678 [기타] 김정은 근황 (feat. 국군 비상) + 주한 러시아대사관 페이스북의 도발 [45] 아롱이다롱이14430 23/07/27 14430
483677 [기타] 이게 한국에 왜있나싶은 자동차 [54] 정공법15009 23/07/27 15009
483676 [게임] 다크 앤 다커 근황 [15] 이호철11410 23/07/27 11410
483675 [기타] GPT4 코드 인터프리터가 생겼다고하네요 [11] 졸업8159 23/07/27 8159
483674 [기타] 스크류바에 적혀있던 의외의 경고문 [22] 쎌라비12831 23/07/27 12831
483673 [기타] 상온 초전도체 이슈 [41] 유리한14134 23/07/27 14134
483672 [기타] 고려대,상온 1기압 작동 초전도체 발표 [29] Lord Be Goja15026 23/07/27 15026
483670 [유머] 차량용 냉장고 용량 근황.jpg [15] VictoryFood11447 23/07/27 11447
483669 [유머] 결혼 준비하면서 의문이 든 웹툰 자까.jpg [56] 캬라16014 23/07/27 16014
483668 [LOL] 플래티넘은 인싸들 티어 [14] Lord Be Goja9152 23/07/27 9152
483667 [기타] 호주 하늘에 나타난 기현상 [59] 카루오스13358 23/07/27 13358
483666 [스타1] 오늘자 이시아 유튜브 마지막 부분 [14] 로켓12642 23/07/27 12642
483665 [기타] X) 16년 사용한 계정을 앗아간 X는 한 발 물러섰다 [4] 타카이9399 23/07/27 9399
483664 [유머] 대협의 차에 독을 탔소. [18] 카루오스9543 23/07/27 95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