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02 17:44:23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File #1 2021gm.png (48.1 KB), Download : 61
출처 콘진원
Subject [게임] 왜 한국게임사들은 패키지 게임보단 모바일 게임만 만들까? (수정됨)


응 모바일이 짱이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02 17:46
수정 아이콘
70~80만원짜리 천장도 우습게 치는 동네라..

여전히 와우가 2만원 받는 거 보면 얘네들은 뭐 먹고 사나 궁금하기도 합니다.
레드빠돌이
23/01/02 17:49
수정 아이콘
롤은 사실상 공짜겜....
오레오레오나
23/01/02 17:56
수정 아이콘
그래서 디아이모탈 발표 당시에도 그닥 까고 싶지 않았습니다.
고오스
23/01/02 17:47
수정 아이콘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낼수 있으니까요

유지 비용도, 매출도 모바일이 압도적이죠
레드빠돌이
23/01/02 17:48
수정 아이콘
바다이야기때문에 아케이드 시장이 박살난게 아쉬워요...
페스티
23/01/02 17:53
수정 아이콘
왜 쉽게 유기할까? 유지비가 특별히 더 드나?
23/01/02 17:59
수정 아이콘
네 맞워요. 리니지가 연간 서버비 운영비용이 백억이 넘는대요. 동접자가 적은 중소형 모바일 게임의 경우 한달에 1억은 우습게 나가구요. 초반에 바짝 땡기다 어느순간 운영비가 감당불가 시점이 오면 마지막에 거하게 털어먹고 쫑내는거죠.
김꼬마곰돌고양
23/01/02 18:01
수정 아이콘
작은 게임은 1억까지 않나갑..매출이 안나오면서 제일 문제되는 부분은 결국 인건비에요.
페스티
23/01/02 18:02
수정 아이콘
모바일 서비스 쉽지 않군요... 인디겜들은 주고받는 용량이 적어서 괜찮은 거겠죠?
23/01/02 18:07
수정 아이콘
리니지처럼 라이브 통신이 중요하면 모를까 일반적인 수집형은 솔직히 서버 힘들게 없죠.
크레토스
23/01/02 18:12
수정 아이콘
리니지 매출에 100억이면 혜자..
퀀텀리프
23/01/02 18:36
수정 아이콘
인건비죠.
CastorPollux
23/01/02 17:53
수정 아이콘
저도 오버워치2 기본 배틀 패스 사면서..좀 비싸네 하면서
모바일 게임 패키지들은 10~20 만원 그냥 사고 있네요
23/01/02 17:58
수정 아이콘
가챠겜은 버는 돈의 단위가 다르긴 하죠...
벌점받는사람바보
23/01/02 18:00
수정 아이콘
비쥬얼노블,RPG,리듬 종류안가리고
수익수단은 가챠가 최고인게 거의 확정 아닌가요 크크
Janzisuka
23/01/02 18:01
수정 아이콘
창세기전 제바류
23/01/02 18:05
수정 아이콘
패키지 만들어 봐야 돈은 똑같이 드는데 가격은 15년째 7만원이고... 디4 9만원 받는다고 유튜브 영상 각 잡히는 시장이니 당연히 모바일 게임 가는거죠.
왜 패키지 안 만드냐구요? 유저들이 그렇게 하라고 하니까!
신성로마제국
23/01/02 18:12
수정 아이콘
유저층 분화도 심해서 안 그런 사람도 많겠지만 패키지게임값 2만원 올랐다고 열내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가차게임 20만원은 가볍게 쓰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겁니다.
23/01/02 18:32
수정 아이콘
저도 블루아카에 저번달에 12만원 질렀더라구요. 진짜 모르는 사이에 쓱쓱 빨림.
