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25 18:23:41
Name 톰슨가젤연탄구이
File #1 AB4BD2AD_7E4A_48E3_B28B_97D844C1AEEB.jpeg (313.7 KB), Download : 42
File #2 1C357B4B_FF6E_4BDB_B0BC_93088DF90727.jpeg (164.1 KB), Download : 25
출처 catdrip.net
Subject [기타] 이동진씨가 평가한 천만관객 영화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브이
22/09/25 18:28
수정 아이콘
신과함께 재밌는데!!!
부들부들 ..
일모도원
22/09/25 18:32
수정 아이콘
주펄 "나 화 안났어~"
로피탈
22/09/25 18:42
수정 아이콘
뭐 드립이긴 하겠지만 근데 사실 주펄이 화날 일은 없긴 하죠 주펄이 감독한 것도 아니구...
덴드로븀
22/09/25 18:35
수정 아이콘
★★★★☆ 기생충(2019) - 상승과 하강으로 명징하게 직조해낸 신랄하면서 처연한 계급 우화.
★★★★☆ 괴물(2006) - 기념비적인 충무로 오락영화.
★★★★ 왕의 남자(2005) - 하고 싶은 말을 강력하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
★★★★ 도둑들(2012) - 일일이 탄력을 부여하며 공 10개를 흥미진진하게 저글링한다.
★★★☆ 베테랑(2015) - 심플하고 힘있게 치고 달리는 영화가 선사하는 통쾌함.
★★★ 극한직업(2018) - 세트플레이에 능한 코미디.
★★★☆ 태극기 휘날리며(2003) - '쉬리'만큼 매끈하고 '쉬리'처럼 아쉽다.
★★★☆ 부산행(2016) - '열어주지 않는 문'의 공포. 넘치는 에너지와 호쾌한 스피드를 만끽하고도 결국 남는 것은 처연함.
★★★☆ 광해, 왕이 된 남자(2012) - 대중영화의 모범적 연기와 화술. 반듯하고 번듯하다.
★★★☆ 변호인(2013) - 송강호라는 거인의 사자후.
★★★ 암살(2015) - 역사극으로서 하고 싶은 말과 여름대작으로서 보여줘야 할 것 사이의 괴리.
★★★ 실미도(2003) - 촌스럽지만 강력한.
★★★ 택시운전사(2017) - 떠올릴 수밖에 없는 순간들. 되돌아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
★★★ 범죄도시2(2022) - 어떤 상황에서도 그의 활약을 조바심 없이 즐길 수 있는 아는 맛.
★★★ 해운대(2009) - 재난영화의 성선설.
★★★ 명량(2014) - 어쨌든 해전 부분은 인상적.
★★☆ 신과함께-인과 연(2018) - 전편보다 낫다는 이야기를 듣고 보았다. 그렇긴 했다.
★★☆ 국제시장(2014) - 사람냄새와 쉰내 사이에서 슬렁슬렁.
★★ 신과함께-죄와 벌(2017) - 모성의 목소리조차 박탈한 뒤 그 크신 사랑만을 돌림노래로 부르는 공업적 최루법.
★★ 7번방의 선물(2012) - 캐릭터 학대를 통해 얻어낸 눈물의 의미는 뭘까.
jjohny=쿠마
22/09/25 18:40
수정 아이콘
거의 다 별점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데,
극한직업(3개)만 3.5개 영화들 사이에(그 중에서도 상위에) 올라가 있네요.

극한직업을 처음 평할 때보다 지금 좀 더 고평가하게 되었다는 뜻인가 싶기도 하고요.
유료도로당
22/09/27 15:46
수정 아이콘
이동진이 저런거에 강박적인 사람이라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최초에 3개 줬다가 다시 보니까 처음 생각보다 훨씬 더 잘만든 영화라는 생각이 들어서 별점을 반개 올렸다고 하네요. (방금 침착맨 라이브방송에서 이야기하네요)
jjohny=쿠마
22/09/27 15:55
수정 아이콘
아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만 신경쓰인 게 아니었군요. 크크
호랑이기운
22/09/25 18:55
수정 아이콘
해운대 평가가 생각보다 높더라고요
22/09/25 19:01
수정 아이콘
저는 관상이 높네요. 베낀 수준이 너무 심해서 ... 최종병기 활이 아포칼립스 베낀 것보다 심하고 거의 도둑질이 아닌가 싶은데 9위는 과하지 않나.
22/09/25 19:23
수정 아이콘
광해 말씀이시죠? 저는 처음에 데이브 판권 사온줄 레알 뻔뻔함에 그냥 혀만 찼습니다.
22/09/25 19:30
수정 아이콘
아 맞습니다. 광해요. 아무리 입봉작인거 감안해도 선을 넘었다고 생각합니다. 스토리 진행 순서랑 조연들의 역할, 심지어 갈등해결되는 과정도 데이브와 같죠.
