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4/05 16:41:11
Name 우주전쟁
File #1 math.jpg (91.5 KB), Download : 68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수학이 중요한 이유?... (수정됨)


인문학, 사회과학도 기반의 70%는 수학이기 때문에?...
(그러고 보니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아무튼 우리 생활의 거의 모든 것이 다 수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생각은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4/05 16:42
수정 아이콘
일단 학계에 제출할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통계 지식이 필요하게 되는데, 아시다시피 확률 및 통계가 수학의 한 분과죠. 이걸 모르면 어느 학문이든 간에 사실상 논문 대필 수준이 되는 지라. 뭐 진짜 순수 문학 같은 일부의 경우야 필요 없겠지만...
소독용 에탄올
23/04/05 16:46
수정 아이콘
사회과학에서도 질적방법론중 일부는 이야기가 좀 다르긴 합니다.
참여관찰이나 심층면접을 쓰는 경우 등이 있으니까요.
The Greatest Hits
23/04/05 20:17
수정 아이콘
질적방법론은 이야기가 다르다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딥러닝보면서 생각이 조금 바뀌고있네요
딥러닝이 질적연구를 무한하게 많은케이스로 학습한것 같거든요
그래서 질적연구도 수학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싶네요
소독용 에탄올
23/04/05 20:43
수정 아이콘
앞으로 가능하다는것과 지금 가능한 것은 다르니까요.

딥러닝이 질적연구를 학습했다고 해도, 해당 방식을 수학적으로 사람이 잘 다룰 수 있느냐 하는 부분도 또 다른이야기기도 합니다....
블리츠크랭크
23/04/05 17:58
수정 아이콘
공학쪽에서 딱히 통계가 필요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학원 수준 논문에서 양산 통계 낼것도 아니구요
문문문무
23/04/05 16: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상 철학의 옛지위를 기능적으로 대체하고있죠
EurobeatMIX
23/04/05 17:00
수정 아이콘
이것에 동의합니다
Just do it
23/04/05 16:48
수정 아이콘
수학은 과학의 어느부분을 담당하는 역할일뿐
과학이 99퍼가 아닐까 생각드네요.
문문문무
23/04/05 16:50
수정 아이콘
과학의 용어 및 논리로 쓰이는게 수학이라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수학의 손을 들고 싶네요
레드빠돌이
23/04/05 16:54
수정 아이콘
그 역할이 엄청 큰거죠
과학없이 수학을 설명할수있지만 수학없이 과학을 설명하는건 불가능이죠
아구스티너헬
23/04/05 21:41
수정 아이콘
수학은 과학의 도구(언어) 이죠
과학이 없다면 수학은 산수만 있으면 되고
수학이 없다면 과학은 움막이나 짓다 멈추었겠죠
레드빠돌이
23/04/05 22:00
수정 아이콘
수학으로 설명하는 현대 과학은 17~18세기나 되어야 탄생됩니다.
아구스티너헬
23/04/05 23:53
수정 아이콘
건축도 과학이죠 수학 없이 피라미드를 지었겠습니까?
레드빠돌이
23/04/06 08:44
수정 아이콘
음... 건축도 과학이라면 사회과학도 과학이라는 말씀이고 그러면 인문학이나 심리학도 과학이라 이야기할 수있겠네요..
수학없이 피라미드를 짓는건 불가능합니다 수학없이 무언가를 제작하는 일 자체가 불가능하니깐요
아구스티너헬
23/04/06 17:38
수정 아이콘
다 과학이지만 그 시절 가장 진보된 과학은 건축이죠 건축이 과학이 아니라는 의견이 더 생소한데요? 껄껄
레드빠돌이
23/04/06 17:48
수정 아이콘
건축은 응용과학부분이지 순수한 자연과학이 아니니깐요. 피라미드를 어떻게 짓는가는 자연과학의 부분이지만 왜 짓는가는 사회과학부분입니다.
넓은 범위에서 건축은 과학이 맞지만 그렇다면 인문학도 과학이라는 말인거죠
아구스티너헬
23/04/06 17:55
수정 아이콘
인문학도 당연히 과학이죠
그리고 시대를 감안하셔야죠
지금으로부터 5천년전에 최고의 과학은 천문과 건축이었죠 그때 전자기학을 했겠습니까?
레드빠돌이
23/04/06 18:07
수정 아이콘
아구스티너헬 님// 그러면 인문학이 과학이라면 종교학도 과학인가요?
이것도 과학이라면 종교인을 과학자라고 불러도 되나요? 인문학교수나 건축학자도 과학자라 불러도 되나요?