No.99 AaronJudge
23/01/02 22:44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저도 원신에 트럭 몇번 갖다넣었습니다
데몬헌터
23/01/02 18:14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에 누적 투자금액이 40만쯤 되는 사람으로서 공감합니다 흐흐
아케이드
23/01/02 18:18
수정 아이콘
이게 참 신기한게 패키지 게임 좋아하지만 패키지 게임 10만원 하면 선뜻 손이 나가질 않는데, 모바일 게임 가챠 돌리다보면 어느듯 수십만원 쓰고 있죠;;;
23/01/02 18:24
수정 아이콘
맞죠 그렇게 하라고 등떠밀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콘솔게임도 비싸다고 하고 영화도 비싸다고 하고 모바일 가챠에는 관대한 상황이 아니러니 한데
결국 모바일 가챠에는 돈을 쓸만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쓸테고 그걸 게임회사가 모를리가 없고 모른체 할 이유도 없는 상황이지 싶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애초에 글로벌을 겨냥한 콘솔 게임을 만드는것 자체가 어렵다고 판단되었다면 더욱이 모바일에 집중될 수 밖에 없겠죠
라이브앤라이브
23/01/02 18:16
수정 아이콘
이건 뭐 한국 말고 전세계적으로 그냥 모바일이 최고인거 아닌가요?
23/01/02 18:22
수정 아이콘
그래서 패키지 가격이 더 올라도 저는 불만 없습니다.

25년전에 영웅전설, 대항해시대 3만원대에 샀었고 삼국지는 5만원인가 했었던 것 같은데 지금 가격은 생각해보면 너무 싸요.
23/01/02 18:45
수정 아이콘
삼국지5 파워업키트 13만원주고 샀습니다..
23/01/02 18:26
수정 아이콘
개발자들의 자아실현이 아니라면 투자자 입장에서 저걸 용인하는게 더 신기한 상황이죠.
그만큼 이번에 낸 게임들이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urobeatMIX
23/01/02 18:38
수정 아이콘
가챠건 아니건 큰돈쓰는 사람들은 어디에나 있고 일반유저와의 괴리도 크긴 큽니다.
그런데 옛날 pc mmorpg에서 현질을 하면 그게 게임사의 수익과 직결되는 게 아닌 유저간 현금거래죠.
그게 리니지1이고, 집행검이 얼마건 그건 게임사에서 버는 돈이 아니었던거고.
모바일 유저가 특히 지르는 데 적극적이라기보단,
모바일이 뒷세대기 때문에 시간이 가면서 최소한 유저간거래에 수수료라도 받아먹고, 가챠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도록 bm도 발전하고 정제된게 크다고 봅니다.
pc도 하던대로 안하고 새로 내면 되죠 가챠하게. 그런데 pc게임이 전통적 시장인식이 콘솔의 연장선이라 그런 게 크다고 봅니다. 아마...? 투입 대비 수익도 콘솔과 모바일의 중간 정도일거고.
Easyname
23/01/02 18:56
수정 아이콘
70달러도 비싸다고 못하는게 20세기에도 닌텐도 게임들이 그 반정도는 되지 않았나
도라지
23/01/02 19:16
수정 아이콘
게임에 돈 안쓰는 사람들은 극단적으로 안쓰니까요.
콘솔게임조차 무료라고 생각하는…
NSpire CX II
23/01/02 19:26
수정 아이콘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말이 딱 어울리지 않나 싶어요(모바일 게임이 전부 나쁘단 게 아니라 수익구조 면에서)
23/01/02 19:43
수정 아이콘
마크나 FPS게임 조그만 서버 한달만 굴려도 서버비로 10~20만원 나갑니다. 그런걸 계속 유지하면서 직원들 월급주고, 차기작 내야하는데 패키지 게임 '따위'를 누가 만듭니까?
시무룩
23/01/02 19:46
수정 아이콘
아케이드 죽으면 안돼 ㅠㅠ
개인정보수정
23/01/02 19:54
수정 아이콘
그럼 모바일 겜이라도 잘만들어 보던가.. 엔씨게임은 제가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22년 흥행 성공한 니케만 해도
버그나 운영보면 한숨나오죠
초현실
23/01/02 19:59
수정 아이콘
니케정도면 걸작이죠... 니케말고 국산중에 글로벌에서 통하는 오타쿠 겜 없습니다
고오스
23/01/02 21:41
수정 아이콘
용하 : ???
No.99 AaronJudge
23/01/02 22:45
수정 아이콘
앗!!
긴 하루의 끝에서
23/01/02 20:00
수정 아이콘
근데 "모바일, PC, 콘솔, 아케이드"와 "PC방, 아케이드 게임장"을 같은 항목으로 묶어 비중을 논한다는 것이 이상하네요.
