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5/03 15:36:26
Name 일신
File #1 8f96e03aee1597b082981eeab0521346.jpg (2.31 MB), Download : 48
출처 개드립
Link #2 https://namu.wiki/w/335%EB%85%84%20%EC%A0%84%EC%9F%81#s-3
Subject [기타] 335년 전쟁 (수정됨)


이왜진?

본문 내용 중 엘랑
=프랑스

왜 그렇게 부르는가?
1. 6주만에 엘리당한 프랑스
2. Elan Vital 이라고 1차대전 프랑스군 교리임.
기관총이 난사당하는 개활지를 착검돌격으로 돌파하게 해서 사상자 많이 냄. 이후 일본 반자이 돌격이나 정신력드립의 시초가 됨

디시 모 갤러리 밈이라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삼각형
23/05/03 15:46
수정 아이콘
엘랑은 엘랑이라서 엘랑인데스
OneCircleEast
23/05/03 15:57
수정 아이콘
이게 네덜란드와 영국의 전쟁이라기보다는 네덜란드와 실리 제도의 전쟁으로 시작되었던거라.... 실리 제도를 지배하고 있던 왕당파가 항복 후 해산되어버리자 뭐 딱히 종전을 맺을 주체가 없어져서 그냥 붕 떠있던거죠 본문에 나온 실리제도 지방의회 의장이라는 사람이 총대(?)를 매고 종전을 진행시키기는 했지만 그 사람이 새로이 발견을 한 건 아니고 실리 제도에는 '우리는 아직 네덜란드와 전쟁중이야'라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져오고 있었다고.....
23/05/03 15:58
수정 아이콘
엘-랑이 6-주하다=프랑스가 프랑스하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5/03 16:38
수정 아이콘
?? : 어떻게 6주만에 털려..?
??? : 조선은 3주만에 한양 털렸잖아. 그러고보니 한국은 3일만에 털렸네
닉네임을바꾸다
23/05/03 16: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치만 항복은 안했습니다
엘랑은 정부의 항전의지가 꺾인거라 다르죠...
호이식으로 하면 분열된 정부 국민정신을 못떼서...읍읍
내년엔아마독수리
23/05/03 17:05
수정 아이콘
꼬우면 니들도 런하든가
작은대바구니만두
23/05/03 17:09
수정 아이콘
드골은 했습니다...?
고기반찬
23/05/03 1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엘랑비탈을 그렇게 이해하는건 원본인 포슈의 사상과도 거리가 멀고 심지어 초공세적 교리를 제작한 그랑메종의 사상과도 거리가 멉니다.
"개활지에서 보병의 정면 공격은 불가능하다. 공격 동안에는 적을 화력으로 제압할 전력을 만들기 위한 포병의 역할이 있다." - 1910, 그랑메종

뭐 당대 프랑스 사람들도 오해하긴 했지만요.
23/05/03 19:27
수정 아이콘
아하... 또 하나의 디시발 왜곡자료인가 보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기반찬
23/05/03 19: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왜곡자료라기는 좀 애매한게, 당대 프랑스인도 그렇게 오해해버려서요. 포슈가 강조한 엘랑비탈은 작전술 차원의 것이고 정찰, 화력의 중요성 인지한 상태에서 나폴레옹 시절과 같응 공격정신과 적극성 의지를 강조한거고, 그랑메종의 교리도 포슈의 영향을 받아 작전술 차원에서 기동과 공격을 강조한겁니다.

근데 일단 정신론이라는게 워낙 매력적인데다 1대전 당시 프랑스 장교들도 작전술과 전술을 혼동하고 있었고 그랑메종도 거기에 딱히 제동을 걸지 않았습니다. 좀 거칠게 요약하면 프랑스 장교들이 '적의 약점을 찾아 기동하고 의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공격해라'라는 작전술 교리를 '적을 향해 기동하여 의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공격해라'라는 전술적 차원 교리로 이해해버린 결과 기관총을 향해 착검돌격 어택땅이라는 대참사가 나버린거죠.

