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09 08:46:55
Name Leeka
File #1 666f797994d7b.png (20.9 KB), Download : 103
출처 https://m.etnews.com/20230608000185
Subject [기타] 애플페이 교통카드 지원 & 신규 카드사 관련 근황



- 애플페이 지원에 국민, 신한, 우리.  3대 금융지주가 애플에 모두 애플페이 관련 사업참여 의향서를 제출하고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합니다.

- 이야기가 많이 나온 티머니(교통카드) 지원 관련,  WWDC 발표 이후 애플 개발자 키트에 tmoney 베타가 추가되었으며
여러 썰들을 고려하면 아이폰 15 출시 시점에 지원한다는게 정설이긴 합니다. (현재 필드 테스트 진행중이라는 기사들도 있는 정도)


아마도 이번 아이폰 15는 국민, 신한, 우리의 애플페이 지원 & 티머니 교통카드 지원과 같이 출격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09 08:48
수정 아이콘
신카로 교통카드 지원은 안되는거죠?
23/06/09 08:55
수정 아이콘
삼페도 T머니의 결제를 신카로 하는 구조라서, 아이폰도 신카로 교통카드 지원이 된다고 보셔도 될걸요?

삼페는 신카에서 교통비 할인 혜택 받을 수 있어요.
*alchemist*
23/06/09 08:5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빨리 들어오네요 덜덜
웜뱃은귀여워
23/06/09 08:53
수정 아이콘
삼성카드라서 웁니다…
기기괴계
23/06/09 08:53
수정 아이콘
리브메이트야 우리 오래 가자!!!
리얼월드
23/06/09 09:10
수정 아이콘
리브메이트야! 유효기간 늘려줘!!
23/06/09 09:17
수정 아이콘
KB가 이 댓글을 싫어합..
츠라빈스카야
23/06/09 08:56
수정 아이콘
삼성카드는 아무래도 삼성페이랑 같은 집안이라 아직도 안하는 모양이군요..
23/06/09 09:00
수정 아이콘
우리카드 카정포 할인만 애플페이에서 지원해주면 전 갈아탈거에요. 갤럭시 배터리 신경쓰는거 너무 싫어서 엉엉
천재여우
23/06/09 09:06
수정 아이콘
많이 되는 거야 좋겠지만 이러면 수수료는 누가 감당할려고
23/06/09 09:10
수정 아이콘
24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삼성전자와 2015년 8월11일 ‘삼성페이-앱카드 서비스 운영 협약’을 맺은 6개 카드사(신한·KB·삼성·현대·롯데·농협)는 소비자가 삼성페이에 등록한 카드로 결제할 때마다 인증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증비용은 건당 금액은 3원
//

삼페는 결제 수수료가 아니라서 그렇지 '인증 수수료'가 건당 부과였기 때문에.. 어차피 삼페라고 카드사가 수수료 부담 안한게 아닙니다..
이게 언론을 잘 만져서 그런지 삼페는 카드사에서 수수료 부담을 안하고 있다고 생각하던...

삼페는 '삼성이 수수료를 받는게 아니라 보안 인증 업체가 수수료를 받고'
애플은 '애플이 수수료를 받는'... 게 근원적인 차이긴 한데

카드사 기준으론 삼페나 애페나 수수료 내는건 똑같습니다..
VictoryFood
23/06/09 09: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혀 다르죠 삼성페이는 삼성이 안 받는데요.

게다가 인증수수료도 건당 3원이면 10,000원 결제시에 0.03% 인데 애플페이는 10,000원 결제시에 0.15%라 15원 수수료 나가잖아요.

10만원 결제면 0.003%와 0.15% 구요.
23/06/09 09:17
수정 아이콘
애플페이가 왜 150원이 나가나요?....... 1.5%나 애플이 먹을수가 없는데요..

애플페이 최대가 0.15%일텐데 왜 갑자기 1.5%가 튀어나오는지..
지옥천사
23/06/09 10:25
수정 아이콘
애플페이도 FIDO 인증 비용을 누군가가 납부해야할텐데, 이 비용은 애플이 부담하고 있는건지도 궁금하네요.
결국 애플페이 덕분에 삼성페이도 수수료 부과하는 모델로 갈텐데, 다른 카드사들도 모두 순차적으로 애플페이를 도입한다고 보면, 가장 먼저 도입한 현대카드를 제외하고는 카드사들은 별다른 이익없이 비용만 발생할 수도 있겠네요..
쪼아저씨
23/06/09 09:23
수정 아이콘
건당 3원이면 (결제금액에 따라 다를 수는 있겠지만) 수수료 보다는 엄청 저렴하겠네요.
삼성페이도 애플페이 수수료 받는것 때문에 0.1~0.15% 수수료 받을 거라는 기사를 봤는데, 수수료를 받아도 건당 3원도 여전히 받을지 궁금하네요.
22년도 일평균 1853억2000만 원, 이용 건수는 717만3000건 사용했다는데, 3원 기준으로 대략 계산하면 연간 78억 정도이고, 0.15% 적용하면 1014억 정도군요.
23/06/09 11:06
수정 아이콘
3원이 생체인증 수수료라서, 삼성이 먹는게 아닐겁니다.
악튜러스
23/06/09 10:16
수정 아이콘
단말기 제조사 입장에서는 완전 다른게 맞네요
OcularImplants
23/06/09 09:08
수정 아이콘
현대카드는 죽쒀서 남주는 꼴이네요..
23/06/09 09:19
수정 아이콘
죽쑨다고 하기엔 애플페이덕에 자사 카드 가입자수가 늘었죠.

