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4/25 23:09:19
Name 실제상황입니다
출처 유튜브
Subject [유머] 왜 20대들이 가장 과거를 그리워하는 세대가 되었나?


과거코모리가 된 20대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멍멍이개
23/04/25 23:16
수정 아이콘
20대가 과거를 그리워한다는 건 전혀 모르겠는데...
그 닉네임
23/04/25 23:27
수정 아이콘
저것도 2년전 영상이니
20대보다는 9x년생이 더 적합
RapidSilver
23/04/25 23: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말 좋아하는 채널입니다.
혐오팔이와 자극적 컨텐츠가 범람하는 유튜브에서, 마이너 찌질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분하고 관용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분석하는 채널이라 유니크함과 따뜻함이 모두 녹아있는게 너무 좋습니다. 논문 몇개 가져와서 성별/세대/계층 혐오를 정당화하는 '지적인 척 하는 혐오팔이들'하고 궤가 달라서 너무 좋아요.

근데 개인적으론 이 영상에서 말하는 현상은 지금 20대보단 30대한테 더 와닿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은 듬
실제상황입니다
23/04/25 23:31
수정 아이콘
95년생 정도로 끊으면 맞지 않나 싶습니다
23/04/25 23:28
수정 아이콘
현재가 만족스럽지 않다는거죠.
서쪽으로가자
23/04/25 23:30
수정 아이콘
TV에 20대 컨텐츠가 없다는건 동의하는데, 그들이 과거를 가장 그리워하는 세대라는건 잘 모르겠네요.
제가 20대가 아니라 그런걸까요? (댓글보니 2년전 영상이긴하군요)
23/04/25 23:36
수정 아이콘
역대20대중에선 가장 자신들의 10대를 그리워한다가 맞을 것 같아요.
실제상황입니다
23/04/25 23: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2년전 기준 한국나이로 92~02년생이 20대였죠. 뭐 그렇다고 진짜 02년생까지 다 쳐서 말한 건 아니겠지만요. 빡세게 잡으면 95년생까지고 널널하게 잡으면 그 당시 25살 97년생 정도? 이게 딱 제 동생 나이인데 00년대 중후반~10년대 초중반에 대한 그리움을 공유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리떼
23/04/26 01:37
수정 아이콘
“TV나 컴퓨터 앞에서”, “모두가 함께 공유하는 문화”가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갑자기 사라져버린 것에 대한 반동(?)이라고 봅니다. 그것도 한창 젊을 때요. 사회생활 때문에 여가에 쓸 시간이 사라지기도 전인 애매한 나이 대에 말이죠.
아니, 차라리 30대에 접어들며 직장에 다니다보면 오히려 또 새롭게 공유가 시작되는 몇가지 문화가 생기죠. 예를들어 직장에서의 고충, 회식, 그리고 특히 “육아”요. 그런데 저 유튜브 속 세대들은 그렇다기엔 너무 젊죠.
그런데 저 세대가 20대 초중후반이 되었더니 온갖 공유 취미가 스마트폰과 ott, 그외 기타 컨텐츠의 발달로 파편화되고(요즘 세대는 티비를 안봅니다) 10대까지만 해도 함께 즐기던 문화적 현상이 엄청난 속도로 사라져버립니다. 시청률 30~50%의 드라마나 예능? 그런게 요즘 있나요? 없죠. 그런데 이들이 10대때 한창 가장 열심히 티비를 보던 시절엔 있었죠, 그리고 박지성의 맨유시절도 있었죠. 모두가 새벽에 일어나 맨유경기를 봤죠. 모두가 함께 즐기던 게임? 있었습니다. 출시 초반의 던전앤파이터, 메이플스토리, 특히 서든어택, 그리고 리그오브레전드. 이들과 함께 10대를 보낸 이들에게 이건 사실상 하나의 문화적 현상들이었습니다. 모두가 공유하는 것들… 끼지 않으면 대화에서 소회되어버릴 정도요. 하지만 이제 이들은 슬슬 게임을 놓아줄 나이가 되었고 또 이제 롤을 제외하면 즐기는 사람만 즐기는 게임이 되어버렸습니다. 10대 때까지만 해도 모두가 함께 즐기던 것들이 어른이 되어버렸더니 죄다(오징어게임을 제외하곤) 사라져버렸죠… 그 반동이라 봅니다.
23/04/25 23:33
수정 아이콘
2014년 이전 당시 무도 전성기를 함께한 10대에서 20초중반 정도가 해당될 것 같네요.
23/04/25 23:52
수정 아이콘
사람은 당연히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마련이지만, 저는 제 10대 시절을 별로 그리워하지 않습니다.
당시가 너무 힘들었거든요.
그래도 10대 시절을 그리워한다는 건 그 시절이 좋았다는 거겠죠.
앓아누워
23/04/26 00:12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 얘기한 검열이 널널하면서도 문화적으로 최전성기를 구가했던 시기가 2010년대 중반이고 전 국민이 같은 컨텐츠를 공유하는 마지막 시대였던것도 큰 이유라고 봅니다. 지금은 모두가 파편화된 다른컨텐츠를 보기때문에 함께 그리워할 대상이 없죠.