과학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리 오래된 단어가 아닙니다. 고대에는 철학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 과학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천문과 건축을 과학으로 부르는것이 더 시대를 반영하지 않은것이죠
고등어자반
23/04/05 16:53
수정 아이콘
조금 딴 이야기인데, 저 기이한 구조물은 대체 무엇인가요?
23/04/05 16: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게요... 구조 공학적 이치와도 맞지않는 구조물이 심지여 이쁘지도 않아... 폰트와 색까지 난국...


수학 70은 폰트 싸이즈와 색 그리고 얼라인 때문에 살짝 어그로 느낌까지...
.
23/04/05 17:1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림을 이해하려해보았지만 당췌 이해가...
인문학과 사회과학이합쳐서 30인지 각각 30인지도 모호한듯 하고
23/04/05 18:38
수정 아이콘
겨울삼각형
23/04/05 16:56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kpCSTXpIcdw

안될과학 김재경교수님편 재미 있습니다.
No.99 AaronJudge
23/04/05 17:19
수정 아이콘
요샌 아무래도 많이 쓰죠
기본이 된 느낌..?
ComeAgain
23/04/05 17:28
수정 아이콘
https://cdn.pgr21.com/humor/127115

벌써 10년이 넘었네요..
김유라
23/04/05 18:02
수정 아이콘
뭐야 심지어 내가 쓴거네 크크크
빠독이
23/04/05 18:42
수정 아이콘
뭐야 저도 댓글을 달았었네요.
일반상대성이론
23/04/05 17:43
수정 아이콘
수리논리학은 철학이랑 구분하기 힘들기도 하고 아예 안드로메다로 발전시켜서 언어학, 컴퓨터과학이랑도 연결되어 있고요
블리츠크랭크
23/04/05 18:02
수정 아이콘
수학은 사실상 숫자와 기호들로 된 언어죠
밥과글
23/04/05 18:33
수정 아이콘
세상이 다 수학인데..수포자인게 너무 후회가 됩니다
20060828
23/04/05 18:46
수정 아이콘
세상 사람들 모두 수포자입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4/05 19:46
수정 아이콘
어차피 대학교 수학과를 가지 않은 이상 모두가...
23/04/05 21:10
수정 아이콘
옛날이면 절망적이었는데
그래도 요즘은 인강이 좋아져서 공부 해볼만 합니다.
뽀로뽀로미
23/04/05 19:16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논리학이 더 근본 아닐까요?
물론 수학이 엄청엄청 중요합니다.
문문문무
23/04/05 19: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논리학도 수학의 기초분야중 하나로서 들어가긴하죠
애초에 수 라는것도 임의의 명제조합에 대응하는 무언가 이니까요
엄밀히말하면 논리학이 곧 수학이요 수학이 곧 논리학이긴합니다.... 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맥락으로서의 수학과 논리학을 고려해봤을땐
수학이 논리학을 온전히 포괄하면서도 논리학이 품지못한 허다한 영역들을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포괄하고있어서요.
객관적으로는 수학이 논리학의 기반으로서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애플프리터
23/04/06 00:24
수정 아이콘
논리학의 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 - 세상은 물, 불, 공기, 흙으로 구성되어있다.
덕분에 원자론은 2000년간 잠자게 됩니다. 4원소 구성론은 감성 맞는건지, RPG게임에서 캐릭생성에서 중요요소로 살아남음.
23/04/05 21:23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인공지능 시대가 개막하면서 수포자는 진짜 도태 1순위라는 거죠
아구스티너헬
23/04/05 21:43
수정 아이콘
아니죠 오히려 수포자의 아쉬운 부분이 인공지능으로 매꿔지니 수포자도 과학이 가능해지겠죠
23/04/05 21:26
수정 아이콘
넓게 보면 우주가 곧 수학 아닐까요
가을의빛
23/04/05 21:49
수정 아이콘
수포자는 웁니다
마도로스배
23/04/05 22:54
수정 아이콘
사칙연산만해도 일반적인 공학에서 설계 때려잡습니다
설계단계에서 당연히 수행되어야하는데 여러가지 사유로 컨펌 안되는게 대다수고
그이상으로 연산되는건 연구소 검증자료로 대신하면되고요
23/04/05 23:35
수정 아이콘
수학이 무게추
일면식
23/04/06 02:18
수정 아이콘
수학은 애초에 실용과목이 아닙니다.
그 지식 자체를 어디다 쓰라고 만든게 아닌데요.

