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23 09:57:24
Name 피죤투
File #1 c0e151237d79c22bd5d15542d05ff457.png (11.7 KB), Download : 119
File #2 33f7c1c7915a93b461234fcff913d987.png (36.4 KB), Download : 100
출처 스파이더맨
Subject [서브컬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흥행 추이 근황 feat인어공주 (수정됨)




위가 스파이더맨
아래가 인어공주


고작 이틀이지만 혹평 받은 인어공주랑 비슷해서 팬들은 이번에도 흥행 실패될까 떠는중

평가가 아무리 좋아도 애니라 그뭔씹 엔딩일지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3 09:59
수정 아이콘
1편도 그렇게 명작이라고 소문났지만 백만도 못 찍었으니....
CastorPollux
23/06/23 10:00
수정 아이콘
엘리멘탈이 있어서...아이들은 다 거기로..
시린비
23/06/23 10:10
수정 아이콘
애니 스파이더맨 : ㅠㅜ 한국에서 성공하기 힘들다
빼사스
23/06/23 10:11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재미있어도 성공하기 힘든 현실 ㅠ_ㅠ 애니메이션이라고 하면 유치한 건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 탓인지도.
덴드로븀
23/06/23 10:14
수정 아이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4633694/?ref_=bo_se_r_2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DOMESTIC (49.5%) $190,241,310
INTERNATIONAL (50.5%) $194,015,620
[WORLDWIDE $384,256,930]

[한국 누적관객수 723,450명]
2018-12-05 ~ 2019-01-15
모나크모나크
23/06/23 10:15
수정 아이콘
1편만 본 상태인데.. 애들이 좋아하긴 좀 난해할 수도 있겠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3/06/23 10:18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에서 인어공주 pc를 나쁜 pc, 애니 스파이더맨 pc를 착한 pc로
말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렇게 만들면 우리도 pc 안 싫어한다니까? 라고 말했는데
둘 다 흥행에 실패하면 우리나라는 그냥 pc적 요소를 싫어하는 걸로 결론 나려나?
덴드로븀
23/06/23 10:24
수정 아이콘
그냥 한국 영화관람객들이 냉정한거죠. 크크

1. 인어공주 : 기대는 좀 했었는데 여주도 별로 안 예쁘고, 뉴스에서도 별로라고 하니 별로인것 같음. 평도 별로네? 안봄
2.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시리즈 : 이거 뭔 영화야? 안봄
티타임
23/06/23 10:36
수정 아이콘
블랙팬서도 800만 나왔고 겟아웃도 미국 제외 세계 1위 흥행으로 압니다.

명백한 반례를 보여주면 됩니다.
23/06/23 12:10
수정 아이콘
그걸 나누는 기준이 작품을 잘 만들었냐 라는건데 애초에 작품성이랑 흥행이 꼭 비례하지 않으니까요.
23/06/23 15:02
수정 아이콘
본 댓글하고 상관없이 개인적인 사견인데 딱히 인종차별이나 pc하고 상관없이 일반적인 흑인여성에 대해 동아시아에서 성적 매력을 못느끼는게 크지 않나 싶어요.

서구권에서 동양남성들에게 성적 매력 못느낀다고 하는 것처럼요.
23/06/23 10:20
수정 아이콘
애초에 전작흥행이 안좋지않았나요
2편이라 뒤집기가 힘들어보여요
Rorschach
23/06/23 10:24
수정 아이콘
보통 전작이 진짜 잘 만들었음에도 흥행하진 못했던 작품이 후속작에서 터지려면, 전편이 나중에라도 입소문으로 보는 사람이 많았어야 하는데 이 작품이 딱히 그랬을 것 같진 않습니다. 그러니 결국 전작 본 사람들만 온다고 하면 애초에 흥행가능성이 크진 않았다고 봐요.

개인적으로 1편은 2010년대 이후로 나온 히어로무비들 중에서 재미면에서는 첫 순위로 뽑는데다 2편도 그에 못지않게 괜찮아서 저조한 흥행이 좀 아쉽긴 합니다
23/06/23 10:28
수정 아이콘
1편이 훨씬 더 재밌었어요 개인적으로는
스위치 메이커
23/06/23 10:28
수정 아이콘
너무 걱정할 거 없는게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작품들 중에서 유일하게 아카데미 타기도 했고 흥행 성적도 나쁘지 않아서...
23/06/23 10:30
수정 아이콘
완전 유아 수준이 스토리를 따라가기엔 좀 어렵죠. 근데 워낙 연출이랑 작화가 코믹북+영화의 새로운 장르를 여는 것 같은 예술의 경지라 조금씩 입소문 타지 않을까 싶네요.
23/06/23 10: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국내에서 애니는 어린이 자녀를 둔 가족관객 아니면 매니아 시장인데
이 영화는 무려 2시간 반짜리라 가족관객은 포기해야되고
국내에서 미국만화 매니아층은 판이 작아서(마블 좋아한다하면 보통 MCU 얘기고 이건 따로 노는 느낌) 애초에 한계가 있었고

