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17 23:39:55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76.6 KB), Download : 46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꼰대 같지만 의외로 팩트인 것들.jpg


꼰대 같지만 의외로 팩트인 것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오루
23/06/17 23:42
수정 아이콘
그냥 지구는 둥글다 급 진리들..ㅜ
사비알론소
23/06/17 23:46
수정 아이콘
그걸 우리는 꼰대들이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6/17 23:48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다 맞말임 ㅠㅠ
그게무슨의미가
23/06/17 23:48
수정 아이콘
어느 하나 틀린 말이 없네요.
23/06/18 00:17
수정 아이콘
이 모든말에 공감이되면 나이든거임 크크크
페로몬아돌
23/06/18 00:23
수정 아이콘
공부빼고는 뭐 다 맞말 크크크 회사 들어오면 뭐 공부 안하나 크크크크
Easyname
23/06/18 00:35
수정 아이콘
공부가 제일 쉽다는 말은 대학원 가서 해야..
23/06/18 00:41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한텐 힘내란말 외엔 어떠한 조언이나 명언도 필요가.........크크크크
김유라
23/06/18 01:0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크크. 공부는 쉽다기보다는, 하위 백분위를 챙겨주는 종목(?)이 공부가 유일하죠.

예체능은... 당장 가장 선수풀 넓다는 KBO 프로야구마저 40년동안 1군 무대 밟아본게 4000명이 안되니까요.
한 해에 100명 꼴인데, 당장 한국 고교야구 등록 학교가 95개. 용병 제외한다치면 학교에서 가장 야구 잘하는 딱 한 명만 프로 데뷔 가능한거죠. 그리고 그중의 하위 30% 정도는 10경기도 못나오고 은퇴, 하위 70% 정도는 규정이닝/타석도 못채우고 은퇴하죠.
23/06/18 00:42
수정 아이콘
꼰대21.com ㅠㅠ
No.99 AaronJudge
23/06/18 01:07
수정 아이콘
진짜요…?
자리끼
23/06/18 02:05
수정 아이콘
교복, 공부는 잘 모르겠네요
abyssgem
23/06/18 03:25
수정 아이콘
어디 내놔도 꼰대력 빠지지 않는 40대 꼰대입니다만 별로 팩트가 안 보이는데요..

경험상 그럭저럭 맞는 말이라고 할 정도는 되는 것들도 있긴 하지만, 애초에 정답이 없는 주관적 견해들을 팩트라고 써 놓으면 어쩌잔 건지.

1. 그런 걸 외모 품평질이라고 한다. 굳이 품평질을 하자면, 요즘 아이들은 발육이 좋아서 교복 입을 때 예쁘면 더 좋은 사복 입을 때 더 예쁠 수밖에 없다. 아직 학생 신분인 아이돌 많은데 그들이 교복 입었을 때와 무대의상 입었을 때를 비교해보라.
2. 전혀. 오히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치 사람 속은 모른다'는 격언을 추천함.
3. 대충 맞는 소리긴 한데 그런 건 개인의 선택이지 팩트라고 하진 않음.
4. 전혀. 학창시절에 입었던 교복 생각만 해도 끔찍한데? 한번도 그리워 한 적 없음.
5. 전혀. 각자 적성에 맞는 일이 따로 있다. 공부가 제일 쉬웠다고 하는 사람은 그냥 지나고 보니 공부가 적성에 맞았던 것 뿐.
6. 그나마 팩트에 가깝다.
7. 그나마 팩트에 가깝다.
8. 치킨의 노예가 아니라서... 배달음식은 그냥 참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줄이는 게 좋다고 봄. 도저히 못 참겠으면 먹어야지 어쩌나요.
9. 영원한 사랑을 어떻게 정의하는 지 모르겠지만 사람은 결국 모두 죽는다는 측면에서는 영원한 사랑이 존재하지 않는 게 맞고,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 사랑이 영원한 사랑이라면 그건 충분히 존재하지 않을까? 아직 죽어본 적이 없어 단언은 못하겠지만 일단 난 지금 사랑하는 사람들을 죽을 때까지 사랑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산다. 그리고 위 글 쓴 사람도 영원히 살아본 것은 아닐텐데 저걸 어떻게 단언하지?
23/06/18 05:25
수정 아이콘
100% 다 동의는 아니더라도 본글이 팩트가 아니라는 것이는 함께하기 때문에.. 일단 보충하고 싶어서요