대학과정 이상의 수학이면 모를까, 초중고에서 수학을 배우는 이유는 다른게 아니라 '고도의 논리력을 요구하기에 어려운 것이고 아무나 할 수 없는것' 그 자체가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려고 배우는 훈련과목이라, 다른 지식 과목과 비교하기보다는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의 개념에 더 가깝습니다.
알빠노
23/04/06 11:33
수정 아이콘
세상이 고도화되고 각 분야가 체계적으로 현미경처럼 분석될수록 수학적 방법론의 중요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최소한 AI가 인간의 사고력을 능가하기 전까지는 그럴 겁니다. 외국어의 중요성은 오히려 최근 떨어진 느낌이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7357 [LOL] ???? : 아 이롤알못들.. 같이 겜 못하겠네 [6] Leeka10718 23/04/08 10718
477356 [LOL] MSI 먼저 갑니다 [6] SAS Tony Parker 9352 23/04/08 9352
477355 [LOL] LCK 역대 최초기록.JPG [8] insane8506 23/04/08 8506
477354 [스포츠] K리그 유료관중 4만 5천명 돌파 [21] Leeka10010 23/04/08 10010
477353 [방송] [백종원] 푸드트럭 손님을 끄는법 2023 ver [14] Croove15224 23/04/08 15224
477352 [기타] 한때 나름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던 국내 만화.jpg [27] dbq12315754 23/04/08 15754
477351 [기타] 인공지능이 그린 마리오, 소닉 [6] 닉넴길이제한8자8509 23/04/08 8509
477350 [게임] 다크앤다커사태로 개이득본사람 [4] 이호철8098 23/04/08 8098
477349 [스포츠] 여기가 콘서트장이야 축구장이야? [39] 아롱이다롱이12696 23/04/08 12696
477348 [스포츠] k리그 중계하는 쿠플메인화면 [5] 카루오스8797 23/04/08 8797
477347 [유머] 엘리베이터에서 극딜 당한 아재.jpg [11] Myoi Mina 12011 23/04/08 12011
477346 [유머] 택배 상하차 알바가 개 빡센 이유.GIF [24] Myoi Mina 13712 23/04/08 13712
477345 [서브컬쳐] 샤아 전용 토요타 [8] 아케이드8324 23/04/08 8324
477344 [유머] 한식 뷔페에서 본전뽑는 방법.jpg [5] 김유라11717 23/04/08 11717
477343 [유머] 얼레리 꼴레리 [2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579 23/04/08 12579
477342 [서브컬쳐] 요즘 만화 인기투표 근황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76 23/04/08 8876
477341 [연예인] 김태희를 GOAT로 인정받게 만들어줬다는 광고들 [25] 묻고 더블로 가!12767 23/04/08 12767
477340 [기타] [삼국지] 정사와 연의 행적이 완전히 다른 인물 [14] 손금불산입9883 23/04/08 9883
477339 [유머] 부끄러운 자화상 [9] 졸업16596 23/04/08 16596
477338 [기타] 스즈메의 문단속 중국 관객수 2000만 달성 [15] Heretic9695 23/04/08 9695
477335 [유머] 최고사양 CCTV... [21] 우주전쟁11491 23/04/08 11491
477334 [방송] 미국 영어와 다르다는 캐나다 영어.jpg [23] 손금불산입12708 23/04/08 12708
477333 [유머] 평범한 지하철 광인인줄 알았더니 [9] 길갈10815 23/04/08 108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