그리고 그 매니아들만 본건데도 국내는 평가가 살짝 미묘합니다. 저도 1편은 극장에서 다회차 관람하고 집에서도 주기적으로 자주 볼정도로 정말 좋아하는 작품이고 그래서 이번편도 기대를 많이 했는데 이번편은 여러가지 이유로 실망을 많이 했어요
(개인적으로 이번달은 트랜스포머와 플래시를 더 재밌게 봤네요)
23/06/23 10:31
수정 아이콘
스파이더맨 애니는 솔직히 취향타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흥행하기는 쉽지않죠..
아이폰12PRO
23/06/23 10:40
수정 아이콘
전 이게 딱 젤다 야숨 - 왕눈 느낌이었습니다

2편이 더 잘만든건 알겠는데
그래봐야 1편이라능 거인 어깨위에서 출발해서 그런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오히려 신선함이라는 측면에서는 아쉬웠죠. 저도 여러모로 1편이 좀 더 재밌었다는 느낌입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3/06/23 10:40
수정 아이콘
일본은 생각보다 인어공주 흥했더군요?
아케이드
23/06/23 11:21
수정 아이콘
스파이더맨 애니가 우리나라에서 흥하기 힘든 데다가 더불어 엘리멘탈이랑 같이 개봉해서 그쪽으로 아동관객을 많이 뺏겼죠
기사조련가
23/06/23 11:23
수정 아이콘
멀티버스를 아이들이 어떻게 ㅠㅠ
만찐두빵
23/06/23 12:07
수정 아이콘
이제 잘만들면 흥행된다는 소리도 그만 나올때가 된듯 하네요. 지금 흥행 기록보면 그냥 네임벨류 있는 영화들만 흥하고 있어요
23/06/23 13:29
수정 아이콘
1편을 훨씬 재밌게봤네요
블레싱
23/06/23 14:10
수정 아이콘
너무 채도높은 색에 번쩍번쩍 거려서 좀 매니악한 느낌이 들더군요. 물론 저는 좋았지만요...
크루개
23/06/23 14:24
수정 아이콘
팬보이와 아닌 자들의 선을 긋는 느낌이 강해요
놀라운 본능
23/06/23 14:40
수정 아이콘
잘만들었고 감독이 천재라고 생각하지만
보기 힘들고 어렵기도 한데 너무빨라서
제가 늙어서 그렇다고요? 맞습니다
23/06/24 19:21
수정 아이콘
저같은 사람은 소수일거 같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프레임 때문에 보고 싶은 생각이 안 듭니다.
빈 프레임을 채워넣는 능력이 부족해서인지 저한테는 애니메이션으로 안 보이고 정지화상을 나열한것으로 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651 [LOL] 징동말고 다 이긴팀 vs 징동을 이긴 팀.jpg [6] Bar Sur8514 23/06/24 8514
481650 [기타]  바그너 선봉대 모스크바 지역 진출.jpg [16] dbq12310978 23/06/24 10978
481649 [기타] 현 시간(?) 푸틴.jpg [3] 깐프12828 23/06/24 12828
481648 [유머] ??? : 야 너네들 눈빛이 왜그러냐?? [7] Starlord10561 23/06/24 10561
481647 [기타] 모스크바를 탈출하는 러시아 런닝맨스키들 [16] ramram13402 23/06/24 13402
481646 [유머] 현재 우크라이나군 상황... [3] 우주전쟁12363 23/06/24 12363
481645 [기타] 반군이 장악한 로스토프 근황 [10] 삭제됨11742 23/06/24 11742
481644 [기타] 현재 바그너군 선봉대와 모스크바 거리 체감하기.jpg [8] dbq1239975 23/06/24 9975
481643 [기타] 러시아 바그너.. 한타 준비중 [3] 한사영우9392 23/06/24 9392
481642 [LOL] 혼란을 틈타 팸코/lol에 등판한 KT 히라이(hirai) 감독님 [6] Lord Be Goja8459 23/06/24 8459
481641 [기타] 6월 25일 새벽... 수도 입성? [54] 삭제됨13839 23/06/24 13839
481640 [유머] ai가 예측한 푸틴과 프리고진 [4] 카루오스13279 23/06/24 13279
481639 [기타] 바그나군-러시아군 첫번째 교전 발생 및 진군 현황 업데이트.jpg [41] dbq12314187 23/06/24 14187
481638 [기타] 프리패스 수준으로 진격중인 바그너 용병단의 현 위치 [2] 아롱이다롱이9917 23/06/24 9917
481637 [기타] 한반도로 보는 러시아 쿠데타군 진격 속도 [8] 카루오스10333 23/06/24 10333
481636 [기타] 러시아 반란군 쾌속 진군의 비결 [12] 그10번12025 23/06/24 12025
481635 [기타] 이 상황에서 푸틴 돕겠다고 나서는 사람... [2] 우주전쟁9000 23/06/24 9000
481634 [기타] 와그너가 모스크바에 가까워지면... [10] 닉넴길이제한8자10031 23/06/24 10031
481633 [기타] ??: 그래서 어디로 붙습니까 우린? [13] 길갈9007 23/06/24 9007
481632 [기타] 벨라루스 민주군 : 이 기회에 벨라루스를 러시아로부터 해방시키자 [14] 아롱이다롱이10024 23/06/24 10024
481631 [유머] 러시아 바그너 그룹 쿠데타의 뒷배.gisa [16] VictoryFood14410 23/06/24 14410
481630 [기타] 비공식) 최소 150대의 전차가 모스크바로 진격중입니다.jpg [46] dbq12317617 23/06/24 17617
481629 [기타] 어차피 정답이 없는 문제인 것 같은데?... [8] 우주전쟁10165 23/06/24 101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