23/01/02 20:14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은 영 취향이 아닌데 슬프네요
패키지게임 가격 올려도되니 잘 뽑아주기만이라도 해줬으면
DownTeamisDown
23/01/02 20:17
수정 아이콘
모바일 같은경우 한푼도 안쓰는 무과금 비율이 있어서 1인당 평균과금이 생각보다는 많지 않을겁니다만
그래도 과금러의 과금금액이 높기때문에 매출도 훨씬 더 잘나오겠죠
닉넴바꾸기좋은날
23/01/02 20:47
수정 아이콘
명백하게 답할 수 있는게, 당연한거지만 한국 사람들이 모바일겜을 좋아하기 때문이죠.
23/01/02 20:55
수정 아이콘
경쟁력 있는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서죠.
RapidSilver
23/01/02 21:16
수정 아이콘
약간 다른주제긴 한데 가끔 생각하는게
테트리스같은 혁신적인 게임이 2020년대에 모바일게임으로 나왔다면 이게 고티 하나는 받을까? 하는 생각이 들거든요
개인적으론 코어게이머를 자처하는사람들이 모바일게임이라고 일단 색안경 끼는 분위기도 좀 있다고 봅니다.
타츠야
23/01/02 21:37
수정 아이콘
저 통계가 해외 구매도 포함인거죠?
Pinocchio
23/01/02 22:01
수정 아이콘
일단 뭐 AAA급 만들 실력이 안되는게 제일 크겠죠. 그래서 적당히 만들면 쌀먹할수 있는 모바일 시장에 몰리는거죠.
23/01/02 22:58
수정 아이콘
걍 돈이 되니까 사람들이 몰리는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0882 [동물&귀욤] 왕큰 형아와 왕작은 동생 [2] 흰긴수염돌고래8123 23/01/05 8123
470881 [기타] 2022년 5대 백화점 매출 최종버전 [19] Leeka10439 23/01/05 10439
470880 [기타] 카카오식 계산법... news [42] 아지매15390 23/01/05 15390
470879 [연예인] 디카프리오 근황 [16] 퀀텀리프11915 23/01/05 11915
470878 [LOL] LCK 합류하는 미남해설.jpg [10] 핑크솔져8155 23/01/05 8155
470877 [서브컬쳐] 디즈니 실사 인어공주 근황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444 23/01/05 10444
470876 [LOL] 1월 18일 DK vs DRX 경기가 꿀잼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 [5] 토루6607 23/01/05 6607
470875 [음식] 요즘 순대요리 [3] 훈타12022 23/01/05 12022
470874 [게임] 페르소나5 로얄 인기캐릭터 순위 TOP10 [44] 피죤투12569 23/01/05 12569
470873 [유머] 데이트룩 손봐준 언니들 [12] Aqours11078 23/01/05 11078
470872 [LOL] LCK 합류하는 함예진 캐스터 [1] 안아주기9515 23/01/05 9515
470871 [서브컬쳐] 슬램덩크에서 주연은 아니었지만 인기 많았던 캐릭터 [42] 그10번13385 23/01/05 13385
470869 [기타] 정말 멋진 군무.shorts [12] This-Plus10475 23/01/05 10475
470868 [방송] 하승진 유튜브 섭외 클래스.JPG [19] insane13736 23/01/05 13736
470867 [방송] 종료가 임박했다는 한국서버 근황 [71] Avicii14995 23/01/05 14995
470866 [기타] [트위터] 개인정보유출 관련 최근 소식들 타카이8037 23/01/05 8037
470865 [LOL] LCK 새로 합류하는 기상캐스터 누나.MP4 [10] insane11212 23/01/05 11212
470864 [LOL] LCK에 합류하는 배혜지, 함예진 기상캐스터 [9] SAS Tony Parker 9607 23/01/05 9607
470862 [기타] [트위터] 2억 2,890만 달러규모 저작권 침해 피소 [4] 타카이9356 23/01/05 9356
470861 [LOL] 2023 자낳대 시즌1 스크림 최종 결과 [8] 길갈5974 23/01/05 5974
470860 [유머] 42세인데 20대 여자 꼬실 수 있나요? [53] AKbizs12991 23/01/05 12991
470859 [유머] 손님 리뷰에 감동해버린 사장님 [19] 쎌라비11771 23/01/05 11771
470858 [LOL] 트위치코리아 LCK 중계 포기로 이제는 볼수없을 지도 모를 MP4 [4] insane8544 23/01/05 85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