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5 19:06:46
Name 아수날
출처 Mlbpark
Subject [연예인] 대한민국 역대 드라마 시청률 1위 ~ 10위 (수정됨)
10위.대장금(MBC 이영애) 57.8%

9위. 여명의 눈동자(MBC 최재성,채시라) 58.4%

8위. 태조왕건(KBS 최수종,김영철) 60.2%

7위. 아들과 딸(MBC 최수종,김희애) 61.1%

6위. 그대그리고 나(MBC 박상원,최진실) 62.4%

5위. 젊은이의 양지(KBS 배용준,하희라) 62.7%

4위. 허준(MBC 전광렬 63.7%

3위. 모래시계(SBS 최민수,고현정) 64.5%

2위. 사랑이 뭐길래(MBC 최민수,하희라)64.9%

1위. 첫사랑(KBS 최수종,이승연,배용준)65.7%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생은에너지
22/10/15 19:09
수정 아이콘
허준 MBC 아닌가요?
valewalker
22/10/15 19:13
수정 아이콘
엠비씨 맞을겁니다.
22/10/15 19:10
수정 아이콘
최수종 하희라 부부가 상위권에 많이 포진되있네요
똥진국
22/10/15 19:13
수정 아이콘
허준은 mbc니 정정 부탁합니다
전부 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군요
22/10/15 19:15
수정 아이콘
시청률 분자 분모가

해당 드라마 /그 시간대에 켜진 모든 tv 인거죠?
22/10/15 19:15
수정 아이콘
시청률 조사하는 표본이 되는 가정이 있습니다

신청해서 기기 설치해야해요
22/10/15 20:02
수정 아이콘
해당 드라마 / 시청률 조사대상 모든 TV 일겁니다.
해당 드라마 / 시청률 조사대상 가운데 켜져있는 모든 TV 는 시청 점유율이라는 별도 지표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런 드라마들을 점유율로 얘기하면 7~80% 쯤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곧미남
22/10/15 19:16
수정 아이콘
체감으론 모래시계가..
똥진국
22/10/15 19:26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방영할 당시 sbs가 전국 송출되던 시절이 아니었다는거죠
만약에 전국 송출되던 시절이었다면 정말 모든 부분에서 파급효과가 어마어마했을겁니다
곧미남
22/10/15 19:2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서울방송 시절이었죠
고등어자반
22/10/15 19:44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때 전국 송출 아니었나요? 예전 지방에 근무했을 때 모래시계를 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똥진국
22/10/15 19:47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까 유료로 어떻게 결제하면 볼수있었다는 내용이 있네요
사울 굿맨
22/10/15 20:02
수정 아이콘
지역 유선방송에서 송출해줬죠. TV 안테나 설치하던 집들은 못봤고요.
22/10/15 19:26
수정 아이콘
여명의 눈동자 같은 드라마는 다시 안나올까요…초딩때 봤었는데 아직까지도 기억나는 no1 드라마입니다.
22/10/15 19:27
수정 아이콘
이제는 역대 시청률보단 넷플릭스 전후로 시청률을 나눠서 순위를 매기는게 어떨까 싶네요.
지금 시대에 시청률 20%도 초대박이라고 하는데, 저 숫자는 현재와 거리감이 너무 심하네요.
도라지
22/10/15 19:37
수정 아이콘
그땐 볼 채널이 몇개 없었고, 지금은 수십개라…
스팅어
22/10/16 00:27
수정 아이콘
그 당시는 그냥 정말 저 수치에 근접한 비율로 시청했습니다.
현재는 말씀하신 OTT 등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수치죠.
우주소녀 보나
22/10/15 19:42
수정 아이콘
저당시 채널이 몇개였나요?
대장금 시절은 스타리그 본 기억이나는데 케이블 있는데도 저정도 시청률이라니
22/10/15 19:45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가 대박인듯 그시절에 sbs전국방송 아니었던거 같은데
옥동이
22/10/15 20:31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부모님께서 첫사랑이랑 젊은이들의 양지 보려고 엄청 서둘러 집에갔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AquaMarine
22/10/15 21:38
수정 아이콘
저는 지방 살아서 모래시계에 대한 인기 체감은 0입니다. 당시 저의 기준에서는, 조금 잘 사는 집에서만 보는 소위 '유선방송' 도 보지 않았었기 때문에 뉴스로 새로운 채널이 생겼다는 것만 알았었고요. 그래서 지금도 모래시계에 대한 인기를 대중매체에서 다룰 때는 전혀 와닿지 않습니다. 단지 KBS에서 잘 나가는 코메디언들이 SBS로 이적하는 바람에 그 코메디언들 못봐서 SBS가 싫었던 기억만 있어요.

