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6 07:40:33
Name Pika48
File #1 1.jpg (509.6 KB), Download : 65
출처 더쿠
Subject [기타]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환자의 식습관.jpg


+ 탄수화물 및 단 음식 과다 섭취

+ 과식 및 폭식

+ 운동 안 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22/12/26 08:03
수정 아이콘
그래서 발효식초면 다 해결된다..?
NSpire CX II
22/12/26 08:15
수정 아이콘
크크크
22/12/26 08:08
수정 아이콘
운동 안 함이 제일 크죠. 결국 먹는 것 만큼 배출해야 몸이 유지가 되는거라...
근데 몸이 불면 귀찮아지는 것도 사실이긴 해서.
제가LA에있을때
22/12/26 08:13
수정 아이콘
걷기나 산책이라도 조금씩….
22/12/26 08:21
수정 아이콘
탄수화물 섭취 줄이는게 처음에는 힘들지만 일단 성공만 하면 제일좋죠.

고탄수음식 먹다보면 그 중독성에 자연스레 과식하게되고, 혈당과 호르몬으로 금방 허기가 찾아오고 체지방은 닐고... 그야말로 악순환.
의문의남자
22/12/26 08:23
수정 아이콘
요즘 운동 열심히 하고있어요. 인터넷 어딘가에서 그러더군요. 니 체형만 봐도 니 일과를 알수 있다고.

크로스핏 두타임씩 하고있습니다
22/12/26 09:12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열심히 하고 계신 수준이 아닌거 아닌가요 선생님?
다시마두장
22/12/26 10:38
수정 아이콘
하루에 지옥을 두 번씩 드나드신다고요? 대단합니다...
네파리안
22/12/26 08:27
수정 아이콘
저희 어머니가 진짜 딱 김치랑 밥만 드시고 간식으로 빵드시는거 좋아하시는데 고혈압, 고지혈에 과체중이신
취미가 운동이셔서 운동 열심히 하시는데도 그러십니다.
22/12/26 08:33
수정 아이콘
운동 식단 둘 다 중요하지만 식단이 더 중요하죠.유전 영향도 있고요.
HA클러스터
22/12/26 09:01
수정 아이콘
저도 혈액검사에서 당색소치가 좀 높게 나왔기에 한 1년 관리해서 정상치로 돌아온 적이 있긴 합니다만 식사가 밥인건 별 문제가 안됩니다.
식사까지 조절하게 되면 반동으로 폭식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급격한 칼로리 제한은 신체의 항상성을 깨기 때문에 식사는 하던대로 하는게 좋습니다.

꼭 해야 할 것은 식사외의 고탄수 간식을 줄이는것과 무리하지 않은 범위의 유산소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
본문 같은 분들은 밥을 먼저 이야기 하시지만 실제로는 식사이외의 빵, 과자, 아이스크림, 그외 달달한 음식과 음료의 칼로리가 높은 확률로 식사를 초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번에 끊는게 쉽지 않은 분들이 많으니 양을 줄이고, 종류도 탄수화물 대신 단백질, 지방 등이 든것을 먹는게 차라리 낫습니다. 저같은 경우 간식이 정말 먹고싶을때는 베이비 치즈나 슬라이스 치즈 같은 것들를 한두 조각씩 제로콜라와 함께 먹었습니다. 달달한 것을 피할 경우 짭잘한 것을 먹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경우 문제되는 염분과다 섭취는 운동을 해서 땀을 통해 체외배출을 시도했습니다.