아예 안쓰는 수준으로 지나가면 해당 가입자의 연회비는 남는 장사되는거고, 선점효과만 먹어도 나쁘진 않습니다. 오히려 쓰면 쓸수록(?) 수수료 문제가 있으니 적당한 선에서 가면 이득이고.

일단 혁신(?)의 카드사라는 이미지를 또 한번 잡아냈다는거도 생각해볼만한 점이죠
이경규
23/06/09 09:31
수정 아이콘
신카 혜택 구려서 체카 뽑는 비율이 높다던데 결과가 어떨지 궁금하군요
23/06/09 09:47
수정 아이콘
신한카드나 우리카드 들어오면 메리트가 있겠네요.
스웨트
23/06/09 10:40
수정 아이콘
신한 더모아 할껄.. 이란 후회를 또 하게 만드네..
23/06/09 10:45
수정 아이콘
현대(애플페이), 삼성(삼성페이), 우리카드 있는데 잘 됐네요. 우리카드 써야겠다.
살좀빼자
23/06/09 11:34
수정 아이콘
어디든 항상 빠지는 하나카드 너란녀석…
이신아
23/06/09 12:45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 애플페이 쓸만한가요?
삼성페이때문에 억지로 갤럭시 쓰고 있는데..
Gorgeous
23/06/09 13:43
수정 아이콘
당연히 삼페보단 불편합니다. 그래도 가맹점 속도가 꽤 빠르게 늘어나는거 같긴 하더라구요. 이 부분은 체감이 됩니다. 지금 가맹점 늘어나는 속도보면 교통카드 도입쯤엔 쓸만하다 얘기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3/06/09 14:06
수정 아이콘
주카드를 하나에서 신한으로 바꾼 이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527 [서브컬쳐] 1년 3개월만에 공개된 이세계 아이돌 신곡 LOCKDOWN [15] Skyfall11224 23/06/22 11224
481526 [유머] 짬의 차이가 느껴지는 사진 [15] 메롱약오르징까꿍17778 23/06/22 17778
481525 [유머] 속이 시원해지는 노트북 청소 [9] TQQQ11591 23/06/22 11591
481524 [유머] 노빠꾸 탁재훈 - 다소 충격적인 김이서 치어리더 엄마의 나이 [9] Davi4ever16763 23/06/22 16763
481523 [유머] 닭갈비축제 드론쇼 [9] 카루오스13810 23/06/22 13810
481522 [유머] 아래 선행매매로 돈 번 유튜버가 쓴 책 [25] 맥스훼인14163 23/06/22 14163
481521 [게임] ??? : 엑시엑에 비해 엑시스가 비싼거 같아요. [14] Leeka9880 23/06/22 9880
481520 [기타] 안전은 쓰레기 같은 것.suicide [43] 이호철13943 23/06/22 13943
481519 [게임] 이것이 스타필드다! 희망편과 절망편 [39] 물맛이좋아요12435 23/06/22 12435
481518 [기타] 로봇같은 간호사 머리채 붙잡을뻔함 [76] 12315076 23/06/22 15076
481516 [유머] 그 동안의 허접한 현피는 가라! 진짜가 온다. [62] 페스티16875 23/06/22 16875
481515 [기타] 경북대 최근 2년 근황 [40] Leeka15228 23/06/22 15228
481514 [유머] 그 동안의 허접한 드라마는 가라! 진짜가 온다. [23] Leeka12696 23/06/22 12696
481511 [기타] BING에서 일본 여성을 검색하려면... [7] 로켓14316 23/06/22 14316
481510 [기타] 왜 1300미터 인증 유리로 4천미터 잠수를 했을까 [22] 츠라빈스카야12538 23/06/22 12538
481509 [음식] 드디어 나온 파이브가이즈 가격 [70] 맥스훼인16182 23/06/22 16182
481508 [기타] ??? "유튜브 보고 주식 따라 사는 사람이 어딨음" [33] 아지매14844 23/06/22 14844
481507 [동물&귀욤] (대충 갱단의 대모가 마트 아줌마인 클리셰) [9] 길갈10693 23/06/22 10693
481506 [게임] ??: 솔까 플스급이잖아 [29] Lord Be Goja16446 23/06/22 16446
481505 [게임] 여론박살났던 우마무스메 한국서버 근황 [27] Dunn14076 23/06/22 14076
481504 [기타] 농심이 새우깡 후속으로 출시하는 제품 [28] 우주전쟁14636 23/06/22 14636
481503 [기타] 한국에서는 안먹힌 오마카세 [58] Lord Be Goja16424 23/06/22 16424
481502 [유머] 계속된 김민재 이적 기사땜에 화가난 일본인 [8] 여기11971 23/06/22 119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