22/09/25 19:03
수정 아이콘
베테랑은 류승완이 잘하고 좋아하는걸 영화에 다집어 넣고 만들었는데 정말 재밌었죠
아라한 느낌 나는 류승완식 현대 무협물 보고싶은데 이젠 류승완이 별로 거기엔 관심이 없는것 같아서 아쉽네요
오츠이치
22/09/25 20:04
수정 아이콘
저도요. 아라한이나 짝패 같은 쌈박한 영화 보고 싶은데 이젠... 모가디슈가 잘 나왔으니 그런 영화는 더 못 보겠죠.
22/09/25 19:55
수정 아이콘
명징하게 직조가 여기서 나왔던 거였군요 크크크
옥동이
22/09/25 21:14
수정 아이콘
억지감정 쥐어짜는 영화보단 코미디가 낫고 그것보단 잘만든코미디가 낫다
근데 도둑들은 좀 의외로 높은 느낌이네요
22/09/25 21:49
수정 아이콘
저는 도둑들보다는 암살이 낫던데 역시 이동진 평론가는 저랑 취향이 좀 달라요!
그 와중에 깐느박 감독님은 1천만 영화가 없었군요~ 아쉽네요~
무적LG오지환
22/09/25 22:0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번에 최동훈 감독만큼 흥행되게 해달라고 빌었는데 원숭이 손에서 빌어서 그만.......................
22/09/25 22:05
수정 아이콘
저는 사실 외계인1부도 그럭저럭 괜찮게 봤습니다만…(타짜>암살>외계인1부>전우치=도둑들>범죄의재구성) 참 사람들 마음은 알 수가 없네요 (제 생각엔 이 정도로 망할 정도는 아니지 않나…) 그래도 미리 찍어놔서 2부가 나오긴 할테니 다행입니다!
무적LG오지환
22/09/25 22:1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럭저럭 재미있게 봤습니다.
코로나만 안 걸렸어도 아이맥스로 봤을텐데하는 아쉬움도 살짝 있었고 크크
22/09/25 22:28
수정 아이콘
실미도를 지난주에 처음 봤는데, 나온지 20년정도 지난 영화라 아무 기대하지 않고 봤다가 너무 재밌었어요.
괜히 최초로 천만 돌파한 영화가 아니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3709 [유머] 중동인이 얘기하는 중동 관계 [32] 길갈13516 22/09/30 13516
463708 [기타] 최근 보고 고개를 갸우뚱한 최초 뉴스둘.. [9] Lord Be Goja11830 22/09/30 11830
463707 [LOL] 하...준식아.... [8] insane11301 22/09/30 11301
463706 [유머] 격투기 프로를 부모님 원수라고 생각하고 스파링해본 후기.gif [3] 캬라10228 22/09/30 10228
463705 [LOL] 원신 만들어줘서 감사합니다.mp4 [7] insane8797 22/09/30 8797
463704 [기타] 해병문학은 비문학을 이길 수 없다 [11] 태양의맛썬칩8561 22/09/30 8561
463703 [LOL] 역대급 체급 미드라이너.jpg [23] insane10544 22/09/30 10544
463702 [기타] 뭐 구세대랑 놀거같은 4080-12G를 누가 그돈주고 사냐고??? [6] Lord Be Goja8486 22/09/30 8486
463701 [유머] 손흥민이 피부 진짜 안 좋네요 [7] 무한도전의삶11643 22/09/30 11643
463700 [스포츠] 드디어 나온 10% 적금 [24] 니시무라 호노카11154 22/09/30 11154
463699 [기타] 역대급 일본인 여자친구 [36] 묻고 더블로 가!14005 22/09/30 14005
463697 [유머] 미국은 북한과 굳건한 동맹관계 [21] 파워크런치11095 22/09/30 11095
463696 [서브컬쳐] (약후) 일본 서브컬쳐계 올해의 인기 여캐 디자인.jpg [29] 캬라13657 22/09/30 13657
463695 [서브컬쳐] 버카 20주년 기념 신작 수박바 [22] 김티모9575 22/09/30 9575
463694 [유머]  2평부터 10평까지의 원룸 체감하기.jpg [54] Pika4811571 22/09/30 11571
463693 [기타] 에펨코리아 운영자의 망사용료 관련 개인의견 [71] 소믈리에14904 22/09/30 14904
463691 [유머] 여기 고양이와 10억이 있 [5] EpicSide8785 22/09/30 8785
463690 [방송] 720P 특집 화질 구진 게임을 찾아온 스트리머 강씨.JPG [17] insane12428 22/09/30 12428
463689 [기타] 통신사가 막대한 이득을 챙겼으니 인프라를 구축할거야 [14] Lord Be Goja10959 22/09/30 10959
463688 [기타] 애플 비공개 릴레이와 사파리 조합의 의외의 순기능(?) [7] 하루빨리9774 22/09/30 9774
463687 [LOL] 손가락하트 배우는 브라질 친구들.jpg insane6430 22/09/30 6430
463686 [유머] 하이마스 타격에 성공한 러시아 크루즈 미사일 [21] 김유라9029 22/09/30 9029
463685 [기타] [G식백과] 망사용료 사태 톺아보기 [31] 건전한닉네임49422 22/09/30 94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