운동도 처음에는 무리해서 자기체력이상을 하다가 지치거나 다쳐서 바로 포기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꾸준히 하시는 분들도 문제는 있습니다. 초보자가 무리한 운동을 하면 자기포식현상으로 오히려 근육이 더 줄고 결국 뼈에도 무리가 가기 때문에... 내장지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우 자기체력 70~80%을 기준으로 한 유산소 운동을 1시간정도 주 3~4회로 하는게 성과가 좋은 편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탄수화물 문제를 밥을 탓하지 말고 식사는 평소대로 하되 간식 줄이고 운동시작하는게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뻔한 이야기지만 왕도가 괜히 왕도가 아닌 법이죠.
22/12/26 09:18
수정 아이콘
유전요인이 큽니다
22/12/26 09:37
수정 아이콘
당뇨 걸리는 유전자가 따로 있어서 그게 없으면 당뇨가 안걸린다 이런 글을 봤었는데 충격적이더라고요. 똑같이 먹어도 누구는 당뇨 걸리는 불공평한 세상!
Stoncold
22/12/26 09:42
수정 아이콘
진지 먹자면 세상에 공평이란건 없죠...
프로 약쟁이
22/12/26 09:50
수정 아이콘
당뇨병 유전인자가 있어도 거기서 또 갈립니다.
집안에 당뇨 환자가 많은데, 특별히 관리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약만 먹는 정도입니다.
그러니 식단 관리 안하는 사람은 약을 먹어도 혈당이 높은데, 노년기 접어들어서도 합병증이나 기타 다른 문제 없이 잘 삽니다.
고위험 당뇨병 유전인자는 또 다른 모양입니다.
22/12/26 10:17
수정 아이콘
닉네임에서 오는 신뢰감이
22/12/26 09:58
수정 아이콘
저런 케이스에 해당하는데
운동을 안할수록 당이 더 땡기고 단걸 먹어도 해소가 잘 안되더라구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2/12/26 10:45
수정 아이콘
떡도 엄청 달더라구요
전 빵만 그런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0658 [기타] 쿠팡/쓱/컬리/배민 세권 지도로 보기 [31] Leeka10515 23/01/02 10515
470656 [유머] 주차장에 마스크 떨어뜨리고 간 운전자 [22] 동굴곰13218 23/01/02 13218
470655 [서브컬쳐] 2022년 강퀴 애니메이션 어워드 결과 [43] 아케이드10387 23/01/02 10387
470654 [유머] XXX : 이봐,동포청년 [21] BLitz.11231 23/01/02 11231
470652 [유머] 이게 먼나무여 [3] 메롱약오르징까꿍8744 23/01/02 8744
470651 [기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지금 한국에 가장 필요한 마인드.jpg [84] 실제상황입니다13481 23/01/02 13481
470650 [LOL] 룰러 근황.jpg [5] insane6900 23/01/02 6900
470649 [스타1] 임요환 근황.jpg [3] insane9001 23/01/02 9001
470648 [유머] 도 넘은 신년세일.jpg [5] Myoi Mina 9048 23/01/02 9048
470647 [기타] (약간후방?) 옷 때문에 빡치는 이유.gfy [8] 삭제됨11449 23/01/02 11449
470646 [게임] 젤다 야숨2 패키지 유출짤 [23] 피죤투11059 23/01/02 11059
470645 [기타] 돈이 없는 이유에 대한 전문가의 일침 [62] 묻고 더블로 가!14165 23/01/02 14165
470644 [유머] ???: "통신망 장애는 재해…안전·안정 수준 높일 것" [11] Myoi Mina 10347 23/01/02 10347
470643 [기타] 동생 어린이집 뒤집어놓은 누나.mp4 [26] insane11950 23/01/02 11950
470641 [유머] [주식] 어차피 내 계좌는 경제위기라 눈감고있다가 오랜만에 찾아본 경기선행지수 [20] 헤세드8314950 23/01/02 14950
470640 [유머] 동엽신도 못참은 미친 섹드립 [7] Myoi Mina 14031 23/01/02 14031
470639 [유머] MZ세대 후속작 떴나? [57] Avicii15458 23/01/02 15458
470638 [서브컬쳐] 그림AI에게 쇼츠영상을 줘보았다. [27] 문문문무11101 23/01/02 11101
470637 [유머] 의사를 당황시킨 개드립 유저 [29] Avicii12525 23/01/02 12525
470636 [서브컬쳐] (얏후) 검은토끼해 기념 스압 업로드.jpg [23] 캬라10841 23/01/02 10841
470635 [게임] 디시 중갤의 올해의 남캐,여캐 [12] 피죤투10589 23/01/02 10589
470634 [기타] 신세계백화점 기준, 상품권 행사 제외 명품 브랜드 16개 [14] Leeka11788 23/01/02 11788
470632 [LOL] 2023 자낳대 시즌1 스크림 근황 [23] 길갈10698 23/01/02 10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