근데 뭐 결론적으로 이건 프랑스건 독일이건 영국이건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1대전 초기에는 대동소이한 삽질을 저지른건 마찬가지고, 추후에 참호 돌파 전술을 가장 적극적으로 개발한 것도 프랑스고, 최종적으로 이를 완성시켜 전쟁을 승리로 이끈게(백일전투) 바로 엘랑비탈을 강조한 포슈입니다. 그런데 프랑스가 그 직후 2대전에서 역대급 졸전을 펼치는 바람에 포슈의 유산이 이어지지 못해고 그동안 영미군사학계(특히 리델 하트라던가, 리델 하트라던가, 리델 하트라던가)에서 과소평가되고 있다가 최근 들어서야 프랑스의 전술 발전이 재평가 되고 있는거라, 디씨가 의도적으로 왜곡했다기보단 엘랑비탈에 대한 기존의 통념에다가 디씨식 성향에 맞게 양념을 과하게 뿌린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3/05/03 20:15
수정 아이콘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귀여운호랑이
23/05/03 17:13
수정 아이콘
335년간의 전쟁 동안 수많은 사람이 자연사했죠.
정말 전쟁은 비극입니다.
강동원
23/05/03 18:15
수정 아이콘
헉 형냐 나 머리가 띵했어
23/05/04 11:35
수정 아이콘
그렇게 사상자가 많았던 1,2차 대전도 개전시 사람들 가운데 종전까지 버틴 사람들이 꽤 있었습니다.
헌데 이 전쟁은 개전시 살아있던 사람들은 물론 그 손자대까지 몰살 당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9340 [게임] 4월 한국 모바일게임 매출 랭킹 [41] Heretic14013 23/05/13 14013
479339 [유머] 8살 아들이 개학식에 태권도 도복을 입고 간대요..jpg [32] Myoi Mina 13998 23/05/13 13998
479338 [유머] 빚은 나쁘다는 말이 틀린 이유 [8] 무한도전의삶12574 23/05/13 12574
479337 [서브컬쳐] 한국마사회 근황 [27] 된장까스13813 23/05/13 13813
479336 [기타] AI 필터 기술 근황 [19] 묻고 더블로 가!11777 23/05/13 11777
479335 [유머] 세로드립 [10] 메롱약오르징까꿍10945 23/05/13 10945
479334 [유머] 빛은 파동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19] 메롱약오르징까꿍14067 23/05/13 14067
479333 [유머] 우리 학교의 여장사를 찾습니다 [3] 로즈마리11723 23/05/13 11723
479332 [텍스트] 회계사의 면접 [9] 메롱약오르징까꿍11694 23/05/13 11694
479331 [기타] Ai가 쓴 퓨전무협소설 [24] 밥과글14550 23/05/13 14550
479330 [기타] 알바몬 공고 삭제? +추가 [32] 졸업15932 23/05/13 15932
479329 [게임] [왕눈] 그가 선풍기를 낭비한 이유 [22] OneCircleEast9162 23/05/13 9162
479328 [유머] 뿔난 대머리가 모자를 벗으며 '풍성'이라 한다 [10] LowCat9565 23/05/13 9565
479327 [방송] 80kg 감량 성공했던 사람 근황.jpg [27] Pika4815084 23/05/13 15084
479326 [유머] MCU 각본 짬처리를 하고 있었던 제임스건 [20] 만찐두빵14385 23/05/13 14385
479325 [게임] 철권8 화랑 트레일러 [16] 길갈9710 23/05/13 9710
479324 [유머] 대한민국에서 가장 슬픈 놀이방.jpg [19] 삭제됨13593 23/05/13 13593
479323 [텍스트] 아빠가 헤어진 남친이랑 너무 친하게 지내 [38] 졸업19396 23/05/13 19396
479322 [텍스트] 레딧; 콘텐츠 집필 계약을 모두 잃었습니다. 작가로서 절망감을 느껍니다 [22] 졸업15154 23/05/13 15154
479321 [LOL] T1 PC방 화환 근황.jpg [7] insane9847 23/05/13 9847
479320 [유머] 스타벅스 vs 동네카페 [15] 메롱약오르징까꿍12667 23/05/13 12667
479319 [기타] 구글,픽셀 폴드폰 공개 [35] Lord Be Goja12639 23/05/13 12639
479318 [유머] 뭐 젤다 왕눈이가 나온다고? [20] 길갈10290 23/05/13 102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