그리고 그 옛날을 그리워하는 주체들 중 적극적 인터넷 커뮤니티 주 사용자가 20~30대이기때문에 관련글이나 영상이 훨씬 많을것이고 그래서 마지막 전성기 컨텐츠를 유독 그리워한다고 느끼는거겠구요.
ioi(아이오아이)
23/04/26 00:29
수정 아이콘
10대들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밀려난 게 가장 크다고 보네요
23/04/26 00:39
수정 아이콘
요즘 예능들이 과거에 비해 노잼이긴하죠. 너무 사려야하는 시대라..
초현실
23/04/26 01:06
수정 아이콘
레트로 열풍이 20대 보라고 나온건 아닐거같은데...
23/04/26 01:15
수정 아이콘
30대 초반으로 하고 싶으 말도 많고 공감도 많이 가지만 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냥 부질없다는 걸 알아버렸으니까요.
No.99 AaronJudge
23/04/26 01:24
수정 아이콘
9*년생이면 그럴수도..
kartagra
23/04/26 03:33
수정 아이콘
9x년생이 과거를 그리워하는 건 음....

아마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를 어린 나이에 경험한 영향도 없진 않겠죠. 어른이 된 이후 경험과 어릴 때 경험은 가중치가 보통 다른 법이니까.
문문문무
23/04/26 08: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딱 저기에 해당하는 나이대인데
개인적으론 지금의 2030세대가 트위치에 많이포진되어있는이유도 과거추억때문이 좀 있다고 생각하는게
트위치 주류채널들이 좀 뭐랄까 그때 그시절 친구들과 나눴던 여가시간들의 노스탤지어를 강하게 풍기고있어요

한동숙 룩삼 삼식 괴물쥐 따효니 이런채널들 보면
그때 그시절 씹덕친구들이랑 나눴던 애니,만화,rpg토크들이나
운동장,피씨방,같이걸었던 길거리느낌들을 좀 많이 자극합니다.

저영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추론해보건데
트위치가 720p,VOD지원중단에도 불구하고 이렇게나 체급을 유지하게되는이유는
대중매체의 자기검열화가 심해지고 지금의 2030을 다루는 비중이 신기하리만큼 적은시기가 쌓여갈때쯤
2010년대 후반부부터 트위치주류채널들이 그 갈증을 빠르게 채워나갔던게 큽니다.
엘든링
23/04/26 09: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딱 저 세대인데 저희가 2002 월드컵 4강 기억하는 마지막 세대입니다. 저희 밑으론 2002 월드컵 모르더라구요. 월드컵을 모른다고? 이거 훈수 못참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8577 [스타1] 타이밍 러쉬를 자원 2000 남기면서 막는 법 [45] 묻고 더블로 가!12680 23/04/28 12680
478576 [LOL] 페이커 굿즈 단돈 1억 5천만원.jpg [10] insane10872 23/04/28 10872
478574 [LOL] 쵸비 쇼메이커가 한팀에 걸리면 누가 미드를 갈까 ??? [11] insane10246 23/04/28 10246
478573 [연예인] 김소현 차기작 소용없어 거짓말 커피차 그림 [10] SAS Tony Parker 11236 23/04/28 11236
478572 [기타] 저거하면 뭐함?? 이라고 생각한 아이폰15의 신기능 [8] Lord Be Goja13913 23/04/28 13913
478570 [기타] 신동엽의 동물농장 하차를 요구 중인 사람들.jpg [99] 실제상황입니다15997 23/04/28 15997
478569 [유머] 옛날이 나았다는 꼰대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075 23/04/28 10075
478568 [유머] 의문점이 드는 디즈니 인어공주 실사화 캐릭터 포스터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9991 23/04/28 9991
478567 [LOL] 로지텍 마우스 BLG 에디션 [8] SAS Tony Parker 7449 23/04/28 7449
478566 [기타] 주요 국가 우울증약 복용율 [43] Lord Be Goja12549 23/04/28 12549
478565 [연예인] 브레이브걸즈 재데뷔 팀명 루머 [18] 달은다시차오른다11848 23/04/28 11848
478564 [유머] 많이 아쉬운 드림, 마리오 한국 흥행 상황 [61] 만찐두빵14166 23/04/28 14166
478563 [유머] 제다이 후배 갈구는 루크 스카이워커 [10] 길갈8569 23/04/28 8569
478562 [기타] 사기) 이번에 임창정주 걸린 계좌들 근황 [68] 꿀깅이18648 23/04/28 18648
478561 [LOL] MSI 중계권을 받은 도인비 [6] Leeka8461 23/04/28 8461
478560 [기타]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2차 예고편 [30] possible10486 23/04/28 10486
478559 [유머] 원피스 거의 확정이 되가는 뇌절.jpg [87] 캬라18464 23/04/28 18464
478558 [방송] 아이유 태움 논란.freshmeat [12] 이호철10899 23/04/28 10899
478557 [기타] 약물중독보다 뇌성능을 더 떨어뜨리는 행위.JPG [82] 실제상황입니다16037 23/04/28 16037
478556 [서브컬쳐] 웹툰 가비지타임 캐릭터별 불법주차 대응 [5] J8112030 23/04/28 12030
478555 [연예인] 약후방) 야밤에 호불호 갈린다는 문신 [66] 꿀깅이21378 23/04/28 21378
478554 [유머] 재방한한 스즈메 신카이 감독님 현시각 근황 [20] Aqours10841 23/04/28 10841
478553 [유머] 브루노마스-HYPE BOY [13] 문문문무11652 23/04/28 116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