6. 건강은 젊을 때 뿐 아니고 어릴때도 늙어서도 항상 관리해야한다
7. 인사는 적절하게 때와 장소에 따라서 잘 해야 한다

꼰대의 정석 중의 하나는 의견을 팩트라고 하는 거죠
응 아니야
23/06/18 11:59
수정 아이콘
역시 꼰대시네요
리드셀
23/06/18 16:09
수정 아이콘
꼰대맞는듯
욕심쟁이
23/06/18 17:48
수정 아이콘
저는 abyssgem 생각에 대부분 동의합니다.
일모도원
23/06/18 05:32
수정 아이콘
요즘 들어 소화가 잘 안됨, 기름진거 먹으면 흑흑..
마술사
23/06/18 08:19
수정 아이콘
공부가 제일 쉽다는사람은 공부 안해본사람임..
초중고때야 당연히 그 나이 수준에 맞는 공부를 했으니 성인된다음에 생각해보면 쉬웠겠지만
성인된다음에 공부하는 대학원, 공무원시험, 의대전문의과정 등 해보면 쉬운게 없어요
23/06/18 13:24
수정 아이콘
공부 쪽으로는 그래도 나름대로 해볼 만큼 해 본 사람인데, 저는 공부가 제일 쉬운 거 맞다고 봅니다. 공부는 그냥 혼자서 열심히 하면 그만인데, 학교 졸업하고 사회 나가서 여러 사람들과 일하고 가족 꾸려 생활하다보면,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사람들 관리하고 걱정거리 없이 화목한 가정을 꾸리고 부양하는 것이 제일 어렵습니다. 그냥 혼자서 프리랜서로 독고다이로 일하는 사람이라면 좀 다를 수 있어도.
마술사
23/06/18 19:27
수정 아이콘
공부쪽으로 해봤다는게 어떤걸 해보신걸까요?
스토너
23/06/18 09:22
수정 아이콘
공부가 제일 쉽긴 했어요. 정확히는 초중고급 공부...
그 이후부터는 공부한다고 저렇게 수많은 전문가가 연구해서 체계적으로 학습자료 만들어주고 연습문제 만들어주고 물어볼만한 곳이 수두룩한 분야가 없더라구요ㅠ (논문이 제일 고통스러웠습니다)
토스히리언
23/06/18 11:19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학창시절 공부야 풀이와 답이 있고 친절한 책과 선생이 있죠
근데 성인시점의 공부에선 답을 내도 이게 답인지도 모르겠고 심지어 문제가 뭔지조차 모르지만 풀어내기 위해 문제를 찾아야할 때가 있죠
미카엘
23/06/18 11:34
수정 아이콘
다 동의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654 [서브컬쳐] 유희왕 역사상 최흉 최악의 덱의 근황 [20] 길갈10311 23/06/25 10311
481653 [방송] 모스크바에 간 무한도전 팀 [3] 물맛이좋아요10893 23/06/25 10893
481652 [기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가장 중요한 순간 [25] 고세구15099 23/06/25 15099
481651 [LOL] 징동말고 다 이긴팀 vs 징동을 이긴 팀.jpg [6] Bar Sur8547 23/06/24 8547
481650 [기타]  바그너 선봉대 모스크바 지역 진출.jpg [16] dbq12311013 23/06/24 11013
481649 [기타] 현 시간(?) 푸틴.jpg [3] 깐프12886 23/06/24 12886
481648 [유머] ??? : 야 너네들 눈빛이 왜그러냐?? [7] Starlord10574 23/06/24 10574
481647 [기타] 모스크바를 탈출하는 러시아 런닝맨스키들 [16] ramram13472 23/06/24 13472
481646 [유머] 현재 우크라이나군 상황... [3] 우주전쟁12396 23/06/24 12396
481645 [기타] 반군이 장악한 로스토프 근황 [10] 삭제됨11791 23/06/24 11791
481644 [기타] 현재 바그너군 선봉대와 모스크바 거리 체감하기.jpg [8] dbq12310011 23/06/24 10011
481643 [기타] 러시아 바그너.. 한타 준비중 [3] 한사영우9446 23/06/24 9446
481642 [LOL] 혼란을 틈타 팸코/lol에 등판한 KT 히라이(hirai) 감독님 [6] Lord Be Goja8508 23/06/24 8508
481641 [기타] 6월 25일 새벽... 수도 입성? [54] 삭제됨13861 23/06/24 13861
481640 [유머] ai가 예측한 푸틴과 프리고진 [4] 카루오스13336 23/06/24 13336
481639 [기타] 바그나군-러시아군 첫번째 교전 발생 및 진군 현황 업데이트.jpg [41] dbq12314271 23/06/24 14271
481638 [기타] 프리패스 수준으로 진격중인 바그너 용병단의 현 위치 [2] 아롱이다롱이9980 23/06/24 9980
481637 [기타] 한반도로 보는 러시아 쿠데타군 진격 속도 [8] 카루오스10394 23/06/24 10394
481636 [기타] 러시아 반란군 쾌속 진군의 비결 [12] 그10번12090 23/06/24 12090
481635 [기타] 이 상황에서 푸틴 돕겠다고 나서는 사람... [2] 우주전쟁9033 23/06/24 9033
481634 [기타] 와그너가 모스크바에 가까워지면... [10] 닉넴길이제한8자10065 23/06/24 10065
481633 [기타] ??: 그래서 어디로 붙습니까 우린? [13] 길갈9037 23/06/24 9037
481632 [기타] 벨라루스 민주군 : 이 기회에 벨라루스를 러시아로부터 해방시키자 [14] 아롱이다롱이10081 23/06/24 100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