'첫사랑'은 재방송 할 때마다 봐서 20번 가까이 봤습니다. 볼 때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재미있어서 봤는데, 돌아보면 출생의 비밀 정도를 제외하고 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다룰 수 있는 대부분의 주제들이 잘 버무려져 있어서 재미있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방영할 때도 시대극이었기 때문에 2022년인 지금 봐도 저는 어색한 것 별로 없이 재미있게 봐지더라고요. 아무 근심 걱정 없이 드라마에 빠져서 볼 수 있었던 그 시절이 갑자기 그리워지네요.
나이도프
22/10/15 21:49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받고 피구왕 통키 추가요.
AquaMarine
22/10/15 23:01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신가보네요. 저도 그 시절 애니메이션(만화영화?) 보던 세대이지만 피구왕 통키 전혀 알지 못합니다.
22/10/15 21:41
수정 아이콘
응? 젊은이의 양지는 '이종원'이죠...
배용준은 서브남주였는데...(물론 인기는 많았지만)
세피롱
22/10/26 15:59
수정 아이콘
태조 왕건에서 궁예 죽는 회차 방영때는
길거리에 차도 안다니더라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959 [LOL] 베릴 : 북미가 더 잘하기 위해선 [3] 트럭7970 22/10/18 7970
464958 [유머] 꽈배기집 사장님의 분노의 가게명 변경요청..jpg [22] Myoi Mina 12814 22/10/18 12814
464957 [기타] 시험관에서 키운 인공지능 [12] Lord Be Goja11115 22/10/18 11115
464956 [유머] NTR이 현실에서 일어나면 벌어지는 일.jpg [28] 삭제됨10577 22/10/18 10577
464955 [기타] (코스닥)에코프로비엠 근황 [9] SAS Tony Parker 8149 22/10/18 8149
464954 [기타] 아이폰 14 프로, 아이폰 13 프로 및 갤럭시 22보다 인터넷이 훨씬 빠르다 [16] Leeka13899 22/10/18 13899
464953 [유머] SF 무협 [17] 길갈10935 22/10/18 10935
464952 [기타] 위스키 종류별 특징 [86] Aqours13587 22/10/18 13587
464951 [유머] 최신 스마트폰 유튜브 재생시간 테스트 [32] Leeka14859 22/10/18 14859
464950 [유머] 하이브 주가 근황 [52] Leeka15766 22/10/18 15766
464949 [유머] 박명수가 육군에 끼친 영향 [16] Aqours13147 22/10/18 13147
464948 [기타] 32살 노가다로 빚 청산한 디씨인 [41] Aqours14319 22/10/18 14319
464947 [유머] 트와이스팬 건물주 근황 [13] Aqours11548 22/10/18 11548
464946 [기타] spc 사태를 보며 느끼는 같은 죽음 다른 대우.jpg [96] 삭제됨16544 22/10/18 16544
464945 [기타] 개천절에 출근 안 해 혼난 신입 [170] 누칼협14748 22/10/18 14748
464944 [스포츠] 한국 vs 카타르 AFC 아시안컵 유치 조건 비교 [33] 우주전쟁8758 22/10/18 8758
464943 [유머]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 [9] 꿈꾸는드래곤9845 22/10/18 9845
464942 [유머] 짹!!!짹짹!!째애액짹짹!!!!쨕짹짹 [11] 누칼협11275 22/10/18 11275
464941 [게임] 페르소나 5 로열 pc 게임 최고점 달성 [57] 누칼협11634 22/10/18 11634
464940 [유머] 인간이 만든 가장 창의적인 무기는? [20] 누칼협15147 22/10/18 15147
464939 [LOL] 전년대비 역대급 폭락해버린 월즈 시청자수 [64] 만찐두빵11833 22/10/18 11833
464938 [LOL] 이번 월드컵의 우승팀은 당연히 이팀이지요. [11] 펠릭스11346 22/10/18 11346
464937 [유머] 드래곤볼) 드래곤볼 브레이커즈 간단 요약 [4] 고쿠11018 22/10/18 110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